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uddhism that has arisen in India began to build the Stupa to enshrine body and Sari of Buddha as an object of worship. The stupa existed as a tome of holy leaders even before the birth of Buddha, which was called stupa or tupa in the Sanskrit and the Pali, the ancient language of India. The stupa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에 더 관심을 갖고 불탑의 용어를 원리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우선적으로 불탑의 의미와 관련 용어를 원론적으로 고찰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라는 의도로 시도되었다. 특히 근자에 이루어졌던 불탑용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토론을 이끌어 가기 위한 點燈으로 ‘불탑의 의미와 명칭’이라는 가장 원론적인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고자 한 것이다.
  • 인간적인 부처를 떠나 법신(法身)으로 향하는, 이상적이며 절대적인 진리로 향하는 실체인 것이다. 따라서 중생들은 불탑을 숭배함에 있어 부처에 대한 공양과 동시에 공덕을 쌓고자 한 것이다. 또한 탑을 세움으로서 정각(正覺)을 이루고 해탈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부처님의 사후 불교가 인도의 전역에 널리 퍼지고 부처님의 상징적 존재로서 새로운 탑의 건립이 각지에서 널리 요구됨에 따라 극히 한정된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로는 수많은 신자들의 요구에 응할 수 없게 되자 석가모니의 머리카락(佛髮), 손톱(佛爪), 이(佛齒) 등을 봉안 하여 예배하거나 석가모니의 옷(衣鉢)이나 좌구座具 등을 유물로 여기며 석가모니를 상징하는 본존本尊으로 공양하기도 하였던 것이다. 이와 비슷한 의미로 부처를 따르던 제자들이 서운하여 스승이 앉았던 빈 의자, 해탈한 보리수(즉 우주목 생명나무), 말씀의 법륜, 전도를 나타내는 발자국, 하늘로 오르는 길 등 기념이 될 만한 형상(form, 色)을 통하여 형상 없는(formless, 無色) 말씀을 믿고 실천하며 전하고자 하였다.37) 이는 힌두신상을 이해하는 인도철학의 기본처럼 형상을 통하여 형상 없음을 추구하는 변증법적인 것이다.
  • 특히 근자에 이루어졌던 불탑용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토론을 이끌어 가기 위한 點燈으로 ‘불탑의 의미와 명칭’이라는 가장 원론적인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고자 한 것이다. 즉 불탑은 왜 건립되었고 어떤 모습으로 만들어 졌으며 불탑을 부르는 이름은 불교전래국가에 따라 지역을 달리하면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피며, 현재 우리가 부르고 있는 용어와 비교하여 어떤 차별성을 갖고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다소 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불탑지칭용어들에 대하여 외피적인 입장에서의 고찰이라기보다는 불탑에 대한 원리적이고 본질적인 이 해의 바탕위에서 용어를 이해하여야 할 것이라는 의도이다.
  • 특히 근자에 이루어졌던 불탑용어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토론을 이끌어 가기 위한 點燈으로 ‘불탑의 의미와 명칭’이라는 가장 원론적인 부분에서부터 시작하고자 한 것이다.

가설 설정

  • 또한 부처의 진신사리를 모신 탑과는 달리 부처의 몸의 일부인 머리카락이나 손톱 등을 사리대신 넣어 부처의 탄생지 룸비니Lumbini, 깨달음을 얻은 성도지成道地 부다가야 Buddhagaya,(그림 9) 맨 처음 불법 말씀을 전한 곳인 초전법륜지初轉法輪地 사르나트 Sarnath, 돌아가신 열반지涅槃地 쿠시나가라 Kusinagara 등의 4대성지에 탑을 건립했는데 이것을 caitya, 즉 지제라 부르며 불사리를 봉안한 탑과 구별하기도 한다.(그림 10) 그러니까 차이티야에는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없고 스투파는 사리가 있는 것이다. 즉 스투파는 사리를 봉안한 일종의 묘소로서 이를 방분(方墳), 원총(圓塚)이라함에 비하여 차이티야는 사리를 봉안하지 않더라도 부처님과 직접 관계되는 기념물적인 고적이나 신령스런 장소의 의미가 더욱 부각되고 있으므로 이를 영묘(靈廟), 정처(淨處) 등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양인들이 동양의 탑을 지칭할 때 파고다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영어식 표현인 pagoda는28) 포르투갈인들이 만든 말로 알려져 있는데 포르투갈어 빠고데pagode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15세기 이후 신대륙 발견을 위하여 동양으로 그 세력을 확장하던 포르투갈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진출하여 독특한 건축물인 탑을 보고 이러한 명칭을 붙인 것으로 여겨진다.29) 이 때문에 지금도 서양인들은 동양의 탑을 지칭할 때 파고다라고 부른다.
불탑이란 무엇인가? 불탑이란 부처, 즉 석가모니의 진신사리를 모시는 성스러운 무덤이다. 불탑은 불교역사에서 최초로 등장하는 부처의 상징으로, 지극히 성스러운 건조물이다. 불탑은 불상과 함께 불교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예배대상이다.
탑파의 어원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는가? 또한 부처를 모신 탑이기 때문에 흔히 불탑이라 부르기도 한다. 탑파의 어원은 고대 인도어인 범어(梵語, Sanskrit5))의 stūpa와 팔리어(巴梨語, Pali6))의 thūpa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말은 스리랑카의 거대 종족인 Sinhala족이 사용하는 싱할라어(Sinhalese) 의 tuba와 tumbc에서 유래되었는데 이들은 지금은 사라지고 고대문학에서만 찾을 수 있을 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Dietrich Seckel 저, 이주형 역, "The Art of Buddhism, 불교미술" , 예경, 2007 

  2. 미야지 아키라, "인도미술사", 김향숙, 고정은 역, 다할 미디어, 2006 

  3. 中村元, 金知見 역, "불타의 세계" , 김영사, 2005 

  4. 이희봉, "탑의 원조 인도스투파의 형태해석" , 건축역사연구, 제18권 6호, 2009 

  5. S. Paranavitana, The Stupa in Ceylon, Memories of the Archeological Survey of Ceylon, volume 5, colombo, 1946 

  6. 고유섭, "한국탑파의 연구", 동화예술선서, 1975 

  7. 諸稿轍次, "大漢和辭典", 大修館, 1968 

  8. 김희경, "한국의 탑" , 열화당, 2005 

  9. M.Winternitz, Geschichte der indscken Literatur, Bd.1, 1907 

  10. 衫本卓洲, "インド佛塔の硏究" , 平樂寺書店, 1993 

  11. 尹昌淑, "韓國塔婆相輪部에 관한 硏究" ,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3 

  12. Sir M. Monier-Williams,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Oxford, 1956 

  13. J. Bloch, Les inscriptions d'Asoka, Paris, 1950 

  14. 윤창숙 "문화재해설-탑파", 자유출판사, 1991 

  15. 村田治郞, "東洋建築史", 建築學大系4, 彰國社, 1980 

  16. James Fergusson, History of Indian and Eastern Architecture, Vol.1, 2.(Delhi India, 1876 

  17. 林永培, "韓國塔婆建築의 造形特性에 관한 硏究" , 홍익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1 

  18. 강우방, 신용철, "탑, 한국미의 재발견5", 솔, 2003 

  19. 이주형, "인도초기불교미술의 불상관" , 미술사학 15, 2001 

  20. 逸見梅榮, "印度佛敎美術考-建築篇", 甲子社, 1929 

  21. Fergussion, History of Indian and Eastern Architecture , 1920/2006 

  22. 衫本卓州, "caitya及stpa崇拜の 形態と展開" , 東北福祉大學論叢 第9, 11卷 

  23. "僧祇律", '有舍利名塔婆 無舍利名支提' 

  24. 김버들, 조정식, "경전속에 나타난 탑의 건축적 요소에 관한 연구" , 대한건축 학회 논문집 계획계 통권 232호, 2008 

  25. 천득염, "인도시원불탑의 의미론적 해석- 불탑건축의 전래와 양식에 관한 비교론 적 고찰" , 건축역사연구 2권 2호, 1993 

  26. http://ebit.dongguk.ac.kr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