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통일신라의 문화교류 및 전탑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Examination on unified Silla's cultural exchange and brick pagoda formation cours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5 no.8, 2014년, pp.5369 - 5377  

김상구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  이정수 (충남대학교 건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우리나라의 불탑은 목탑, 전탑, 석탑 등 다양하게 조영되었다.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석탑에 비해 전탑의 경우 실측 등 실물에 대한 자료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문헌적인 자료 및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전탑의 수가 그리 많지 않은 점, 지역적으로 제한적인 점, 재료적인 한계를 문헌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점, 탑의 구성을 시대적, 지역적인 문제로 해석하지 않고 탑의 조영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것 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전탑이 축조된 지역에서의 지역적 문화적인 특성을 중심으로 전탑형성과정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우리나라와 중국과의 교류는 나타난 유적을 비교해 살펴보면, 실크로드를 통한 교류와 함께 해상경로로의 교류가 있었으며, 이러한 교류는 동아시아지역과도 함께 공유되었다. 그리고 중국과의 교류는 전파를 통한 맹목적인 습득이 아니라 지역적인 세력의 선택적인 교류라 할 수 있었다. 둘째, 우리나라에서 전탑이 조영된 이유로 이제까지의 지역에서 손쉽게 구할 수 있는 양질의 흙 뿐 만 아니라 불교적으로 중심세력에 부합하지 않는 의상의 화엄종의 교섭 및 당시의 시대적인 상황인 불교의 대중화, 지방세력의 거점화 등이 지방세력과의 밀접한 관계가 전탑 조영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전탑의 조영은 발해와 신라와의 교섭관계 및 지역적, 민족적 영향력이 작용하고 중국에서 넘어온 문화에 대한 선택적인 소산물이라 할 수 있다. 이 점은 전탑이 중국에서 실크로드를 통한 문화적인 전파 및 중국의 소국으로서의 발생이 아니라 하나의 민족국가의 형성에서 발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Korean pagodas were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wood pagoda, brick pagoda, stone pagoda, etc. On the other hand, the currently remaining traditional pagodas are those having nonflammable materials, such as brick, stone, etc. Compared to the stone pagoda, there is data regarding brick pagodas, bu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화적 전파의 중심인 세력적인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전탑 및 건축적인 행위의 성립과정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문화교류의 대한 의견을 필역하고 안동지역의 지역적인 지배세력에 대한 점을 고찰하여 이제까지의 관점에서 탈피한 시점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 본고에서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제까지 전탑이 축조된 지역에서의 지역적 문화적인 특성을 중점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한다.
  • 당시 의상의 입당(入唐) 시 요동지방에서 고구려의 첩자로 오인되어 곤욕을 치르고 다시 해상경로를 통하여 당나라에 들어갈 수 있었던 내용만 보더라도 신라에서 고구려를 통한 실크로드로의 육로 교류만은 어려움이 있어 여러 경로로 문화가 들여져 왔으며, 그 후 문화는 시대적인 요구에 맞게 무조건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고 신라에서 지역적으로 맞게 바뀌어 축조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중국 이외 다른 국가와 신라의 유적과 유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비교해 보도록 하겠다.
  • 이제까지 국제적인 교류의 관점과 불교적, 지역적인 관점에서 본 전탑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이제까지 중국에서 우리나라 그리고 일본으로 전파된 문화적 교류, 전탑의 발생은 중국에서 들여온 문화가 신라에서 지역세력과 접합한 후 우리나라에 맞도록 선택적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세력에 따른 조영의 법식이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특히, 발해 지역과 안동지역에서 조영된 전탑의 조영은 우리나라만의 특색이 깃들여져 있어 시대적, 민족적 상황을 파악한 후 재해석하여야 될 것으로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불탑은 어떻게 조영되었는가? 본 우리나라의 불탑은 목탑, 전탑, 석탑 등 다양하게 조영되었다.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전래되는 불탑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본 우리나라의 불탑은 목탑, 전탑, 석탑 등 다양하게 조영되었다.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석탑에 비해 전탑의 경우 실측 등 실물에 대한 자료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문헌적인 자료 및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불탑 중 전탑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하지만 전래되어 지고 있는 불탑은 전탑, 석탑 등 소실되기 어려운 재질의 불탑 형식만이 있다. 석탑에 비해 전탑의 경우 실측 등 실물에 대한 자료는 어느 정도 진행되어 있으나, 문헌적인 자료 및 축조방법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전탑의 수가 그리 많지 않은 점, 지역적으로 제한적인 점, 재료적인 한계를 문헌적으로 극복하지 못한 점, 탑의 구성을 시대적, 지역적인 문제로 해석하지 않고 탑의 조영에만 초점을 맞추어 연구한 것 등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yung-Hyuk Kwon, A Study on the Commentary on Andong jeontap, museum.andong, 1992, p9 

  2. Byeong-gun,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Balhae Brick Pagoda in Northeast Asia,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Number 21, 2009, p154 

  3. DAUM Encyclopedia, http://100.daum.net/encyclopedia/view.do?docidb13s3348b 

  4. Hun-Duck, Chang, Buddhist art of China and South Korea, Light and Post, 2005, p8 

  5. Dietrich Seckel, Buddhist, 2002, YeKyong, p132 

  6. Dietrich Seckel, Buddhist, 2002, YeKyong, pp132-134 

  7. Hun-Duck, Chang, Buddhist art of China and South Korea, Light and Post, 2005, pp36-37 

  8. Se-gweon Yim, The Introduction and Transformation of Brick Pagodas in Korea, ANDONG UNIVERSITY, p15 

  9. Man-hong, Park,, Wang-Jik, Kim,, A Study on the Ugajong Temples for the temple's architectural features discussion, Korea Institute of Architectural History, 2007, Conference p44 

  10. Ik-Jin, Koh, Study of the history of ancient Korean Buddhist thoughts, TONGWON NNIVERSITY PhD thesis, 1989, p.223. 

  11. samkoksagi sinlabongi Number 7 monmu ha 

  12. samkoksagi sinlabongi Number 6 monmu 

  13. Byeong-gun,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Balhae Brick Pagoda in Northeast Asia,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2008, p139 

  14. TONGWON UNIVERSITY, A comparative study of the architectural form on the Balhae Young-gwang pagoda and south of the Han river brick pagoda, 2009, MINISTRY OF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of Koguyo Balhae, 2010, p6 

  15. Byeong-gun, Lee,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Meaning of Balhae Brick Pagoda in Northeast Asia,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Number 21, 2009, p14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