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내화 피복된 비대칭 H형강을 적용한 슬림플로어 보의 재하가열조건 화재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Behaviour of Asymmetric H Beam Slim floor under Load Condition in Fire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5 no.1, 2011년, pp.63 - 71  

김형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김흥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민병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이재승 (한남대학교) ,  박수영 (방재시험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대칭 H형강을 활용한 슬림플로어의 경우, 상대적으로 열전달 속도가 낮은 콘크리트에 강재가 매립된 형상으로 설계되어 화재조건에서 강재의 강성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형상으로 설계되었다. 그러나 비대칭 H형강의 하부플렌지는 화재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므로, 이 부분에 대한 내화피복을 적용하여 슬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실험계획은 재하 하중비 0.4와 0.3을 조정하여 하중조건에 따른 내화성능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철근보강에 따른 내화성능 향상효율, 내화피복을 적용하였을 경우의 180분 내화성능 확보 유 무를 분석하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하중비 변화에 따른 실험체를 비교한 결과, 0.1 의 하중비를 낮출 경우 내화성능은 12분 차이가 나며, 처짐격차는 39mm였다. 철근보강에 따른 영향은 12분정도의 내화성능 향상이 가능하며, 최대 102.4mm의 처짐이 제어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hen it comes to slim floor using asymmetric H-beam, it was designed that the steel member is embedded in concrete with relatively low thermal conductivity so as to minimize the deterioration of rigidity of steel member in fire. But given the bottom flange of asymmetric H-beam is directly exposed to...

주제어

참고문헌 (13)

  1. 김형준, 김흥열, 이재승, 조봉호, "방화석고보드를 적용한 모듈러 보의 최적내화성능 형상조건 도출을 위한 해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Vol.25, No.7(통권 249호), pp.3-12. 

  2. 이재승, 김흥열, 조봉호, 김형준, 김갑득, "방화석고보드를 적용한 MCO 보의 내화공법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구조계, Vol.24, No.11, pp.93-100. 

  3. 박원섭, 김흥열, 김형준, "비대칭 H형강 슬림플로어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1, pp.40-45(2010). 

  4. 박수영, 박원섭, 김흥열, 홍갑표, "비대칭 슬림플로어 합성보의 내화성능산정에 관한 해석적 방법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Vol.24, No.2, pp.31-37(2010). 

  5. 박수영, 김흥열, 홍갑표, "웨브두께에 따른 비대칭 H형강 슬림플로어 보의 내화성능에 관한 해석적 연구", 대한건축학회 구조계, Vol.26, No.7(통권 261호), pp.61-68. 

  6.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구조물 성능기반 화재안 전해석 및 설계기술개발 - 3차년도 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9), "비대칭 H형강 합성플로어 성능기반 내화거동 고도화 연구 - 3차년도 보고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8. British Standards Institution, BS.5950: Part 8: Code of Practice for the Fire Protection of Structural Steelwork, UK(1990). 

  9. G.M. Newman, "Fire Resistance of Slim Floor Beam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33, pp.87-100(1995). 

  10. Pentti Makelainen, Zhongcheng Ma, "Fire resistance of Composite Slim Floor Beam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54, pp.345-363 (2000). 

  11. Zhongcheng Ma, Pentti Makelainen, "Structural behavior of Composite Slim Floor Frames in Fire Conditions",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62, pp.1282-1289(2006). 

  12. C.G. Bailey, "The behavior of Asymmetric Slim Floor Steel Beams in Fire", Journal of Constructional Steel Research, Vol.50, pp.235-257(1999). 

  13. ECCS, "Design Manual on the European Recommendations for the Fire Safety of Steel Structures", pp.64-99(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