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문화유산 잠재지로서 순천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의 경관 특성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Sacred Dangsan Forests in the Neighborhood of Naganeupseong in Suncheon as a Potential World Heritage Site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2 no.3, 2015년, pp.345 - 354  

최재웅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동엽 (성균관대학교 조경학과) ,  이창환 (상지영서대학교 도시조경인테리어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ulture of the sacred Dangsan forests at Dongnae-ri, Seonae-ri, Namnae-ri, Pyeongchon-ri and Gyochon-ri were investigated. And the potential for registration in the World Heritage List has been discussed by linking the Dangsan forests at the five si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낙안읍성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위해서는, 한국 전통문화경관인 낙안읍성 일원의 당산, 당산숲 및 그 문화가 세계에 널리 알려질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낙안읍성 일원 다섯개 마을의 당산, 당산숲과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경관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들이 하나로 연계되었을 때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잠재성을 고찰하였다.
  • 이 연구는 세계유산 등재기준에 따라 낙안읍성 일원 당산숲 경관의 특성을 구명하고 세계문화유산 잠재성을 고찰한 것이다. 낙안읍성 마을 당산은 3개 마을 모두 상당, 중당, 하당을 갖추고 있다.
  • 이 연구는 낙안읍성 일원 다섯개 마을의 당산, 당산숲과 구성요소를 조사하고 경관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이들이 하나로 연계되었을 때 세계문화유산으로서의 잠재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낙안읍성이 유네스코의 문화유산 평가항목 중 해당하는 가치를 갖고 있는, 4가지 항목은 무엇인가? 낙안읍성에 대한 잠재목록 내용을 보면, ⅲ, ⅳ, ⅴ, ⅵ항에 해당하는 가치를 갖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 평가기준을 보면, ⅲ항은 문화적 전통 또는 살아 있거나 소멸된 문명에 관하여 유일하거나 적어도 예외적인 증거를 보유해야 한다는 것이다. ⅳ항은 인류 역사의 중요한 단계를 예증하는 건조물위 유형, 건축적 또는 기술적 총체, 경관의 탁월한 사례여야 한다. ⅴ항은 문화(또는 여러 문화)를 대표하는 전통적인 인간 정주지 또는 토지이용의 탁월한 사례로서, 특히 돌이킬 수 없는 변화의 충격에 대해 취약하게 되었을 때 상호작용의 대표적 사례여야 한다. ⅵ항은 현저한 보편적 가치가 있는 행사, 또는 살아있는 전통, 사상, 신념, 예술적⋅문학적 작품과 직접 또는 유형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낙안읍성에 대한 잠재목록 내용 중 ⅵ항에 대한 설명에서, 당산제(Dangsan ritual)를 ‘communal rituals’로 표기 하였는데, 이것은 마을주민에 의한 제례가 아니고, 관공서에서 행하는 의례로 오해하게 할 여지가 있다.
낙안읍성의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명은 무엇인가? 한국의 잠정목록은 강진 도요지(1994년) 등 15건으로서, 이 중에서 서남해안 갯벌(2010년) 등 4건이 자연유산이고, 낙안읍성(2011년) 등 11건은 문화유산이다(문화재청). 낙안읍성의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명은‘Naganeupseong, Town Fortress and Village’ 이다. 세계문화유산이 되기 위해서는 유네스코의 문화유산 평가항목 ⅰ~ⅵ항 중, 하나 이상을 충족시켜야 한다.
세계유산은 무엇인가? 세계유산(World Heritage)은 「세계유산협약」(1972)에 의거 하여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가 인류 전체를 위해 보호되어야 할 뛰어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 가 있다고 인정하여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된 유산으로 문화유산, 자연유산, 복합유산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 40,000여 농촌마을 중 많은 수가 사라진 전통마을숲인 당산숲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문화경관으로서 농어촌마을의 핵심경관이다(대통령자문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국원식. (2002). 樂安邑城 안길의 特性에 관한 硏究.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김민옥. (2012). 낙안읍성의 역사문화자원과 문화콘텐츠 개발 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김재웅, & 김승민. (2014). 국내 보호지역의 현황 및 세계보호지역 설정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3), 191-200. 

  4. 김학범, & 장동수. (1994). 마을숲 : 韓國傳統部落의 堂숲과 水口막이. 서울: 열화당. 

  5. 김학범. (2009). 복합유산 마을숲. 월간 문화재사랑, 52, 22-25. 

  6. 김효정. (2012). 한국의 유네스코 자연성지 잠재자원 현황과 특성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식물유산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1), 492-501. 

  7. 박진재. (2012). 세계문화유산 제도의 전개 양상과 운영의 추이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박찬용. (2005). 한국 읍성의 공간성과 경관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1), 122-131. 

  9. 송갑득. (2006). 옛 선조의 숨결이 살아있는 전통이 있는 역사의 마을-낙안읍성. 순천: 순천시청. 

  10. 신상섭. (2004). 전통정주지의 환경적 건전성과 지속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1), 27-38. 

  11. 정광석. (2014). 조선후기 낙안읍성 원형 추정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최재웅, & 김동엽. (2000). 마을숲문화가 있는 농촌 마을숲의 구조 및 보전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18(3), 51-64. 

  13. 최재웅, & 김동엽. (2005). 하천경관으로서 당산숲? 마을숲의 경관생태학적 기능 고찰. 환경정책연구, 4(2), 31-55. 

  14. 최재웅, & 김동엽.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의 입지 및 구조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35-47. 

  15. 최재웅, 김동엽, & 김미희. (2009). 농어촌마을 당산숲.비보숲의 형태지수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0-38. 

  16. 최재웅. (2009). 농어촌마을의 당산숲 구성요소 및 문화에 관한 고찰. 문화재, 27(1), 188-209. 

  17. 최재웅, 김동엽, 김미희, & 박광래. (2009). 순천시 낙안읍성 마을당산의 형태 및 기능에 관한 고찰. 2009년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90-93. 

  18. 최재웅, & 김동엽. (2010). 천연기념물 지정 당산숲.비보숲의 명칭 부여 및 지정 물량 실태 고찰. 문화재, 43(1), 28-55. 

  19. 최재웅. (2015). 한국 당산숲의 특징과 관리 현황-마을숲 통해 한국의 전통 조경 문화를 세계에 알리다. 월간 ecoscape, 8월호, 110-113. 

  20. Alison, J. B., & Richard, C. P. (1997). Conceptualizing the experiences of heritage tourists : A case study of New Lanark World Heritage Village. Tourism Management, 18(2), 75-87. 

  21. Anne, D. (1996). Developing a strategy for the Ankor World Heritage Site. Annals of Tourism Research, 23(2), 479-492. 

  22. Choi, J. U., & Kim, D. Y. (2014).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of Old and Sacred Dangsan Forests in Korea. In S. K. Hong., J. Bogaert., & Q. Min. (Eds.), Biocultural Landscapes-Diversity, Functions and Values (pp. 129-142). Dordrecht: Springer. 

  23. Dudley, N., & Liza, H. Z. (2012). Protected areas and sacred nature: a convergence of beliefs. In G. Pungetti., G. Oviedo., & D. Hooke. (Eds.), Sacred Species and Sites: Advances in Biocultural Conservation (pp. 36-4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Fatimah, T. (2015). The impacts of rural tourism initiatives on cultural landscape sustainability in Borobudur area.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28, 567-577. 

  25. Ichikawa, K., Okubo, N., Okubo S., & Takeuchi, K. (2006). Transition of the satoyama landscape in the urban fringe of the Tokyo metropolitan area from 1880 to 2001.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8, 398-410. 

  26. Indrawan, M., Yabe, M., Nomura, H., & Harrison, R. (2014). Deconstructing satoyama - The socio-ecological landscape in Japan. Ecological Engineering, 64, 77-84. 

  27. IUCN. (2008). Sacred Natural Sites, Guidelines for Protected Area Managers. Best Practice Protected Area Guidelines Series No. 16. Gland: IUCN. 

  28. Khlaikaew, K. (2015). The Cultural Tourism Management under Context of World Heritage Sites: Stakeholders' Opinions between Luang Prabang Communities, Laos and Muang-kao Communities, Sukhothai, Thailand.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23, 1286-1295. 

  29. Li, M., Wu, B., & Cai, L. (2008). Tourism developing of World Heritage Sites in China: A geographic perspective. Tourism Management, 29, 308-319. 

  30. Lucas, P. H. C. (1992). Protected Landscapes, A guide for policy-makers and planners. London: Chapman & Hall. 

  31. Ormsby, A. A., & Bhagwat, S. A. (2010). Sacred forests of India: a strong tradition of community-base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Environmental Conservation, 37(3), 320-326. 

  32. Owley, J. (2015).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easements: Heritage protection with property law tools. Land Use Policy, 49, 177-182. 

  33. Torquati, B., Giacche, G., & Venanzi, S. (2015). Economic analysis of the traditional cultural vineyard landscapes in Italy. Journal of Rural Studies, 39, 122-132. 

  34. UNESCO. (2003). World Heritage papers 7, Cultural Landscapes: the Challenges of Conservation. Paris: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35. Wagner, J. (1995). Developing a strategy for the Ankor World Heritage Site. Tourism Management, 16(7), 515-523. 

  36. http://cmsdata.iucn.org/downloads/pa_guidelines_016_sacred_natural_sites.pdf 

  37. http://e-kyujanggak.snu.ac.kr/geo/contents/con_map_list.jsp?c102&c2A&c3D13 

  38. http://tour.suncheon.go.kr/home/tour/sightseeing/nakan 

  39. http://whc.unesco.org 

  40. http://whc.unesco.org/en/criteria 

  41. http://whc.unesco.org/pg_friendly_print.cfm?id5598&cid326& 

  42. http://www.cha.go.kr 

  43. http://www.cha.go.kr/worldHeritage/selectWorldHeritageSub.do?mnNS_04_04_02&hcoderecord1 

  44. https://www.cbd.int/doc/meetings/sbstta/sbstta-14/information/sbstta-14-inf-09-en.pdf 

  45. http://www.cha.go.kr/html/HtmlPage.do?pg/heritage/world_heritage/provisional_list_12.jsp&mnNS_04_04_02 

  46. http://www.international.icomos.org/charters/venice_e.htm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