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높은 안정성을 갖는 초미립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
Ultrasmall Polyethyleneimine-Gold Nanoparticles with High Stability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5 no.2, 2011년, pp.161 - 165  

김은정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  염정현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  김한도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  이세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노바이오연구부) ,  이가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노바이오연구부) ,  이현주 (대구경북과학기술원 나노바이오연구부) ,  한상익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신소재개발과) ,  최진현 (경북대학교 기능물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계에서 오랜 시간 동안 안정한 생체적합 금 나노업자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 환원제와 안정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는 폴리에틸렌이민을 이용해 응집성이 낮은 초미립 폴리에틸렌이민 금 나노입자를 상온의 수용액 상에서 합성하였다. 폴리에틸렌이민 금 나노입자의 평균 입자크기는 8~12 nm이었고, 수계의 나노콜로이드 %에서 50nm 내외의 클러스터를 형성하였으며, 매우 뛰어난 안정성을 보였다. 상대적으로 낮은 금속 전구체의 농도에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을 때, 입자의 크기가 두드러지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의 X-선 회절분석 결과, 금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결정 피크가 발견되었다. 또한 세포배양실험 결과, 폴리에틸렌이민과는 달리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는 98%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합성된 폴리에틸렌이민-금 나노입자는 CT 조영제 등으로의 활용이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preparation of biocompatible gold nanoparticles (AuNPs) which are stable in aqueous solutions for a long time. Ultrasmall polyethyleneimine (PEI)-capped AuNPs (PEI-AuNPs) with limited agglomeration were prepared in aqueous solutions at room temperature, which were b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owever, an addition of strong reducing agent like NaBH4 often leads to large particles with a broad size distribution. In this study, the PEI~capped AuNPs were prepared in an aqueous solution, which was based on the roles of PEI as a reductant and a stabilizer. The ultrasmall PEI-AuNPs with the average size of 8 ~12 nm formed the highly stable nanocolloids with the average cluster size of around 50 nm in aqueous media, which satisfies the basic condition of AuNPs as a contrast agent for CT.
  • The mean size of nanocluster was measured by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ELS-800, Photal Otsuka Electronics, Japan) equipped with vertically polarized light supplied by a He-Ne laser, operated at 10 mW at room temperature. UV-VIS spectroscopy was carried out with UV-1700 spectrophotometer (Simadzu, Japan) to investigate the color change of the nanocolloids prepared at different synthesis conditions of AuNPs. The XRD data of dried AuNPs were collected using Cu~Ka radiation with X'part APD X~ray diffractometer (Xeert PRO MRD, Philips, Netherland).

대상 데이터

  • UV-VIS spectroscopy was carried out with UV-1700 spectrophotometer (Simadzu, Japan) to investigate the color change of the nanocolloids prepared at different synthesis conditions of AuNPs. The XRD data of dried AuNPs were collected using Cu~Ka radiation with X'part APD X~ray diffractometer (Xeert PRO MRD, Philips, Netherlan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T. T. Andrew, C. A. Mirkin, and R. L. Letsinger, Science, 289, 1757 (2000). 

  2. G. Duan, W. Cai, Y. Luo, Y. Li, and Y. Lei, Appl. Phys. Lett., 89, 1819 (2006). 

  3. A. Henglein, J. Phys. Chem., 97, 5457 (1993). 

  4. R. C. Hayward, D. A. Saville, and I. A. Aksay, Nature, 404, 56 (2000). 

  5. M. M. Miranda, B. Pergolese, A. Bigotto, and A. J. Giusti, Colloidal Interface Sci., 314, 540 (2007). 

  6. A. M. Schwartzberg, C. D. Grant, A. Wolcott, C. E. Talley, T. R. Huser, R. Bogomolni, and J. Z. Zhang, J. Phys. Chem. B, 108, 1919 (2004). 

  7. S. M. Moghimi, A. C. Hunter, and J. C. Murray, FASEB J., 19, 311 (2005). 

  8. N. L. Rosi and C. A. Mirkin, Chem. Rev., 105, 1547 (2005). 

  9. J. H. Lee, Y. M. Huh, Y. W. Jun, J. W. Seo, J. T. Jang, H. T. Song, S. Kim, E. J. Cho, H. G. Yoon, J. S. Suh, and J. Cheon, J. Nat. Med., 13, 95 (2006). 

  10. D. K. Kim, M. Mikhaylova, F. H. Wang, J. Kehr, B. Bjelke, Y. Zhang, T. Tsakalakos, and M. Muhammed, Chem. Mater., 15, 4343 (2003). 

  11. S. Kim, Y. T. Lim, E. G. Soltesz, A. M. Grand, J. Lee, A. Nakayama, J. A. Parker, T. Mihaljevie, R. G. Laurence, D. M. Dor, L. H. Cohn, M. G. Bawendi, and J. V. Frangioni, Nat. Biotechnol., 22, 93 (2004). 

  12. M. E. Akerman, W. C. W. Chen, P. Laakkonen, S. N. Bhatia, and E. Ruoslahti, Proc. Natl. Acad. Sci. U.S.A., 99, 12617 (2002). 

  13. C. Loo, A. Lowery, N. Halas, J. West, and R. Drezek, Nano Lett., 5, 709 (2005). 

  14. D. Boyer, P. Tamarat, A. Maali, and B. Lounis, Science, 297, 1160 (2002). 

  15. W. Krouse, Adv. Drug Deliver. Rev., 37, 159 (1999). 

  16. W. Krause and P. W. Schneider, Topics in Current Chemistry, Springer, Heidelberg, 2002. 

  17. I. Hizoh and C. Haller, Invest. Radiol., 37, 428 (2002). 

  18. C. Haller and I. Hizoh, Invest. Radiol., 39, 149 (2004). 

  19. J. F. Hainfeld, D. N. Slatkin, T. M. Focella, and H. M. Smilowitz, Br. J. Radiol., 79, 248 (2006). 

  20. V. Kattumuri, K. Katti, S. Bhaskaran, E. J. Boote, S. W. Casteel, G. M. Fent, D. J. Robertson, M. Chandrasekhar, R. Kannan, and K. V. Katti, Small, 3, 333 (2007). 

  21. D. Kim, S. Park, J. H. Lee, Y. Y. Jeong, and S. Jon, J. Am. Chem. Soc., 129, 7661 (2007). 

  22. Y. Sun and Y. Xia, Science, 298, 2176 (2002). 

  23. T. P. Sau and C. J. Murphy, Langmuir, 20, 6414 (2004). 

  24. C. S. Ah, Y. J. Yun, H. J. Park, W. J. Kim, D. H. Ha, and W. S. Yun, Chem. Mater., 17, 5558 (2005). 

  25. R. Shukla, V. Bansal, M. Chaudhary, A. Basu, R. R. Bhonde, and M. Sastry, Langmuir, 21, 10644 (2005). 

  26. E. E. Connor, J. Mwamuka, A. Gole, C. J. Murphy, and M. D. Wyatt, Small, 1, 325 (2005). 

  27. R. Popovtzer, A. Agrawal, N. A. Kotov, A. Popovtzer, J. Balter, T. E. Carey, and R. Kopelman, Nano Lett., 12, 4593 (2008). 

  28. S. Kobayashi, K. Hiroishi, M. Tokunoh, and T. Saegusa, Macromolecules, 20, 1496 (1987). 

  29. I. Hussain, M. Brust, A. J. Papworth, and A. I. Cooper, Langmuir, 19, 4831 (2003). 

  30. M. M. Alvarez, J. T. Khoury, T. G. Schaaff, M. N. Shafigullin, T. Vezmar, and R. L. Whetten, J. Phys. Chem. B, 101, 3706 (1997). 

  31. X. Sun, X. Jiang, S. Dong, and E. Wang, Macromol. Rapid Commun., 24, 1024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