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방조제 건설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 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Dike Construction in Asan Bay, Korea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9 no.4, 2011년, pp.326 - 344  

유옥환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이형곤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  이재학 (한국해양연구원 해양생물자원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아산만 인근해역은 최근 20여년 넘게 실시된 각종 방조제 공사가 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충분치 않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화옹방조제 건설 이후 아산만 대형저서동물의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분석하였다. 대형저서동물 채집은 2007년 8월과 2008년 2월에 아산만 주변 해역 22개의 정점에서, 스미스 맥킨타이어 그랩(Smith McIntyre Grab, 표면 면적: 0.1$m^2$)을 이용하였다.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유기물 함량은 상대적으로 높았고, 수심이 낮았으며, 퇴적물 입자는 방조제 주변에서 펄의 함량이 높았다. 그러나 방조제에서 남양만 외측으로 갈수록 수심이 깊어지고 모래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조사 해역에서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317 종이였으며, 평균서식밀도는 1,155 개체 $m^{-2}$로 지금까지 조사된 결과와 비교했을 때 매우 높았다. 본 조사에서 퇴적물내 유기물 오염이 진행된 지역에서 다량 출현하여 예비 오염지시종으로 알려진 다모류 $H.$ $filiformis$가 가장 우점하였으며, 세립질 퇴적물이 많이 분포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화옹방조제 주변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였다. 반면에 오염에 민감하게 반응을 하는 다모류 $A.$ $arctica$와 극피동물인 $A.$ $squamata$ 등은 화옹방조제에서 먼 거리에 위치한 아산만 내측과 남양만 외측에 서식밀도가 높았다. 대형저서동물의 군집은 방조제에 인접한 지역과 그 외 지역으로 크게 구분되어졌으며, 퇴적물의 입자 (펄 함량 또는 평균입도)와 균질상태 그리고 유기물함량 등이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아산만 대형저서동물 군집은 방조제 건설 이후 유기물 함량의 증가와 퇴적상의 변화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여겨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anthropogenic disturbance of 20 years duration affects benthic habitats, few studies have examined its effect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of a ba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variables on the macrobenthic communities after the construction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조사에서는 아산만과 남양만 인근해역에서의 방조제 건설이후 해양저서생태계 군집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형저서동물의 종 조성, 밀도, 우점종 등의 단변량분석과 다변량분석인 군집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반적으로 연안환경을 평가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연안환경을 평가할 때 수층이나 저층에 있는 오염물질을 평가하거나, 해양생태계를 구성하는 해양생물의 분포나 오염원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한 영향을 평가한다. 최근에는 오염물질 자체보다는 해양생물을 이용한 평가가 보다 실질적인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계를 평가하는 데 도움이 된다(Dauer 1993).
국내에서 내만 및 연안역에 방조제를 건설한 지역과 그로 인한 환경 변화는? 아산만 및 남양만 인근해역은 삽교 및 아산방조제, 서해대교, 남양방조제, 화옹방조제, 석문지구방조제 등의 건설로 해안선의 변화가 있었으며, 석문공단, 인주공단 등여러 산업시설공사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연안 환경에 영향을 주고 있다(이와 이 1997). 더군다나 최근의 연안 매립 및 항로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적인 준설 등으로 인한 저층의 교란 및 부유 토사 등의 증가는 그곳에 살고 있는 해양생물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여겨진다. 지금까지 아산만 인근해역에서의 해양생태계 조사는 대부분 부유생태계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에 대한 연구(문 등 1993), 식물플랑크톤(이 등 2005; 현 등 2006; 이 등 2007), 동물플랑크톤 (박 등 1991; Choi and Park 1993; 명 등 1994; 이 등 2006; 이 등 2007) 및 저어류 (김과 이 1991; 이와 김 1992; 이 1993; 이와 황 1995)에 대한 연구 등이 대부분으로, 연안생태계 변화에 민감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저서동물에 대한 연구는 매우 적다(신 등 1992; Paik et al.
내만 및 연안역이 해양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곳인 이유는? 내만 및 연안역은 생물다양성이 높고 포식자로부터의 위협이 적기 때문에, 많은 유영생물이 산란하고 어린시기를 보내며 성장하는 곳으로 해양생태계에 매우 중요한 곳이다(Able et al. 1999; Jone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광천, 이태원. 1991. 아산만 저어류의 주야 및 계절 변동. 한국어류학회지. 3:172-172. 

  2. 명철수, 유재명, 김웅서. 1994. 아산만 해역의 동물플랑크톤 분포. 한국해양학회지. 29:366-375. 

  3. 문창호, 박 철, 이승용. 1993. 아산만의 영양염 및 입자성 유기물. 한국수산학회지. 26:173-181. 

  4. 박 철, 최근형, 문창호. 1991. 아산만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수직이동. 한국수산학회지. 24:472-482. 

  5. 신현출, 강성길, 고철환. 1992. 경기만 나부 해역의 저서다모류 군집. 한국해양학회지. 27:164-172. 

  6. 이두별,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7. 아산만 해역에서 장마기 전후 중형동물플랑크톤군집의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337-348. 

  7. 이상현,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5. 아산만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군집 분포 특성. Ocean and Polar Research 27:149-159. 

  8. 이창래, 박 철, 양성렬, 신용식. 2006. 아산만 해역 중형동물 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1:1-10. 

  9. 이태원. 1993. 아산만 저어류. III. 정점간 양적 변동과 종조성. 한국수산학회지. 26:438-445. 

  10. 이태원, 김광천. 1992. 아산만 저어류. II. 종조성의 주간 및 계절변동. 한국수산학회지. 25:103-114. 

  11. 이태원, 황선환. 1995. 아산만 저어류 IV. 종조성의 최근 3년간(1990-1993) 변화. 한국수산학회지. 28:67-79. 

  12. 이향화, 신용식, 양성렬, 박 철. 2007. 아산만 연안하구 식물플랑크톤의 2006년 하계 종조성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2:200-210. 

  13. 이현영, 이승호. 1997. 한국의 대규모 간척사업이 주변의 환경 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32:463-478. 

  14. 임현식, 이재학, 최진우, 제종길. 1995. 영종도 주변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28:625-648. 

  15. 임현식, 최진우. 1998. 경기만 대부도 주변 조하대 해역의 저서동물 군집. 한국수산학회지. 31:453-462. 

  16. 한국해양연구소. 1993. 화옹지구 간척 매립에 따른 어업피해 보상 연구. 한국해양연구소보고서. 504pp. 

  17. 현봉길, 신용식, 박 철, 양성렬, 이영준. 2007. 아산만 식물플랑크톤 크기구조의 시.공간적 변동. 환경생물. 24:7-18. 

  18. 홍재상, 정래홍, 서인수, 윤건탁, 최병미, 유재원. 1997. 시화방조에의 건설은 저서동물군집의 시공간분포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한국수산학회지. 30:882-895. 

  19. Able KW, JP Manderson and AL Studholme. 1999. Habitat quality for shallow water fishes in an urban estuary: the effects of man-made structures on growth. Mar. Ecol. Prog. Ser. 187:227-235. 

  20. Borja A, J Franco and V Perez. 2000. A marine biotic index to establish the ecological quality of soft-bottom benthos within European estu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Mar. Pollut. Bull. 40:1100-1114. 

  21. Burd BJ, PAG Baarner, CA Wright and RE Thomson. 2008. A review of subtidal benthic habitats and invertebrate biota of the strait of Georgia, Britich Columbia. Mar. Envrion. Res. 66:S3-S38. 

  22. Choi KH and C Park. 1993. Seasonal fluctuation of zooplankton community in Asan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6:424-437. 

  23. Clarke KR. 1993. Non-parametric multivariate analyses of changes in community structure. Aust. J. Ecol. 18:117-143. 

  24. Clarke KR and M Ainsworth. 1993. A method of linking multivariate community structure to environmental variables. Mar. Ecol. Prog. Ser. 92:205-219. 

  25. Courrat A, J Lobry, D Nicolas, P Laffargue, R Amara, M Lepage, M Girardin and O Le Pape. 2009. Anthropogenic disturbance on nursery function of estuarine areas. Estuar. Coast. Shelf Sci. 81:179-190. 

  26. Dauer DM. 1993. Biological criteria, environmental health and estuarine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Mar. Pollut. Bull. 26:249-257. 

  27. Dauvin JC, N Desroy, AL Janson, C Vallet and S Duhamel. 2006. Recent changes in estuarine benthic and suprabenthic communities resulting from the development of harbour infrastructure. Mar. Pollut. Bull. 53:80-90. 

  28. Dauvin JC, S Alizier, C Vallet and T Ruellet. 2010. Does the Port 2000 harbour construction have an effect on the Seine estuary suprabenthic community? Estuar. Coast. Shelf Sci. 86:42-50. 

  29. Dolbeth M, F Martinho, I Viegas, H Cabral and MA Pardal. 2008. Estuarine production of resident and nursery fish species: conditioning by drought events? Estuar. Coast. Shelf Sci. 78:51-61. 

  30. Franco A, M Elliott, P Franzoi and P Torricelli. 2008. Life strategies of fishes in European estuaries: the functional guild approach. Mar. Ecol. Prog. Ser. 354:219-228. 

  31. Hong JS and JW Yoo. 1996. Salinity and sediment types as sources of variability in the distribution of the benthic macrofauna in Han estuary and Kyonggi Bay, Korea. J. Korean Soc. Oceanogr. 31:217-231. 

  32. Jones RF, DM Baltz and RL Allen. 2002. Patterns of resource use by fishes and macroinvertebrates in Barataria Bay, Louisiana. Mar. Ecol. Prog. Ser. 237:271-289. 

  33. Paik SG, SG Yun, HS Park, JH Lee and CW Ma. 2008. Effects of sediment disturbance caused by bridge construction on macrobenthic communities in Asan Bay, Korea. J. Environ. Biol. 29:559-566. 

  34.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u. Rev. 16:229-311. 

  35. Ponti M, C Casselli and M Abbiati. 2011. Anthropogenic disturbance and spatial heterogenity of macrobenthic invertebrate assembalges in coastal lagoons: the study case of Pialassa Baiona (northern Adriatic Sea). Helgol. Mar. Res. 65:25-42. 

  36. Shannon CE and W Wien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Illinois Press, Urbaba. 117pp. 

  37. Shin HC, JW Choi and CH Koh. 1989. Faunal assemblages of benthic macrofauna in the inter- and subtidal region of the inner Kyeonggi Bay, west coast of Korea. J. Oceanol. Soc Korea. 24:184-193. 

  38. Shin HC, SK Kang and CH Koh. 1992. Benthic polychaete community in the southern area of Kyeonggi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27:164-172. 

  39. Warwick RM and KR Clarke. 1993. Comparing the severity of disturbance. A meta-analysis of marine macrobenthic community data. Mar. Ecol. Prog. Ser. 92:221-231. 

  40. Warwick RM and PJ Somerfield. 2010. The structure and functioning of the benthic macrofauna of the Bristol Channel and Severn Estuary, with predicted effects of a tidal barrage. Mar. Pollut. Bull. 61:92-99. 

  41. Wilber DH, GL Ray, DG Clarke and RJ Diaz. 2008. Responses of benthic infauna to large-scale sediment disturbance in Corpus Christi Bay, Texas. J. Exp. Mar. Biol. Ecol. 365:13-2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