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itical pathway 적용을 통한 급성 뇌졸중 환자의 응급실 체류시간 단축 효과
Reduction of Length of Stay in Emergency Room by Using Critical Pathway for Stroke Patient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1, 2011년, pp.66 - 73  

윤여옥 (제주대학교병원 응급의료센터) ,  김민영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  김우정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  강영준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  박주옥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  박경혜 (제주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응급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monstrate effects of a critical pathway (CP) for stroke patients seen in emergency rooms (ER). Method: The CP developed by the CP committee consisted of 8 criteria: behavior of doctors and nurses, laboratory tests, Image testing, medication, treatment, a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급성 뇌졸중처럼 시간을 다투는 중증질환인 경우 명확한 CP의 적용은 더욱 중요하며, 각각의 의료진들의 정확하고 신속한 역할은 응급상황에서의 효율적인 환자전달 체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뇌졸증 환자의 진료와 치료 과정에 효율적이고 표준화된 CP를 적용함으로써, 환자 진료와 치료 과정 등 전반적인 응급 진료과정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응급센터에 내원한 급성 뇌졸중 환자의 CP를 개발하고, 개발된 CP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행한 후향적 실험-대조군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내원하는 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한 CP가 응급실 재실시간 단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평가하고자 시도되었다.
  • , 2008). 본 연구에서는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제공되는 총체적인 의료관리 내용에 대한 문제점 및 의무기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에 따라 지침을 정리해 놓은 계획표를 말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일 종합병원의 응급의료센터에 방문한 급성 뇌졸중 환자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CP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 특히 급성 뇌졸중의 경우 혈전용해제의 최적 시간(golden time)을 확보하느냐 여부는 환자에게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응급실에서 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시행되는 진단, 처치, 검사, 투약 등의 일련의 과정에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일은 매우 중요하므로,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가설 설정

  • 1) CP를 적용한 군의 신경과 주치의 연락까지 소요된 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2) CP를 적용한 군의 신경과 주치의 응급실 방문까지 소요된 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3) CP를 적용한 군의 영상 검사 결과 보고까지의 소요 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4) CP를 적용한 군의 검체 결과보고까지의 소요 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5) CP를 적용한 군의 혈전용해제 사용까지의 소요 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 6) CP를 적용한 군의 응급실 재실시간은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itical Pathway란 무엇인가? 사례관리는 특정 사례 집단에 대해 한정된 시간에 모든 건강관리팀의 노력을 통합하여 최적의 결과를 얻는데 초점을 둔 건강관리전달체계로서, 특정 기간에 수행해야 할 의료인의 의무와 기대되는 환자의 결과를 기술하여 환자를 관리하는 것이다(Latini & Foote, 1992; Park, 2005). 이러한 사례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특정 기간에 수행할 각 의료진의 활동과 기대되는 환자의 결과를 미리 예상하여 그 과정을 한 눈에 보기 쉽게 도식화한 프로그램이 CP이다(Espinosa-Aguilar et al., 2008).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말로(Korean Stroke Society, 2005), 급성 뇌졸중 환자란 비정상적인 증상 발현 후 경과 시간이 6시간 이내의 환자를 말한다.
급성 뇌졸중 환자란 무엇인가? 뇌졸중이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말로(Korean Stroke Society, 2005), 급성 뇌졸중 환자란 비정상적인 증상 발현 후 경과 시간이 6시간 이내의 환자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 Y., Jang, K. S., & Choi, E. Y. (2002).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the chemotherapy of non-small call lung cancer patients and its effec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1), 85-95. 

  2. Espinosa-Aguilar, A., Reyes-Morales, H., Huerta-Posada, C. E., de Leon, I. L., Lopez-Lopez, F., & Mejia-Hernandez, M., et al. (2008). Design and validation of a critical pathway for hospital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The Journal of Trauma, 64(5), 1327-1341. 

  3. Hong, Y. M. (2002). Developing activity based clin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total hip replac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4), 669-689. 

  4. Kim, E. O. (2004). Effects of a standardized critical pathway in gastrectomy pati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5. Kim, G. Y. (1998).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bypass graft.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8(1), 117-131. 

  6. Kim, J. J., Kim, N. C., Kim, M. J., Kim, O. S., Kim, Y. S., et al. (2005). Medical Surgical Nursing. Seoul: Hyunmoon publishing. 

  7. Kim, J. S. (2010).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of barbiturate coma therapy in the management for severe brain damag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6(1), 59-72. 

  8. Kim, M. J., Lee, J. A., Song, H. S., Kim, E. S., Yeon, M. J., Cho, S. H., et al. (1999). The development of the critical pathway and nursing record for patients received FP chemotherap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1(4), 845-857. 

  9. Kim, S. S., & Roh, Y. S. (1999). Development of critical pathway for the patients follwing lumbar laminecto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1(4), 772-784. 

  10.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2008 Survey of Causes of Death. Retrieved September 30, 2009, from http://kostat.go. kr/portal/korea/kor_nw/3/index.board?bmoderead&aSeq1774 22 

  11. Korean Stroke Society (2005). What is the stroke? Retrieved January 18, 2010, from http://www.stroke.or.kr/stroke/index.html 

  12. Latini, E. E., & Foote, W. (1992). Obtaining consistent quality patient care for the trauma patient by using a Critical Pathway. Critical Care Nurse, 15(3), 51-55. 

  13. Lee, M. O., & Chang, M. O. (2003). Development of the critical pathway for the patient with tonsill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7), 885-894. 

  14. Lee, M. K., & Doh, B. N. (2002). Effects of critical pathway (CP) on the patients with primary total hip replacement (TH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8(2), 295-308. 

  15. Lim, Y. J., Jeong, K. I., Jeong, H. Y., Sun, J. J., Kim, Y. K., Choi, J. K., et al. (2006). Analysis of performance on activities in critical pathway of total hip replacement surger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8(5), 819-827. 

  1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2, December 30).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September 30, 2010, from http://www.mw.go.kr/user.tdf 

  17.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7). Appraisal of Emergency Medical Center. Retrieved August 20, 2010, from http:// www.nemc.or.kr/infor/infor_test_info.jsp 

  18. Noh, G., O., & Park, K. S. (2000). Critical pathway development for the hysterectomy patients and its applied effect.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6(2), 234-257. 

  19. Park, J. J., & Park, H. S. (2000).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lumbar laminectomy.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2(4), 517-532. 

  20. Roh, J. S. (2004). Development of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lobectomy and pneumonectom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0(3), 345-364. 

  21. Park, S. A. (2005). Nursing management. Seoul: Parkmungak. 

  22. Young, J., Murray, J., & Forster, A. (2003). Review of longerterm problems after disabling stroke. Reviews in Clinical Gerontology, 13(1), 55-6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