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마을의 보전 개념과 방법론 연구 - 한국.중국 전통마을의 사례연구를 바탕으로 -
The Concept and the Method of Conservation for the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 Based on the Case Study in Korea and China - 원문보기

건축역사연구 : 한국건축역사학회논문집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v.20 no.6, 2011년, pp.147 - 168  

이주옥 (한남대학교 건축학과) ,  한필원 (한남대학교 건축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method of conservation for traditional Korean settlements, based on the field surveys on the representative traditional settlements in Korea and China. The method is approached from grasping the conservation mechanism in which non-physical aspects deep...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마을 보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를 요약하면? 전통마을 보전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문제는 ‘무엇’을 보전 대상으로 선정할 것인가, 또 선정한 보전 대상을 ‘어떻게’ 보전할 것인가로 요약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전통마을의 보전과 관련한 개념을 명확하게 설정하고자 한다.
전통마을의 보전방안에 대한 현실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는 이유는? 최근 사회적으로 전통마을과 주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2010년 8월 1일 하회와 양동마을이 유네스코의 세계유산에 등재됨에 따라서 전통마을의 보전방안에 대한 현실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현재 전통마을의 보전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노정되고 있다.
현재 전통마을의 보전과 관련하여 어떤 문제들이 노정되고 있는가? 첫째, 전통마을의 상업화 및 관광지화의 문제이다. 전통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전통마을이 상업화되고 관광지화됨에 따라 전통마을의 고유한 분위기와 이미지가 손상되고 있다. 둘째, 전통마을의 보전체제와 주민이 갈등을 빚고 있다. 전통마을을 생활공간으로 이용하는 주민과 원형 보존하려는 정부의 입장이 대립하여 심각한 갈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전통마을 보전의 개념과 방향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부족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강동진, 경주 양동마을의 해석과 보전방법론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1997 

  2. 김태조 외, 양동민속마을 종합정비계획보고서, 경주시, 2002 

  3. 민경민 외, 안동하회마을 종합정비계획조사보고서, 안동시, 2001 

  4. 박재하, 한국 민간신앙 상징체계의 장소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 논문, 1988 

  5. 실천민속학회 편, 민속문화의 지속과 변화, 집문당, 2001 

  6. 이왕기 외, 아산 외암민속마을 종합정비계획, 아산시, 2002 

  7. 장기인 외, 하회마을 조사보고서, 경상북도, 1979 

  8. 한필원, 한국의 전통마을을 찾아서, 휴머니스트, 2011 

  9. Norberg-Schulz, Christian, 민경호 역, 場所의 魂, 泰林文化社, 1996 

  10. 段 進 외, 空間硏究1 : 世界文化遺産西遞古村落空間解析, 東南大學出版社, 2006 

  11. 吳曉勤 외, 世界文化遺産, 中國建築工業出版社, 2002 

  12. 汪森强, 水?宏村, 江蘇美術出版社, 2004 

  13. 周若祁 외, 韓城村寨與黨家村民居, 陝西科學技術出版社, 19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