$\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통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판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A Rasch Analysis of the Korean Version of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8 no.2, 2011년, pp.35 - 42  

김경모 (연세대학교 대학원 재활학과) ,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충휘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연세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인간공학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hundred and fourteen low back pain patients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KODQ) and the Rasch analysis was then applied to identify the inappropriate items and to determine ODQ item difficulties according to a subject's characteristics. For women and y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병원에서 치료받고 있는 성인 요통환자들을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로 평가하여 성별, 연령대, 급성 및 만성 요통, 그리고 통증사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 점수에 따라 분류하고 라쉬분석을 적용하여 요통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 평가도구의 항목적합도 및 항목의 난이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의 정의는 무엇인가? 요통(low back pain)은 늑골연(costal margin)과 아래둔근주름 (inferior gluteal fold) 사이에서 발생하는 국소 근경직(muscle stiffness), 근긴장(muscle tension), 또는 통증으로 정의된다 (Manek과 MacGregor, 2005). 요통은 발생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하는데 통증이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요통 이라 정의한다(Airaksinen 등, 2006; Andersson, 1999).
어떤 경우의 요통을 만성요통이라 하는가? 요통(low back pain)은 늑골연(costal margin)과 아래둔근주름 (inferior gluteal fold) 사이에서 발생하는 국소 근경직(muscle stiffness), 근긴장(muscle tension), 또는 통증으로 정의된다 (Manek과 MacGregor, 2005). 요통은 발생기간에 따라 급성과 만성으로 분류하는데 통증이 12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를 만성요통 이라 정의한다(Airaksinen 등, 2006; Andersson, 1999). 급성요통 환자가 만성요통으로 진행되는 비율은 Frank 등(1996)에 의하면 10%, Dugan(2006)의 연구에서는 40%까지 진행된다고 하였다.
요통환자의 장애정도를 평가하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의 점수 환산법과 점수가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Bombardier(2000)는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ODQ)는 통증과 신체적 능력을 측정하는 평가도구이며, 다른 도구에 비해 사용하기 쉽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아 요통환자의 장애정도를 평가하기에 적절한 도구라고 추천하였다. 오스웨스트리 장애 설문지는 총 1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항목당 0∼5점(6점 서열척도)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항목별 응답한 점수를 합하여 총점(50점)으로 나눈 후 100을 곱하여 백분율(%)로 표시한다. 임상적으로는 점수가 높을수록 기능장애가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Fairbank 등, 1980; Grotle 등,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강명수, 경성은, 장무환. 스펙트럼영역 빛 간섭 단층촬영기로 측정한 한국인 정상안의 황반부 용적. 대한안과학회지. 2010;51(8);1077-1083. 

  2. 김신영. 차별적 문항기능의 추출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 김형일, 신동규. 만성요통의 원인과 진단의 전략. 대한의사협회지. 2007;50(6)482-493. 

  4. 박소연. 한국판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의 Rasch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5. 

  5. 박소연, 오재섭, 이충휘. 수정된 오스웨스트리 허리기능 장애 설문지의 라쉬분석: 산업장에서의 업무관련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8;15(3):26-34. 

  6. 보건복지부. 2001년도 국민건강 영양조사: 만성질병편.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3. 

  7.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3판. 서울, 학지사, 2010. 

  8. 이충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07. 

  9. 이충휘, 박소연.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GMFM)의 Rasch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2):9-16. 

  10. 임현선, 이영미, 안덕선 등. 문항반응이론과 고전검사이론을 이용한 진료수행의 문항 분석. 한국의학교육. 2007;19(3):67-76. 

  11. 전창훈, 김동재, 김동준 등. 한국어판 Oswestry Disability Index(장애지수)의 문화적 개작. 대한척추외과학회지. 2005;12(2):146-152. 

  12. 홍세희. 문항반응 이론과 요인분석을 이용한 척도개발 및 타당화. 99년도 임상심리학회 3차 워크샵 자료집. 1999. 

  13. Adams MA, Bodguk N, Burton K, et al. Epidemiology of Low Back Trouble. The biomechanics of back pain. London, Churchill Livingstone, 2002:79-132. 

  14. Airaksinen O, Brox JI, Cedraschi C, et al. European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nonspecific low back pain. Eur Spine J. 2006;15:S192-S300. 

  15. Amadio PC. Outcomes measurements. J Bone Joint Surg Am. 1993;75(11):1583-1584. 

  16. Andersson GB. Epidemiological features of chronic low-back pain. Lancet. 1999;354(9178):581-585. 

  17. Andersson HI, Ejlertsson G, Leden I, et al. Chronic pain in a geographically defined general population: Studies of differences in age, gender, social class, and pain localization. Clin J Pain. 1993;9(3):174-182. 

  18. Bombardier C. Ootcome assessments in the evaluation of treatment of spinal disorders: Summary and general recommendations. Spine. 2000;25(24):3100-3103. 

  19. Bond TG, Fox CM.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7. 

  20. Borenstein D. Epidemiology, etiology, diagnostic evaluation treatment of low back pain. Curr Opin Rheumatol. 1996;8(2):124-129. 

  21. Coste J. Delecoeuillerie G, Cohen de Lara A, et al. Clinical course and prognostic factors in acute low back pain: An inception cohort study in primary care practice. BMJ. 1994;308(6928):577-580. 

  22. Dallmeijer AJ, Dekker J, Roorda LD, et al.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n higher performing neurological patients. J Rehabil Med. 2005;37(6):346-352. 

  23. Davidson M. Rasch analysis of three versions of the Oswestry Disability Questionnaire. Man Ther. 2008;13(3):222-231. 

  24. Dugan SA. The role of exercise in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acute low back pain. Clin Occup Environ Med. 2006;5(3):615-632. 

  25. Fairbank JC, Couper J, Davies JB, et al. The Oswestry low back pain disability Questionnaire. Physiotherapy. 1980;66(8):271-273. 

  26. Fillingim RB, King CD, Ribeiro-Dasilva MC, et al. Sex, gender, and pain: A review of recent clinical and experimental findings, J Pain. 2009;10(5):447-485. 

  27. Frank JW, Brooker AS, DeMaio SE, et al. Disability resulting from occupational low back pain. Part II. What do we know about secondary prevention? A review of the scientific evidence on prevention after disability begins. Spine. 1996;21(24):2918-2929. 

  28. Grotle M, Brox JI, Vollested NK. Functional status and disability questionnaire: What do they assess? A systematic review of back-specific outcome questionnaires. Spine. 2005;30(1):130-140. 

  29. Jensen MP, Smith DG, Ehde DM, et al. Pain site and the effects of amputation pain: Further clarification of tile meaning of mild moderate, and severe pain. Pain. 2001;91(3):317-322 

  30. Linacre JM. Optimizing rating scale category effectiveness, J Appl Meas. 2002;3(1):85-106. 

  31. Manek JN, MacGregor AJ. Epidemiology of back disorders: Prevalence, risk factors, and prognosis. Curr Opin Rheumatol. 2005;17(2):134-140. 

  32. Thomas E, Silman AJ, Croft PR, et al. Predicting who develops chronic low back pain in primary care: A prospective study. BMJ. 1999;318(7199):1662-1667. 

  33. Tonali P, Padua L, Sanguinetti C, et al. Outcome research and patient oriented measures in the multiperspective assessment of neurological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tal J Neruol Sci. 1999;20(2):139-140. 

  34. van den Hoogen HJ, Koes BW, Deville W, et al. The prognosis of low back pain in general practice. Spine. 1997;22(13):1515-1521. 

  35. White LJ, Velozo CA. The use of Rasch measurement to improve the Oswestry classification scheme. Arch Phys Med Rehabil. 2002;83(6):822-8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