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목적 실용위성 3호, 5호, 3-A호 등 다양한 고해상도 센서를 탑재한 국산 위성이 곧 발사될 예정에 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에 의한 재난재해 빈발 등 각종 범지구적 문제 발생에 따른 세계 각국의 지구 관측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우리나라도 침체되어 있는 위성영상정보 활용의 범위와 깊이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국외의 위성영상정보 활용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전망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위성영상정보 활용자들을 대상으로 위성영상정보 수요 및 활용 제약 요인들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처리과정의 표준화와 함께 각종 관련 기술 자료들의 공개, 신속하고 체계화된 자료 배급체계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수립될 예정으로 있는 위성영상정보 활용 확대 방안의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목적 실용위성 3호, 5호, 3-A호 등 다양한 고해상도 센서를 탑재한 국산 위성이 곧 발사될 예정에 있을 뿐 아니라, 기후변화에 의한 재난재해 빈발 등 각종 범지구적 문제 발생에 따른 세계 각국의 지구 관측 활동이 활성화되면서 우리나라도 침체되어 있는 위성영상정보 활용의 범위와 깊이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을 시작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첫 번째 단계로 국외의 위성영상정보 활용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전망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위성영상정보 활용자들을 대상으로 위성영상정보 수요 및 활용 제약 요인들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조사결과 전처리과정의 표준화와 함께 각종 관련 기술 자료들의 공개, 신속하고 체계화된 자료 배급체계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분석 결과는 향후 수립될 예정으로 있는 위성영상정보 활용 확대 방안의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due to the low R&D investment in remote sensing application though Korea had succeeded in developing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during the last decades. However, another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such as KOMPSAT 3, 3-A, ...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due to the low R&D investment in remote sensing application though Korea had succeeded in developing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during the last decades. However, another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such as KOMPSAT 3, 3-A, 5 are going to be launched in the near future. And recent global warming issues stimulate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make the most of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Korean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mand and restrictions in exploitation of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in Korea through the online survey and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pre-processing, service of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fast and reliable image data delivery system are mostly required.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have not been fully utilized due to the low R&D investment in remote sensing application though Korea had succeeded in developing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during the last decades. However, another series of earth observing satellites such as KOMPSAT 3, 3-A, 5 are going to be launched in the near future. And recent global warming issues stimulate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to make the most of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Therefore, it is inevitable to promote the utilization of Korean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demand and restrictions in exploitation of satellite imagery information in Korea through the online survey and intervie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andardization of pre-processing, service of detailed technical information, fast and reliable image data delivery system are mostly requir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하겠다. 본 논문에서는 원격탐사 관련 국외의 시장 및 기술개발현황에 대한 간단한 분석과 함께 국내 위성영상정보 수요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해 위성영상정보의 활용확대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내의 위성영상정보 활용자들의 종사분야별, 활용분야별 위성 영상자료에 대한 수요의 특징을 분석하고, 서면 인터뷰를 통해 활용의 제약 요인 및 영상정보 수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정보의 수요와 함께 분야별로 위성영상정보에 대해 그 경제적 가치를 어느 정도로 생각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연간 기준 10억이하, 100억 이하, 1,000억이하, 1,000억 이상 4개 범위로 구분하여 답을 묻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활용분야별로는 농업(5。%)과 대기/기상(42.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정보의 활용 확대 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를 확보하고자, 국외의 위성 영상정보 활용 관련 기술개발 현황 및 시장 전망에 대한 분석과 함께 국내 위성영상정보 활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및 인터뷰를 통하여 위성 영상정보 수요를 파악하였다.
제안 방법
활용 분야는 해양/수산, 대기/기상, 수자원, 산림자원, 농업, 재난재해, 토목/도시계획의 7개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종사 분야는 중앙정부, 지자체, 산업계, 학계, 과학기술계의 5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총 응답자 122명 가운데 토목/도시계획 분야 종사자가 43명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으며, 농업 분야(3명)를 제외하고 활용분야별 응답자는 10여명 정도였다(Fig.
대상 데이터
온라인 설문조사는 2010년 7월 19일부터 8월 6일에 걸쳐 관련분야 학회와 산업협회 회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설문조사 응답자는 총 122명이었다. 활용 분야는 해양/수산, 대기/기상, 수자원, 산림자원, 농업, 재난재해, 토목/도시계획의 7개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종사 분야는 중앙정부, 지자체, 산업계, 학계, 과학기술계의 5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성능/효과
활용 분야는 해양/수산, 대기/기상, 수자원, 산림자원, 농업, 재난재해, 토목/도시계획의 7개 분야로 구분하였으며, 종사 분야는 중앙정부, 지자체, 산업계, 학계, 과학기술계의 5개 분야로 구분하였다. 총 응답자 122명 가운데 토목/도시계획 분야 종사자가 43명으로 전체의 35%를 차지했으며, 농업 분야(3명)를 제외하고 활용분야별 응답자는 10여명 정도였다(Fig. 1).
향후 가장 필요로 하는 위성영상자료의 공간 해상도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재난재해 분야에서 전체의 76.9% 가 Im 이하의 해상도로 응답하여, 고해상도 영상자료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2). 반면, 대기/기상분야의 경우 30m~K)m의 해상도에 대한 수요가 38.
이외에 수자원, 산림자원, 농업분야, 토목/도시 계획분야에서도 Im 이하의 고해상도 위성영상자료에 대한 수요가 가장 높았다. 종사분야별로 구분해보면 산업계, 지자체, 중앙정부의 순으로 Im이하의 고해상도영상에 대한 수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ig. 3). 중앙정부의 경우 30m~10m 해상도의 영상자료에 대한 수요도 비교적 크게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중앙정부의 업무 특성상 전국토를 관심영역으로 하며, 북한지역에 대한 공간정보 수요에 의한 것으로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높은 공간해상도의 위성영상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나, 활용분야 및 목적에 따라 중 - 저해상도 영상에 대한 수요가 아직 상존하고있는 것으로 분석되며, 이는 미국 ASPRS의 조사분석결과(Mondello, 2006) 및 N0AA의 조사분석 결과와 매우 유사한 양상을 보여준다(Johnson, 2007).
영상수신 후 공급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묻는 질문에 대한 활용분야별 응답을 보면, 해양/수산 분야가 실시간공급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으며, 수자원 분야에서도 실시간 자료에 대한 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대기/기상 분야와 농업분야에서는 1일~3일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산림자원분야는 4일~7일이라는 응답이, 그리고 토목/도시계획 분야는 1주~3주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대기/기상 분야와 농업분야에서는 1일~3일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산림자원분야는 4일~7일이라는 응답이, 그리고 토목/도시계획 분야는 1주~3주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재난재해분야에서는 의외로 실시간 자료에 대한 수요가 낮게 나타나고 오히려 4일~7일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재난재해분야에서는 의외로 실시간 자료에 대한 수요가 낮게 나타나고 오히려 4일~7일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전체적으로는 1일~3일 이내라는 응답이 전체응답의 23.4%로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4일~7일 이내로 19.6%로나타났다. 또한, 실시간 내지 24 시간 이내에 공급되기를 희망하는 응답이 30.
있다. 수신 후 7일 이내에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는 위성영상 공급체계의 구축이 매우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있다. 해양/수산 분야와 대기/가상 분야, 수자원 분야의 경우 영상품질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응답이 각각 32%, 33.3%, 30.4%로서 매우 높았다. 반면.
종사분야별로 보면, 산업계, 과학기술계, 학계는 3일 이내라는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중앙정부는 7일 이내, 지자체는 3주 이내 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자체의 영상자료 공급시간에 대한 특징적인 수요는 앞서의 자료공급 형태에 대한 수요와 함께 분석해보면, 공급까지의 시간이 다소 소요되더라도 각종 보정, 색합성및 모자이크 처리 등 사전 영상처리가 완료되어, 별도의 처리 과정 없이 즉시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의 자료가 공급되기를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후속연구
것으로 분석된다. 전처리과정의 표준화와 관련 기술정보 공개, 전처리결과에 대한 정량적 품질 정보 제공이 반드시 필요하며, 최종 활용자에게 수신 후 7일 이내에 자료가 공급될 수 있는 영상자료 배급체계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