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례밸브를 이용한 트랙터 3점 히치 제어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ractor Three-point Hitch Control System using Proportional Valve 원문보기

바이오시스템공학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v.36 no.2, 2011년, pp.89 - 95  

이상식 (Dept. of Biomedical Engineering, Kwandong University) ,  박원엽 (Dept. of Mechanical Engineering(Nano & bio-technology application research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ractor implements are mainly utilized for the tillage operation. The proposed hydraulic system control was implemented to experimental apparatus. An implement control system for tractor using proportional valve was fabricated to improve the working efficiency. Hydraulic circuit included the propo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작업조건 및 트랙터의 대형화 추세 등 한국의 농업환경을 충분히 고려하여, 쟁기와 로타리 작업기에 적합하고 유량제어를 기본으로 하는 고정도 및 고효율 작동성능을 갖춘 비례밸브를 이용한 트랙터 작업기 유압시스템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또한 작업기의 종류에 따른 작업조건 및 방법이 다르며, 요구되는 제어기능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뿐만 아니라 수출을 위한 대형 트랙터용 작업기 제어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다양한 작업조건 및 방법에 적용이 가능한 비례밸브에 의한 유량제어방식의 시스템의 설계에 주력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야 하는 한국의 농업환경과 사용 트랙터의 대형화 추세를 고려하여, 유량제어를 기본으로 하는 고정도, 고효율 및 보다 소프트한 작업기 작동 성능을 갖춘 비례밸브를 이용한 트랙터 작업기 유압시스템을 개발하였고, 시뮬레이션 및 실험을 통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이며 도식화된 모델링은 그림 2와 같다. 또한 유압시스템은 1) 유압 밸브 및 라인의 관성은 무시한다, 2) 유압 밸브 및 라인의 저항은 무시한다, 3) 유압 라인의 압축성에 의한 체적 변화를 고려한다는 가정 하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 이며 도식화된 모델링은 그림 2와 같다. 또한 유압시스템은 1) 유압 밸브 및 라인의 관성은 무시한다, 2) 유압 밸브 및 라인의 저항은 무시한다, 3) 유압 라인의 압축성에 의한 체적 변화를 고려한다는 가정 하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 이며 도식화된 모델링은 그림 2와 같다. 또한 유압시스템은 1) 유압 밸브 및 라인의 관성은 무시한다, 2) 유압 밸브 및 라인의 저항은 무시한다, 3) 유압 라인의 압축성에 의한 체적 변화를 고려한다는 가정 하에 시뮬레이션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트랙터의 작업기 장착 링크는 왜 개발되었는가? 작업제어시스템의 기본인 트랙터의 작업기 장착 링크는 1920년대 초 쟁기를 장착하기 위한 장치의 하나로 개발되기 시작하여 현재의 3점 링크의 원형이 되는 것은 1935년에 Harry Ferguson에 의해 개발되었다. 트랙터의 3점 링크와 관련한 작업기 제어에 관한 연구는 학계, 산업계 및 연구 관련 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설계된 유압회로와 관련하여 비례제어밸브 제어용 전자장치의 공급전압과 유량사이의 관계 등 제어시스템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한 이유는? 본 연구에서 설계된 유압회로는 유량비례제어밸브에 의해 유압실린더로의 공급 유량이 제어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비례제어밸브에 의한 공급유량은 밸브제어용 전용 전자장치에 가해진 전압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따라서 설계된 유압회로와 관련하여 비례제어밸브 제어용 전자장치의 공급전압과 유량사이의 관계 등 제어시스템의 설계에 필요한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작업기 제어 시스템의 제어방식이 전자기술의 진보를 통한 전자유압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이유는? 트랙터의 3점 링크와 관련한 작업기 제어에 관한 연구는 학계, 산업계 및 연구 관련 단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작업기 제어시스템의 제어방식은 전자기술의 진보를 통해 기계유압방식이 갖고 있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자기술의 진보를 통한 전자유압방식으로 전환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들 연구의 주된 내용은 작업 조건 및 제어어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유압시스템의 성능향상과 개량에 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yers, P. D., Varma K. V. and Karim. M. N. 1989. Design and analysis of electro-hydraulic draft control system. Transactions of the ASAE 32(6):1853-1855. 

  2. Boe. T. E. and Bergene. M. A. 1989. Tractor three-point hitch control system. SAE paper No.891835. 

  3. Dobrinska, R. and R. Jarboe. 1981.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lectro-hydraulic control system for Case 4WD tractors. SAE paper No.810941. 

  4. Katayama, Y., S. Takahashi, Y. Sugimoto and T. Hukumoto. 1993. Electronic draft control system. Technical report of Kubota Co., Ltd. 26:41-53. (In Japanese) 

  5. Keuper, G. 1999. Electro-hydraulic hitch control. ASAE 1999 annual meeting. ASAE paper No. 991070. 

  6. Lee, S. S., J. Y. Lee and J. H. Mun. 2006. Development of depth and working load control system for tractor using a proportional valve.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1(1):16-23. (In Korean) 

  7. Mido tech Co., Ltd. 2002. Study on implement control system for agricultural tractor.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Final report: 65-81. (In Korean) 

  8. Olson, D. J. and Cornell. C. R. 1987. Simulation of an electrohydraulic hitch control system on an agricultural tractor. SAE paper No.870818. 

  9. Squire, R. E. 1984. Electronic draft control system. ASAE 1984 annual meeting. ASAE paper No. US8623633. 

  10. Tajiri, I. and Sato. K. 1989. Research on attitude control of tractors for sloping ground(part 2) -characteristics of parallel links for front wheel and ground load. The japanese society of agricultural machinery 51(2):57-65.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