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입력지진으로 인한 교량의 지진거동특성
Seismic Behavior of Bridges Considering Ground Motion Spatial Variation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35 no.4, 2015년, pp.759 - 768  

배병호 (한국시설안전공단) ,  최광규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강승우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  송시영 (동아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대교량과 같이 길이가 긴 다 지점 구조물에서는 각 지점에서의 지반운동은 차이가 난다. 이것은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로 알려져 있다.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는 각각 다른 위치에서의 지진파 도착시간의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파동전파 효과, 이질적인 지반매체에서의 지진파 산란에 의한 일관성손실, 부지의 지반특성에 따른 부지증폭 효과 등의 이유에 의해 발생한다. 기존연구에서는 부지증폭 효과를 고려하지 않거나, 지반을 단층으로 모델링하여 이를 고려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층의 지반에 의한 지반운동의 증폭 및 필터링이 구조물의 지진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서로 다른 지층의 수와 깊이 그리고 지반특성을 가지고 있는 부지에서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지반운동을 생성하였고, 일관성손실 함수의 상관성 정도와 각 부지의 지반조건에 따른 지반운동의 시간이력의 변화특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두 개의 단위 교량으로 이루어진 교량시스템을 대상으로 각각의 부지 조건에 맞게끔 생성된 지진파를 입력으로 하는 교량해석을 통해 각 단위교량 및 단위교량 간 지진거동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일관성손실과 지반조건이 두 교량 간 충돌 및 낙교를 유발할 수 있는 상대변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해석결과 각 부지의 지반조건의 고려는 아주 중요하며 실제 구조해석에서 무시되어서는 안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und motions of large dimensional structures such as long span bridges at different stations during an earthquake, are inevitably different, which is known as the ground motion spatial variation effect. There are many causes that may result in the spatial variability in seismic ground mo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층의 지반에 의한 지반운동의 증폭 및 필터링이 구조물의 지진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지반운동을 생성하고, 이를 입력지진으로 하여 상이한 동적특성을 갖는 단위교량으로 구성된 교량시스템의 지진거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서로 다른 지층의 수와 깊이 및 지반특성을 가지는 100m 이격거리의 지표면상 두 위치에서의 전달함수와 지반운동 시간이력을 생성하였고, 일관성손실함수의 상관성 정도와 각 부지의 지반조건에 따른 지반운동 시간이력의 변화 특성을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기반암에서의 지반운동은 평균이 0인 정상 랜덤 프로세스이고 동일한 파워스펙트럼 밀도함수를 가지고 있다고 가정한다. 이러한 가정은 지진의 진앙지에서 해석부지까지의 거리가 구조물의 크기에 비해서 일반적으로 훨씬 멀기 때문에 타당하다(Hao et al.
  • 그러나 연약 지반의 지진파에 의한 변위응답은 단단한 지반 및 중간 지반과 달리 아주 크게 발생한다. 기반암의 파워스펙트럼은 부지응답 해석을 통해 증폭이 되고 그때 그 부지의 전달함수의 최댓값이 발생하는 진동수에서 지반운동의 증폭이 커질 것이다. 좌측 교량의 고유진동수는 1.
  • 본 연구에서는 기반암의 여러 위치에서의 지반운동은 같은 강도와 진동수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반암 운동을 정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정 Kanai-Tajimi 스펙트럼밀도함수를 기반암에서 지반운동의 스펙트럼밀도함수로 사용한다.
  • 두 교량 모두 연속교로서 P1교각과 P4교각의 받침은 고정단이며, 나머지 교각 및 교대의 받침은 모두 가동단이다. 지진파는 교축방향으로 입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해석결과는 교량의 교축방향 변위응답을 고려하므로 수치해석 모델은 Fig. 3처럼 단순화하여 나타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반암 운동을 정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스펙트럼밀도함수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기반암의 여러 위치에서의 지반운동은 같은 강도와 진동수 성분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하고, 기반암 운동을 정의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정 Kanai-Tajimi 스펙트럼밀도함수를 기반암에서 지반운동의 스펙트럼밀도함수로 사용한다.
복잡한 구조물이나 비선형 응답해석을 위해서 필수적인 것은 무엇인가? 그러나 이들은 보통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조의 모델에 대한 선형해석에서 사용된다. 복잡한 구조물이나 비선형 응답해석을 위해서는 시간영역에서의 해석이 필요하고 따라서 인공지진 지반운동의 시간이력 생성은 필수적이다. 구조물의 각 지점마다 적용할 공간적인 상관관계를 갖는 시간이력을 생성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가 교량의 지진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무엇은 분석하였는가? 또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가 교량의 지진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대부분의 연구들은 일관성손실함수의 상관성 및 지진파의 겉보기 속도에 따른 지반운동의 공간적 변화가 구조물의 변위응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Hao, 1998; Chouw and Hao, 2008). 그러나 공간적으로 변하는 지반운동은 일관성손실함수 뿐만 아니라 부지증폭 효과에 의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지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Abrahamson, N. A., Schneider, J. F. and Stepp, J. C. (1991). "Empirical spatial coherency functions for applications to soilstructure interaction analyses." Earthquake Spectra, Vol. 7, No. 1, pp. 1-27. 

  2. Atkinson, K. E. (1978). An introduction to numerical analysis, Jhon Wiley and Sons, New York, N.Y. 

  3. Bi, K. and Hao, H. (2012). "Modelling and simulation of spatially varying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sites with varying conditions." Probabilistic Engineering Mechanics, Vol. 29, pp. 92-104. 

  4. Bi, K., Hao, H. and Chouw, N. (2010). "Required separation distance between decks and at abutments of a bridge crossing a canyon site to avoid seismic pounding."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39, No. 3, pp. 303-323. 

  5. Chouw, N. and Hao, H. (2008) "Significance of SSI and nonuniform near-fault ground motions in bridge response I: Effect on Response with Conventional Expansion Joint." Engineering and Structures, Vol. 30, No. 1, pp. 141-153. 

  6. Clough, R. W. and Penzien, J. (1993). Dynamics of structures, McGraw Hill, New York, N.Y. 

  7. Deodatis, G. (1996). "Non-stationary stochastic vector processes: Seismic Ground Motion Applications." Probabilistic Engineering Mechanics, Vol. 11, No. 3, pp. 149-167. 

  8. Der Kiureghian, A. (1996). "A coherency model for spatially varying ground motions."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25, No. 1, pp. 99-111. 

  9.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1997). A study of seismic design criteria(II),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 (in Korean). 

  10. Gantmacher, F. R. (1977). The theory of matrices, Shelsea Publishing Company, New York, N.Y. 

  11. Hao, H. (1998). "A parametric study of the required seating length for bridge decks during earthquake." Earthquake Engineering and Structural Dynamics, Vol. 27, No. 1, pp. 91-103. 

  12. Hao, H., Oliveira, C. S. and Penzien, J. (1989). "Multiple-station ground motion processing and simulation based on SMART-1 array data." Nuclear Engineering and Design, Vol. 111, No. 3, pp. 293-310. 

  13. Jennings, P. C., Housner, G. W. and Tsai, N. C. (1968). "Simulated earthquake motions." Technical Report,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Laboratory, California of Technology, Pasadena, California. 

  14. Wolf, J. P. (1985). Dynamic soil-structure interaction,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J.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