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다지점 가진 시 장대교량에 대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고 설계상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다지점 가진 해석에 필요한 비선형시간이력해석 알고리즘(영향계수법)을 제안하고, 이를 신뢰성있는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RCAHEST)에 추가하였다. 동일한 유한요소모델에 대해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SAP2000의 Multi-support Excitation 기능을 이용하여 연구에서의 결과에 대한 비교 검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인천대교에 대해서 유한요소모델링을 실시하고 다지점 가진을 고려한 비선형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였다. 수평변위응답의 분석 결과 시간지연이 늘어날수록 최대 수평변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입력지진파의 최대가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며 극한해석을 수행하여 대상 교량의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analyzing seismic performance of long-span bridge for multi-support excitation and preparing technically and efficiently for a variety of design demands, the new module on multiple excitation was built in a reliable non-linear analysis program(RCAHEST) by using Influence Line Method, and the s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비선형구조계에서 각 지점에서의 지진파가 위상차를 갖는 경우에는 임의 위치에서 각 지점에 대한 상대가 속도가 동일하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임의 위치에서의 각 지점에 대한 상대가속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지점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할 지점에 횡방향 단위변위를 가하여 정적해석을 수행한 후 임의 위치에서의 변위의 크기를 그 위치에서의 그 지점의 영향도로 정한다. 이 방법으로부터 임의 위치에서의 가속도는 다음 식과 같이 된다.
  • 이를 통해 장대교량의 일방향 동시 가진에 대한 동적변위 응답과 다지점 가진을 고려한 응답을 비교·분석하여 향후, 보다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설계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이러한 방법은 각 지점에서 지진파의 도달시간이 동일할때에는 유효하지만 지점사이의 거리가 커서 지진파의 도달시간 차이를 무시할 수 없을 때는 적용할 수가 없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비선형시간이력 유한요소해석 루틴에 다지점가진의 효과를 고려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법을 제안하기로 한다. 비선형구조계에서 각 지점에서의 지진파가 위상차를 갖는 경우에는 임의 위치에서 각 지점에 대한 상대가 속도가 동일하지 않다.
  • 또한, 대상 교량의 극한 지진 하중 하에서의 내하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지진파의 최대가속도 크기를 조정하면서 교각 및 주탑의 콘크리트가 파괴에 이를 때까지 재하하였다. 지진파는 PGA 0.154g부터 시작하여 차례로 2배, 3배씩 증가시켜 입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량이 얼마 정도의 지진 강도까지 사용성을 발휘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가장 이상적인 해석은 각 지점에서 동시에 계측된 지진이력을 사용하는 것이겠지만, 현재 이 자료가 없으므로 본 해석에서는 지진파의 이동이 교각 6개 중 West 3개의 교각 지점에서 East 3개의 교각 지점으로 이동해 간다고 가정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 적용 대상 교량에 대한 비선형시간이력해석을 위해 보강형 및 주탑의 단면을 설정하고 이를 각각 4개, 52개의 파이버 모델로 모델링하였다. 사장교의 제원은 가능한 한 실제 교량의 제원을 그대로 참고하였으며, 자료가 부족한 부분은 적절히 가정하여 해석하였다.
  • 주탑에 사용되는 파이버 요소의 정식화는 Spacone 등(1996)이 제안한 유연도법에 근거한 보-기둥 요소에 기초한다. 절점에서 6자유도를 가진 모든 요소에 대해 비틀림 자유도는 선형탄성거동을 하고 축방향 자유도와 휨자유도는 함께 연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세기 후반부터 건설시장의 큰 흐름 중 하나로 무엇이 있는가? 20세기 후반부터 건설시장의 큰 흐름 중 하나는 케이블로 지지된 장경간 교량의 뚜렷한 수요 증가이다. 그리고 현재 이러한 흐름은 주경간장 2000m이상의 초장대교량의 건설 수요로 이어지고 있다.
장대교량 완성계에 대한 다지점 운동을 고려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는가? 장대교량 완성계에 대한 다지점 운동을 고려한 지진응답해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RCAHEST(Reinforced Concrete Analysis in Higher Evaluation System Technology)를 사용한다.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 RCAHEST는 미국 버클리대학의 Taylor가 개발한 범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FEAP (Taylor, 2011)에 이식하여 모듈화된 프로그램으로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 즉, 탄성, 비탄성, 극한 영역 등 전 응력상태에 걸친 하중과 변형의 관계, 균열의 진행, 콘크리트와 철근의 응력 추적 등과 같은 해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검증된 프로그램이다.
Neuenhfer 등 (1998)이 제안한 식에 기초하고 있는 기하비선형의 요소 단면의 각 파이버 요소들은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는가? 파이버 요소에 사용되는 기하비선형은 Neuenhfer 등 (1998)이 제안한 식에 기초한다. 요소 단면의 각 파이버 요소들은 각각 크리프 및 건조수축, 재령 효과 등의 시간 의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파이버 보-기둥 요소를 1차원 요소로 간략화하여 사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권장섭, 백인열, 장승필 (2004) 다중지점 가진 효과를 고려한 부유식 교량의 지진응답 해석,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8(2), pp.27-33. 

  2. 송요한, 김문영 (2010) 개선된 초기부재력법을 이용한 3차원 사장교의 초기형상해석, 석사학위 논문, Univ. of Sung KyunKwan. 

  3. 조확신, 성대정, 임덕기, 신현목 (2011) 시간의존적 거동을 고려한 PSC 사장교의 비선형 유한요소해석, 한국전산구조공학회 논문집, 24(2), pp.177-184. 

  4. Neuenhfer, A., Filippou, F.C. (1998) Geometrically Nonlinear Flexibility-Based Frame Finite Element, Journal of Structural Eng., 124(6), pp.704-711. 

  5. Okamura, H., Maekawa, K., Izumo, J. (1987) RC Plate Element Subjected to Cyclic Loading, Int.,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al Eng., Colloquium, 54, pp.575-590. 

  6. Shima, H., Tamai, S. (1987) Tension Stiffness Model under Reversed Loading Including Post Yield Range, Int., Association for Bridge and Structural Eng., Colloquium, 54, pp.547-556. 

  7. Shin, H.M. (1988) Finite Element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Members Subjected to Reversed Cyclic In-plane Loadings, Ph. D. thesis, Univ. of Tokyo, Japan. 

  8. Spacone, E., Filippou, F.C., Taucer F.F. (1996) Fiber Beam-Column Model for Non-Linear Analysis of R/C Frames : Part 1. Formulation,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25, pp.771-725. 

  9. Kim, T.H., Lee, K.M., Yoon, C.Y., Shin, H.M. (2003) Inelastic Behavior and Ductility Capacity of Reinforced Concrete Bridge Piers under Earthquake. 1: Theory and Formulation, Journal of Structural Eng., 129(9), pp.1199-1207. 

  10. Lee, J.S. (1991) Time-Dependent Nonlinear Analysis of Segmentally Erected Cable-Supported Prestressed Concrete Frame Structures, Ph. D. thesis, Univ. of Seoul National. 

  11. Clough, R.W., Penzien, J. (1993) Dynamics of Structures, 2nd Ed., McGraw-Hill, New York, N.Y. 

  12. Taylor, R.L. (2011) A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Version 8.3, Feap Users Manual, 1, 2. 

  13. Sun Y., Sakino K. (2000) Earthquake-Resisting Performance of R/C Columns Confined by Square Steel Tubes, Journal of Structural and Construction Engineering, 531, pp.133-140. 

  14. Filippou F.C., Spacone E. (1991) A Fiber Beam- Column Element For Seismic Response Analysis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Report No. UCB/EERC-91/17, Univ. of California, Berkeley. 

  15. Ghodrati Amiri, Morteza Zahedi, Saleh Jalali (2004) Multiple-Support Seismic Excitation of Tall Guyed Telecommunication Towers, 13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p.2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