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A508 탄소강 및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의 표면잔류응력에 미치는 기계가공효과
Effects on Machining on Surface Residual Stress of SA 508 and Austenitic Stainless Steel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5 no.5, 2011년, pp.543 - 547  

이경수 (한전 전력연구원 원자력발전연구소) ,  이성호 (한전 전력연구원 원자력발전연구소) ,  박치용 (한전 전력연구원 원자력발전연구소) ,  양준석 (한전 전력연구원 원자력발전연구소) ,  이정근 (한전 전력연구원 원자력발전연구소) ,  박재학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원자력발전소의 이종용접부에서 일차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하고 있으며 용접부의 잔류응력이 균열발생 및 성장에 기여할 수 있다. 용접부의 잔류응력은 기본적으로 용접에 의해 형성되지만 기계가공에 의해 표면잔류 응력상태가 변화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계가공이 원전재료인 SA508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에 표면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SA508, TP304, F316L 재료를 연마, 연삭, 방전가공으로 가공한 후 표면에 형성되는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구멍뚫기법과 엑스선회절법을 사용하였다. 기계가공방법에 따라 각 재료에 미치는 잔류응력의 크기 및 방향, 잔류응력이 형성되는 깊이 등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has occurred in dissimilar weld areas in nuclear power plants. Residual stress is a driving force in the crack. Residual stress may be generated by weld or surface machining. Residual stress due to surface machining depends on the machining method, e.g., mil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용접모형의 잔류응력해석 및 측정연구과정에서 해석값과 측정값 사이에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발견하고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용접 후 표면처리를 위한 기계가공과정에서 발생하는 응력과 일차수응력부식균열 생성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소의 노즐 및 배관재료로 사용되는 SA508 탄소강과 TP304, F316L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강으로 시편을 제작하고 밀링(milling), 연마(grinding), 방전가공(EDM: electric discharge machining)의 다른 기계가공작업을 부가하여 각각의 기계가공이 재료표면에 부가하는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는? 내면은 고온의 원자로냉각재에 접촉되어 있어서 환경적으로 대기에 접촉되어 있는 외부 표면에 비해서 균열발생민감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균열이 생성하기 위해서는 인장응력이 존재해야 하는데 내압과 용접잔류응력이 인장응력을 발생시키는 주요 인자이다. 내압은 설계조건으로서 설계와 제작에 반영되어 있으나 용접잔류응력은 용접의 복잡한 현상 때문에 정확한 해석이 쉽지 않아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을 용접하면 용접부 및 용접부 주변에 재료불일치에 의한 미세조직의 변화 및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되는 이유는? 원자력발전소의 원자로냉각재계통에는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이 상호 용접되어 있는 용접부가 많다. 탄소강과 스테인리스강은 항복강도, 열전도도, 열팽창계수 등 재료물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 두 금속을 용접하면 용접부 및 용접부 주변에 재료불일치에 의한 미세조직의 변화 및 잔류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 이들 이종금속용접부에서 일차수 응력부식균열이 발생하고 있다.
원자력발전소의 압력용기재료인 SA508 탄소강과 노즐안전단 및 배관재료인 TP304, F316L 스테인리스강의 기계가공에 의한 표면잔류응력을 측정한 결과로 얻어진 결론은? (1) SA508 을 일반적인 밀링, 연마, 방전가공으로 가공할 경우 잔류응력이 작용하는 깊이는 0.5 mm 이내이고 0.25 mm 이후의 잔류응력은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다. 연마가 가장 큰 잔류응력을 부가하였고 그 크기는 -100~100 MPa 정도이다. (2) TP304 스테인리스강을 냉간압연할 경우 재료에는 압축잔류응력이 작용하며 압축응력이 작용하는 깊이는 약 0.5 mm 정도이다. (3) F316L 스테인리스강을 일반적인 밀링, 연마, 방전가공으로 가공할 경우 잔류응력이 작용하는 깊이는 0.3 mm 이내이다. SA508 의 경우와 동일하게 잔류응력이 작용하는 깊이는 연마, 밀링, 방전가공순이다. (4) 엑스선 회절법에 의해 측정된 TP304 및 F316L 스테인리스강의 잔류응력값은 표면에서 항복강도를 초과하는 높은값이 지시되었는 바, 과연 20 μm 이내의 표층에서는 그런 높은 잔류응력이 존재할 수 있는지 추가 검토가 필요하다. (5) 기계가공에 의한 잔류응력만으로는 재료에 균열이 생성되지 않겠지만, 용접잔류응력과 같은 인장응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기계가공에 의해 인장잔류응력값이 추가되므로 균열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Lee, K.S., Kim, T.R., Park, J.H., Kim, M.W. and Cho, S.Y., 2009, “3-D Characteristics of the Residual Stress in the Plate Butt Weld Between SA508 and F316L SS,” Trans. of the KSME A Vol. 33, No. 4, pp. 401-409. 

  2. Lee, K.S., Park, C.Y., Kim, H.D., Kim, J.S. and Park, J.H., 2007, “Preliminary Evaluation of Primary Water Stress Corrosion Cracking Initiation Potential on Small Penetration Nozzle Welds by Residual Stress Analysis,” Journal of KPVP No. 3, pp. 101-108. 

  3. Kim, Y.J., Song, T.K., Bae, H.Y., Song, T.K., Bae, H.Y., Lee, K.S., Park, C.Y., Yang, J.S., Huh, N.S., Kim, J.U., Park, J.S., Song, M.S., Lee, S.K., Kim, J.S., Yu, S.C. and Chang, Y.S., 2009, “Assessment of Round Robin Analyses Results on Welding Residual Stress Prediction in a Nuclear Power Plant Nozzle,” Transactions of the KSME A Vol. 33, No. 1, pp. 72-81. 

  4. Song, T.K., Bae, H.Y., Chun, Y.B., Oh, C.Y., Kim, Y.J., Lee, K.S. and Park, C.Y., 2008, “Estimation of Residual Stress Distribution for Pressurizer Nozzle of Kori Nuclear Power Plant Considering Safe End,” Transactions of the KSME A Vol. 32, No. 8, pp. 668-677. 

  5. Ahluwalia, K. and King, C., 2007, “Review of Stress Corrosion Cracking of Alloy 182 and 82 in PWR Primary Water Service (MRP-220),” EPRI. 

  6. Song, T.K., Bae, H.Y., Kim, Y.J., Lee, K.S. and Park, C.Y., 2009, “Sensitivity Analysis of Finite Element Method for Estimating Residual Stress of Dissimilar Metal Multi-Pass Weldment in Nuclear Power Plant,” Transactions of the KSME A Vol. 32, No. 9, pp. 770-781. 

  7. Lu, J., 1996, “Handbook of Measurement of Residual Stress,” The Fairmount Press In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