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닫힌 사슬운동과 병행된 중간볼기근의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with FES of the Gluteus Medius on Gait in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6 no.1, 2011년, pp.1 - 8  

이수경 (대구대학교 대학원) ,  박민철 (부산대학교병원 물리치료실) ,  심제명 (김해대학 물리치료과) ,  김경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losed kinetic chain exercise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of the gluteus medius on gait in stroke. Methods : 30 hemiplegic pati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study. Subjects were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과 닫힌사슬 운동을 병행한 중간볼기근 보행훈련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신경손상으로 인하여 보행에 장애가 있는 경우 보행의 손상정도를 파악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인 10m 걷기를 통하여 보행 속도를 측정하였고, 편평한 지면에서 2분 걷기를 사용하여 분속수를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기능에 있어 필수적인 중간볼기근의 회복을 위하여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능적 전기자극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를 높힐 수 있는 닫힌 사슬운동을 병행하여 적용하는 것이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 속도 및 보행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 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능적 전기 자극은 무얼을 포함하는가? 중추신경계가 손상이 있으나 말초신경계가 완전한 환자에게 말초신경을 통하여 근육을 전기자극하는 것은 신경근 가소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기능적 전기 자극은 환자의 의지나 반사자극에 의한 운동신경원 활성화에 따른 근육의 장력과 수축, 그리고 전기자극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수용성 반사기전이나 근피성 반사기전의 결과로 유발되는 근육의 장력과 수축을 모두 포함한다(임종수 등, 1999). 김용철 등(2004)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 있어서 발바닥굽힘의 경직근에 운동치료와 함께 길항근에 대한 기능적 전기자극이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효과가 있다고 하였으며, 양회송 등(1997)은 기능적 전기자극을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증진에 대한 연구에서 기능적 전기자극을 사용했을 때 비정상적 보행패턴에서 많은 개선을 보였으며 보폭, 보행속도, 보행주기도 전반적인 개선이 있었다고 하였다.
기능적 전기자극은 어떤 역할로 사용되는가? 이러한 치료적 중재 프로그램 중 기능적 전기자극은 임상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치료적 방법의 하나로 뇌졸중이나 척수 손상, 그리고 두부 외상 등의 중추신경 손상 환자에서 마비된 근육의 근력 강화, 보행 장애 상태 개선과 보행 훈련 및 보조기의 역할로서 사용되고 있다(Kralj 등, 1988). 중추신경계가 손상이 있으나 말초신경계가 완전한 환자에게 말초신경을 통하여 근육을 전기자극하는 것은 신경근 가소성을 증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의 향상을 위한 중재들은 어떤것들이 있는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기능회복에 있어 보행의 향상은 중요한 목표이며 일상생활의 독립에 가장 기본적인 요소가 때문에 물리치료적 중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Davies, 1985). 이에 물리치료사들은 보행 훈련 시 측방으로 기울인 채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고 전체 골반과 체간을 전방과 후방으로 체중을 이동시키는 훈련을 하는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법, 체중지지 트레드밀 훈련, 보장구의 적용, 보행 기계 장치, 시/청각 생체 되먹임 훈련, 기능적 전기자극 등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 기술을 증진시키고 높은 기능적인 독립수준을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치료적 중재들을 적용하고 있고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져 왔다(Adler 등, 2008; Hesse 등, 1994; Hesse 등, 1999; Hesse 등, 2000; Lindquist 등, 2007; Schauer와 Mauritz, 2003; Tyso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김동욱. 성인 편마비환자의 중둔근 강화에 따른 균형과 보행속도 변화.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 김수민. PNF와 순환운동이 집단훈련이 재가 뇌졸중 장애인의 운동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3. 김용철, 이석민, 송창호.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가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3):539-48. 

  4. 김의룡. 닫힌 사슬 운동과 열린 사슬 운동이 고관절 외전근의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석사학위논문. 2006. 

  5. 김좌준, 노민희, 구봉오 등. 속도-의존적 체중지지 트레드밀 보행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17(3):339-50. 

  6. 문상은. 전신조정술. 서울. 정담미디어. 2004. 

  7. 송선홍, 송우현, 유종윤 등. 초기 뇌졸중 환자에서 부분 체중 부하 Harness 착용 하 보행 훈련 효과 비교. 대한재활의학회지. 2003;27(5):653-60. 

  8. 안창식, 정석. 정상인과 편마비환자의 보행분석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2;14(3):143-8. 

  9. 양회송, 김광수, 이해덕. FES를 이용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증진에 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997;4(4):539-48. 

  10. 임종수, 김순희, 송영화. 기능적 전기 자극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1999;6(4):187-99. 

  11. 정호중, 권도철, 박인선.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시 자극 주파수 차이에 따른 근육의 반응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재활의학회지. 1993;17(1):95-9. 

  12. Adler S, Beckers D, Buck M. PNF in Practice. 3rd ed. Germany. Springer - Verlag. 2008. 

  13. Aniansson A, Rundgren A, Sperling L. Evaluation of functional capacity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70-year-old men and women. Scandinavian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1980;12(4): 145-54. 

  14. Barbara J, Susan L. Physical Agents : Theory and Practice. 2rd ed. Philadelphia. F.A. Davis Co. 1996. 

  15. Bogataj U, Gros N, Kliajic M et al. The rehabilitation of gait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 comparison between conventional therapy and multichannel functional electical stimulation therapy. Phys Ther. 1995;75(6):490-502. 

  16. Bohannon RW, Smith MB. Interrater reliability of a modified Ashworth scale of muscle spasticity. Phys Ther. 1987;76(2):206-7. 

  17. Carr JH, Shepherd RB. Investigation of a new motor assessment scale for stroke patient. Phys Ther. 1985;65(2):175-80. 

  18. Collen FM, Wade DT, Bradshaw CM. Mobility after stroke: reliability of measures of impairment and disability. Int Disabil Studies. 1990;12(1):6-9. 

  19. Davies PM. Steps to follow: a guide to the treatment of adult hemiplegia. 2rd ed. New York Springer-Verlag. 1985. 

  20. Smith LK, Weiss EL, Don Lehmkuhl L. Brunnstrom's 임상운동학. 5th ed. 서울. 영문출판사. 1999. 

  21. Lindquist AR, Parado CL, Barros RM et al. Gait training combining partial body-weight support, a treadmill,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s in poststroke gait. phys Ther. 2007;87(9):1144-54. 

  22. Loewen SC, Anderson BA. Reliability of the Modified Motor Assessment Scale and the Barthel Index. Phys Ther. 1988;68(7):1077-81. 

  23. Schauer M, Mauritz Karl-Heinz. Musical motor feedback(MMF) in walking hemiparetic stroke patients: randomized trials of gait improvement. Clin Rehabil. 2003;17(7):713-22. 

  24. Palmitier RA, An KN, Scott SG et al. Kinetic chain exercise in knee rehabilitation. Sports Medicine. 1991;11(6):402-13. 

  25. Perry J, Garrett M, Gronley JK et al. Classification of walking handicap in the Stroke population. Stroke. 1995;26(6):982-9. 

  26. Perry J. Gait analysis :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2rd ed. USA. Slack Inc. 2010. 

  27. Hesse S, Bertelt C, Schaffrin A et al. Restoration in gait in nonambulatory hemiparetic patients by treadmill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rch Phys Med Rehabil. 1994;75(10):1987-93. 

  28. Hesse S, Werner C, Matthias K et al. Non-velocity related effects of a rigid double-stopped ankle-foot orthosis on gait and lower limb muscle activity of hemiparetic patients with an equinovarus deformity. Stroke. 1999;30(9):1855-61. 

  29. Hesse S, Uhlenbrock D, Werner C et al. A mechanized gait trainer for restoring gait in non-ambulatory subjects. Arch Phys Med Rehabil. 2000;81(9): 1158-61. 

  30. Hesse S, Werner C, Paul T et al. Influence of walking speed on lower limb muscle activity and energy consumption during treadmill walking of hemiparetic patient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 (11):1547-50. 

  31. Kosak M, Smith T. Comparison of the 2-, 6-, and 12-minute walk tests in patients with stroke. Journal Rehabil Res Dev. 2005;42(1):103-7. 

  32. Kralj A, Bajd T, Turk R. Enhancement of gait restoration in spinal injuryed patients b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Clin Orthop Relat Res. 1988;(233):34-43. 

  33. Pohl M, Mehrholz j, Ritschel C et al. Speed-dependent treadmill training in ambulatory hemiparetic stroke patients. Stroke. 2002;33(2): 553-8. 

  34. Robinett CS, Vondran MA. Functional ambulation velocity and distance requirements in rural and communities. Phys Ther. 1988;68(9):1371-3. 

  35. Tyson SF. The support taken through walking aids during hemiplegic gait. Clin Rehabil. 1998;12(5): 395-4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