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입자 크기 측정을 통한 생분해성 나노입자의 시간에 따른 분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ability of Biodegradable Nanoparticle with Time via Particle Size Measurement 원문보기

폴리머 = Polymer (Korea), v.32 no.3, 2008년, pp.246 - 250  

조국영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임진형 (공주대학교 신소재공학부) ,  박정기 (KAIST 생명화학공학부) ,  이기석 (공주대학교 기계자동차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해성 고분자의 종류와 제조조건에 따른 나노입자의 분산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산란 입도 분석기를 이용하여 입자 크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D,L-락타이드-co-글리콜라이드) 단독과 폴리(L-락타이드)와의 블렌드, 그리고 폴리(L-락타이em)-g-폴리(에틸렌 글리콜)과의 블렌드, 세 종류를 개선된 자발적 에멀션/용매 확산 방법을 이용하여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제조조건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나노입자의 제조시에 대표적인 분산 안정제인 폴리(비닐 알코올)(PVA)의 사용 유무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분산 안정제가 적용되지 않은 경우에서는 나노입자의 분해와 분해를 통해 붕괴된 입자의 응집에 의하여 입자의 크기가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다. 나노입자가 분산된 수용액에 단백질 용액을 투입한 경우에는 분산 안정제인 PVA의 사용 유무에 의해 극명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PVA가 분산 안정성에 크게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낮은 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이 그래프트 고분자를 미량 블렌드함에 따라 입자의 단백질 흡착에 대한 분산 안정성은 침전이 일어나지 않고 1일 정도 분산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부터 일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lloidal stability of the biodegradable nanoparticle was characterized by measuring the variation of particle size with time using photon correlation spectroscopy. Three kinds of polymers, namely, poly(D,L-lactide-co-glycolide)(PLGA), PLGA/poly(L-lactide) blends, and PLGA/poly(L-lactide)-g-poly(e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 이상부터 PVA 자체가 응집체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PVA 농도를 매우 낮게(0.4 wt%) 유지하여 PVA의 입자크기에 대한 영향변수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17 Figure 2에서는 PVA가 분산 안정제로 도입되었을 경우와 도입되지 않았을 경우의 나노입자 제조 직후의 크기를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 S. Soppimath, T. M. Aminabhavi, A. R. Kulkarni, and W. E. Rudzinski, J. Control. Release, 70, 1 (2001) 

  2. R. Gref, A. Domb, P. Quellec, T. Blunk, R. H. Muller, J. M. Verbavatz, and R. Langer, Adv. Drug Deliver. Rev., 16, 215 (1995) 

  3. K. E. Uhrich, S. M. Cannizarro, R. S. Langer, and K. M. Shakesheff, Chem. Rev., 99, 3181 (1999) 

  4. R. Gref, Y. Minamitake, M. T. Peracchia, V. Trubetskoy, V. Torchilin, and R. Langer, Science, 263, 1600 (1994) 

  5. M. F. Zambaux, F. Bonneaux, R. Gref, E. Dellacherie, and C. Vigneron, J. Biomed. Mater. Res., 44, 109 (1999) 

  6. B. S. Kim, Y. Zeroual, and K. M. Lee, Polymer(Korea), 31, 20 (2007) 

  7. T. K. Jung, Y. M. Oh, and B. C. Shin, Polymer(Korea), 27, 370 (2003) 

  8. T. Verrecchia, G. Spenlehauer, D. V. Bazile, A. Murry-Brelier, Y. Archimbaud, and M. Veillard, J. Control. Release, 36, 49 (1995) 

  9. S. M. Moghimi, A. C. Hunter, and J. C. Murray, Pharmacol. Rev., 53, 283 (2001) 

  10. J. Rieger, C. Passirani, J. P. Benoit, K. van Butsele, R. Jerome, and C. Jerome, Adv. Funct. Mater., 16, 1506 (2006) 

  11. K. Y. Cho, C. H. Kim, J. W. Lee, and J. K. Park, Macromol. Rapid Commun., 20, 598 (1999) 

  12. K. Y. Cho, S. H. Choi, C. H. Kim, Y. S. Nam, T. G. Park, and J. K. Park, J. Control. Release, 76, 275 (2001) 

  13. C. Wu, J. Fu, and Y. Zhao, Macromolecules, 33, 9040 (2000) 

  14. M. J. Santander-Ortega, N. Csaba, M. J. Alonso, J. L. Ortega- Vinuesa, and D. Bastos-Gonzalez, Colloid Surface A, 296, 132 (2007) 

  15. H. Murakami, M. Kobayashi, H. Takeuchi, and Y. Kawashima, Powder Technol., 107, 137 (2000) 

  16. J. K. Kweon, Y. I. Jeong, M. K. Jang, C. H. Lee, and J. W. Nah, Polymer(Korea), 26, 535 (2002) 

  17. M. F. Zambaux, F. Bonneaux, R. Gref, P. Maincent, E. Dellacherie, M. J. Alonso, P. Labrude, and C. Vigneron, J. Control. Release, 50, 31 (1998) 

  18. S. K. Sahoo, J. Panyam, S. Prabha, and V. Labhasetwar, J. Control. Release, 82, 105 (2002) 

  19. K. M. Shakesheff, C. Evora, I. Soriano, and R. Langer, J. Colloid Interface Sci., 185, 538 (1997) 

  20. J. Fu and C. Wu, J. Polym. Sci.; Part B: Polym. Phys., 39, 703 (2001) 

  21. K. Avgoustakis, A. Beletsi, Z. Panagi, P. Klepetsanis, E. Livaniou, G. Evangelatos, and D. S. Ithakissios, Int. J. Pharm., 259, 115 (2003) 

  22. H. Murakami, Y. Kawashima, T. Niwa, T. Hino, H. Takeuchi, and M. Kobayashi, Int. J. Pharm., 149, 43 (1997) 

  23. G. Jian, B. H. Woo, F. Kang, J. Singh, and P. P. DeLuca, J. Control. Release, 79, 137 (2002) 

  24. M. van de Weert, J. Hoechstetter, W. E. Hennink, and D. J. A. Crommelin, J. Control. Release, 68, 351 (2000) 

  25. K. Y. Cho, K. H. Lee, and J. K. Park, Polym. J., 32, 537 (2000) 

  26. A. Vonarbourg, C. Passirani, P. Saulnier, and J. P. Benoit, Biomaterials, 27, 4356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