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라 분황사탑의 '모전석탑(模塼石塔) 설(說)' 대한 문제 제기와 고찰
Inquiry about 'The Theory of Brick-Copy' of the Stone Pagoda at Bunhuangsa Templ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2, 2011년, pp.39 - 54  

이희봉 (중앙대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nhuangsa stone pagoda, constructed in AD. 634, National Treasure no. 30, has been named as 'brick-copied pagoda' since the Japanese-ruling period by scholars. It is said that the Chinese brick pagoda was its precedent model, however the Bunhuangsa Pagoda is the oldest of all the Chinese-style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전석탑이라는 용어의 시초는, 어디에서 비롯되었는가? 건축사와 미술사 관련 교과서, 연구서, 논문과 문화재청 정보에서 분황사탑의 ‘모전석탑’ 호칭에 예외가 거의 없다. ‘모전석탑’ 용어의 시초는 일제 시 1902-04년 關野貞이 대대적으로 조사한 한국건축 중 폐허 상태의 분황사탑 보고서 앞부분에 “거의 塼築과 같다.”(ほとん ど塼築のごとくである.)고 서술하다가 뒷부분에는 “중국탑의 塼築을 모방하고 있다.”고 단정한데서 비롯된다.2) 나아가 “西安의 薦福寺 小雁塔(그림2)과 慈恩寺 大雁塔(그림3)을 방불케 한다.
국보 30호는 무엇인가? 국보 30호 경주 분황사 석탑은 AD. 634년 건축된 신라 탑 중 가장 오래된 현존 탑이다.
한국의 전 탑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동지역에 집중되고 일부 경주, 청도와 여주에 분포 흔적을 남긴 몇 안 되는 한국의 전 탑은20) 분황사탑보다 연대가 훨씬 후대이다. 즉 칠곡 송림사전탑(8세기초), 안동 신세동 7층전탑(8세기중반), 동부동 5층전탑(9세기초), 조탑동 5층전탑(8세기중반), 여주 신륵사탑(고려중기이후)이다.21) 따라서 후대의 것을 선대가 모방할 수는 없으므로22) 전탑을 모방했다 는 ‘모전탑’이라는 용어는 학술용어로 성립하기 힘들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고유섭, "韓國美術史 及 美學論攷" , 통문관, 1972 

  2. 고유섭, "韓國塔婆의 硏究" , 동화출판, 1975 

  3. 김동욱, "개정 한국건축의 역사" , 기문당, 2007 

  4. 장충식, "신라석탑연구" , 일지사, 1987 

  5. 박홍국, "한국의 전탑연구" , 학연문화, 2000 

  6. 강우방, 신용철, "탑" , 솔출판, 2003 

  7. 박경식, "한국의 석탑" , 학연문화, 2008 

  8. 천득염, "백제계 석탑연구" , 전남대, 2003 

  9. 천득염, "한국전탑에 대한 비교론적 연구" , 건축역사연구, 1995. 12 

  10. 신용철, "통일신라 석탑연구" , 동국대 박사논문, 2006 

  11. 조헌, "한국석탑의 상징성 연구", 한국문화의 전통과 불교- 홍윤식 교수 정년 퇴임 기념 논총, 2000 

  12. 강우방, "불사리장엄" 국립중앙박물관, 1991 

  13. 강우방, "원융과 조화" , 열화당, 1990 

  14. 一然저, 박성봉, 고경식 역, "三國遺史" , 서문문화, 1987 

  15. 覺訓, 여성구 역, "海東高僧傳" , 지만지, 2008 

  16. 李允?, 이상해 외 역,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 시공사, 2000 

  17. 劉敦楨편, "中國古代建築史" 中國建築工業出版, 1987 

  18. 關野貞, "朝鮮の建築と藝術" 岩波書店 1941/2005 

  19. 藤島亥治郞, 慶州を中心とせる新羅時代變型三層石塔, 五層石塔及び特殊型石塔, 建築雜誌 579호, 1933. 12 

  20. 逸見梅榮, "印度佛敎美術考-建築篇" , 甲子社, 1929 

  21. 鎌田茂雄, 정순일 역, "중국불교사" , 경서원, 1985 

  22. 李乾朗, "華夏之美建築" , 幼獅文化, 1987 

  23. James Fergusson, History of Indian & Eastern Architecture, 1910/2006 

  24. Debala Mitra, Sanchi , Archaeology of India, 2001 

  25. Ashraf Kahn, Buddhist Shrines in Swat,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