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낙안읍성민속마을 전통민가의 평면유형 및 평면구성방식
Floor Plan Types and Spatial Composition of Folk Housing in Nagan Folk Village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6, 2011년, pp.77 - 98  

김시예 (전남대학교 대학원 건축공학과) ,  천득염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  유우상 (전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loor plan types of folk houses or traditional vernacular dwellings found in Nagan Folk Village located in Joellanamdo province. Examining the floor plans appeared among 36 vernacular folk houses presumably built in the 19th century in the village by means of...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민가는 무엇인가? 전통민가1) 는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의 사상과 생활상 등이 녹아있는 소산물로써 그 지역 민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생활의 소산은 당시 거주 민들이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과 기후 등 지리적 요인에 대응하여 얻어진 결과이기도 하다.
그간의 민가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간의 민가에 대한 기존 연구는 비교적 형태가 잘 남아있고 지역적 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주로 그 시대의 사상이 반영되어 건축된 중·상류주거에 관한 연구에 다소 한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서민주거는 오랜 세월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건축되었으며, 그 지역의 고유한 환경요인에 따라 크고 작은 변용을 거듭하여 다양한 주거 유형을 파생시켜 왔다.
지역에 살던 사람들의 사상과 생활상 등이 녹아있는 소산은 어떤 과정을 통해 얻어졌는가? 전통민가1) 는 그 지역에 살던 사람들의 사상과 생활상 등이 녹아있는 소산물로써 그 지역 민들의 삶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이러한 생활의 소산은 당시 거주 민들이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해당 지역의 지형과 기후 등 지리적 요인에 대응하여 얻어진 결과이기도 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허경진, 한국의 읍성, 대원사, 2005 

  2. 이호철, 농업경제사연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1992 

  3. 천득염, 남도전통주거론, 경인문화사, 2004 

  4. 김정기, 한국주거사, 한국문화사대계 4, 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71 

  5. 승주군, 낙안읍성민속마을 세부현황종합 조사보고서, 1985 

  6. 변동명, 낙안과 낙안읍성, 순천대학교 박물관, 2001 

  7. 민성기(閔成基), 조선 전기(朝鮮前期)의 麥作技術考- 농사직설(農事直說) 의 麥法種分析一, 釜大史學 제4집, 1980 

  8. 황철산, 우리나라 과거 주택유형과 그 형성 발전, 사회과학원출판사, 1965 

  9. 미끼기요시 지음, 辛珠? 옮김, 人生論노오트, 경지사, 1964 

  10. 김정원, 한국전통건축 간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경일대 석사학위논문, 1999 

  11. 김동인, 하회마을을 중심으로한 서민주택의 특성에 관한 고찰, 영남대 석사학위논문, 1982 

  12. 고인총, 국주거건축의 평면특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3. 김정원, 한국전통건축 간의 구성체계에 관한 연구, 경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14. 김지민, 전남지방 민가의 안채 평면형 연구, 한국건축역사연구, 제14권 4호 통권44호, 2005. 12 

  15. 김성우, 호남지방 전통주택에서의 규모와 평면형식 : 전남 장흥군 관산읍 방촌마을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역사연구, 제2권 2호 통권4호, 1993. 12 

  16. 정연상, 20세기 전반기 경기도 민가의 평면 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건축역사연구, 제12권 4호 통권16호, 2003. 12 

  17. 이기봉, 낙안읍성의 입지와 구조 그리고 경관 : 읍치에 구현된 조선적 권위 상징의 전형을 찾아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14권 제1호, 2008 

  18. 정연상, 경기도 전통민가의 퇴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권 6호 통 권188호, 2004. 6 

  19. 조원석,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권 3호, 1999. 10 

  20. 이상선, 낙안읍성 민가의 주공간 변용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권 10호 통권216호, 2006. 10 

  21. 고태주, 낙안읍성의 민가와 주생활실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12권 제2호, 1992. 10 

  22. 구재오, 전통 민가의 지역별 평면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제8권 제2호, 1988. 10 

  23. 조원석, 우리나라 전통민가 평면유형분류의 변천에 대한 고찰, 대한농촌건축학회논문집, 제1권 3호, 1999. 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