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전주의의 재토착화와 구축적 논리의 문제 - 군너 아스플룬트의 우드랜드 채플(1918-20)에 관한 연구 -
Revernacularization of Classicism and the Matter of the Constructional Logic - A Study on Gunnar Asplund's Woodland Chapel (1918-20)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4, 2011년, pp.45 - 60  

김현섭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Gunnar Asplund's Woodland Chapel (1918-20) in terms of the revernacularization of classicism and to investigate into the matter of the constructional logic. The term 'revernacularization of classicism' was used by Alan Colquhoun to explain the process to ret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건물은 포피리오스가 고전주의의 일차 조건으로 제기한 구축의 논리에 얼마나 부합되는지에 대한 반론의 여지도 보인다. 요컨대 이 연구는 아스플룬트의 우드랜드 채플을 고전주의의 재토착화라는 개념을 통해 고찰하는 한편, 여기에 드러나는 구축 논리의 모순점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고전주의의 본질, 더 나아가 건축의 본질에까지도 접근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 이 연구는 고전주의의 본질이 토착 건축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에 착안하여 아스플룬트의 우드랜드 채플을 바라본다. 즉, 포피리오스가 서술한 고전주의에 해당하는 예로 우드랜드 채플을 택하고자 하는데, 이것이 콜쿤이 제시한 ‘고전주의의 재토착화’라는 조금 다른 차원의 개념으로도 수렴됨을 주장할 것이다.
  • 그에게 있어서 고전주의는 양식이 아닌 감수성인데, 이러한 고전주의가 성립하기 위해서는 토착 건축의 구축적 논리가 전제되어야 하고, 이것이 신화적 가공을 거쳐 미학적 가치를 획득해야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포피리오스의 논제를 기반으로 콜쿤이 언급한 고전주의의 재토착화 관점에서 북구 고전주의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아스플룬트의 우드랜드 채플(1918-20)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는 이 건물에 나타난 재토착화된 고전주의의 특성 및 포피리오스의 주장과 다소 거리가 있는 비구축적 특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 이와 같은 전제 하에 스칸디나비아 도릭주의의 대표적 예인 아스플룬트의 우드랜드 채플을 고전주의의 재토착화 관점을 통해 고찰해보자.
  • 특히 포티코의 도릭 기둥, 실내의 돔, 그리고 이들을 아우를 수 있는 지붕구조 전체를 주목해야 한다. 첫째, 포티코 도릭 기둥의 주두가 천장과 만나는 면을 보자. 주두(柱頭)의 아바쿠스(abacus)는 주신(柱身)으로부터 올라온 에키누스(echinus)와 밀착되어 있으나 그 위의 천장과는 틈을 보이고 있다.

가설 설정

  • 12) 스칸디나비아 도릭주의는, 요컨대, 서로 모순되어 보이는 ‘고전주의’와 ‘토착성’이 동일한 유효성을 가지며 상호 해함 없이 이해되고 실천되어온 흐름이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북구 고전주의 경향이 신고전주의와 다른 점은 어떤 사실인가요? 근대건축운동의 핵심지였던 중부 유럽의 경우 아르누보 쇠퇴 이후 아방가르드 내에서 추상화의 경향이 대세였다면, 북유럽에서는 기능주의를 받아들이기 이전 대부분의 주도적 건축가들이 고전주의의 단계를 거치게 되었다. ‘북구 고전주의(Nordic Classicism)’라 명명된 이 경향이 18-19세기의 신고전주의와 다른 점은 “그 규모와 규율이 완화되어 훨씬 온건한 형식을 띤다는 사실”이다. 북유럽 고전주의에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게 된 데에는 그 이전, 1900년 전후로 우세했던 민족낭만주의 경향의 재료사실주의적 성격과 무관하지 않다.
스칸디나비아 도릭주의의 논점은 무엇을 통해 재평가하고 어떤 결론을 도출하였나요? 그는 이를 보다 보편적인 고전주의의 문제로 끌어내어 논한다. 그리고 고전주의 전반을 동일한 논거(토착의 구축 논리와 신화적 가공)를 통해 재평가하고 “고전주의는 양식이 아니다”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콜쿤이 주장하는 핵심 논점은 무엇을 밝히는 데에 있나요? 이 글에서 콜쿤이 주장하는 핵심 논점은 ‘토착 고전주의’라는 용어가 근본적으로 무엇을 지칭하는가를 밝히는 데에 있다. 우선 우리는 18세기 계몽주의자들에게서 발견되는 ‘원시주의(primitivism)’가 토착 건축에 대한 동시대 낭만주의자들의 입장과 다르다는 것을 기억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Peter Blundell Jones, Gunnar Asplund, Phaidon, London, 2006 

  2. Claes Caldenby & Olof Hultin (ed.), Asplund, Rizzoli, New York, 1986 

  3. Alan Colquhoun, Modernity and the Classical Tradition: Architectural Essays 1980-1987, MIT Press, Cambridge MA, 1989 

  4. Caroline Constant, The Woodland Cemetery: Toward a Spiritual Landscape, Byggforlaget, Stockholm, 1994 

  5. Kenneth Frampton, 'The Classical Tradition and the European Avant-Garde: Notes on France, Germany and Scandinavia in 1912-37'. In: Paavilainen (ed.), 1982 

  6. Kenneth Frampton, 'Towards a Critical Regionalism'. In: Hal Foster (ed.), The Anti-aesthetics, New Press, New York, 1998 (1st ed., Bay Press, 1983) 

  7. Kenneth Frampton, Studies in Tectonic Culture: The Poetics of Construction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Architecture , MIT Press, Cambridge MA, 1995 

  8. Gustav Holmdahl, et al., Gunnar Asplund Architect 1885-1940: Plans, sketches, and photographs, Tidskriften Byggmastaren, Stockholm, 1950 

  9. Charles Jencks, The Language of the Post-Modern Architecture , Rizzoli, New York, 1977 

  10. Neil Leach (ed.), Rethinking Architecture: A Reader in Cultural Theory, Routledge, London, 1997 

  11. Kate Nesbitt (ed.), Theorizing a New Agenda for Architecture: an anthology of architectural theory, 1965-1995,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New York, 1996 

  12. Simo Paavilainen (ed.), Nordic Classicism: 1910-1930, Museum of Finnish Architecture, Helsinki, 1982 

  13. Nikolaus Pevsner, An Outline of European Architecture , Penguin, London, 1972 

  14. Demetri Porphyrios (ed.), Classicism is Not a Style, Architectural Design & Academy Editions, London, 1982 

  15. Joseph Rykwert, On Adam's House in Paradise: The idea of the primitive hut in architectural history, 2nd ed., MIT Press, Cambridge MA, 1982 

  16. Marcus Vitruvius Pollio, The Ten Books on Architecture, trans., Morris Hicky Morgan, Dover, New York, 1960 

  17. David Watkin, A History of Western Architecture , 3rd ed., Laurence King, London, 2000 

  18. Richard Weston, Alvar Aalto, Phaidon, London, 1995 

  19. Stewart Wrede, The Architect of Erik Gunnar Asplund, MIT Press, Cambridge MA, 1980 

  20. Frank Lloyd Wright, An Organic Architecture , Lund Humphries, London, 1939 

  21. 김현섭, 민족정체성의 건축적 구현: 1900년 전후 핀란드 민족낭만주의 건축에 관한 고찰, 건축역사연구, 14권 4호, 2005, 59-72쪽 

  22. 김현섭, 군너 아스플룬트와 알바 알토의 고전주의 건축에 관한 비교연구, 대 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6권 10호, 2010, 209-216쪽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