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황달 환아에서의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알균 보균율에 관한 연구
Carriage Rates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es with Neonatal Jaundice 원문보기

소아감염 = Korean journal of pediatric infectious diseases, v.18 no.2, 2011년, pp.143 - 153  

나동천 (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  서재민 (광명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정현 (광명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원욱 (광명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은령 (성애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은 신생아에서 가장 높다고 알려져 있고,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은 곧 그 균주에 의한 감염증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아진다. 본 연구에서는 신생아황달로 입원한 환아에서의 황색포도알균과 MRSA의 보균율을 조사하였고, 신생아황달의 대부분이 모유황달이나 생리적황달임을 감안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한 신생아의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율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방 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12월까지 성애병원과 광명성애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황달로 입원한 환아 54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입원 첫날 멸균된 면봉으로 비강과 서혜부를 도찰하여 얻은 검체를 세균배양을 통해 황색포도알균을 동정하고 다시 항생제감수성 검사를 통해 메티실린내성 여부를 판정한 결과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총 545명의 환아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고, 이중 318명의 비강과 서혜부에서 황색포도알균이 분리되어 보균율은 58.3%였고 214명의 환아에서는 MRSA가 분리되어 MRSA 보균율은39.3%였다. 또한 분리된 MRSA를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분석하였을 때, C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65.7% (142/216), HA-MRSA로 추정되는 균주는 34.3% (74/216)였다. 결 론: 39.3%의 MRSA 보균율로 미루어볼 때, 외부에서 전원되는 신생아를 대상으로 한 MRSA 감시배양검사는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MRSA 균주 중 CA-MRSA 가능성 균주가 65.7%로 높게 나와 이미 지역내산부인과 및 분만실 등에 CA-MRSA 균주가 정착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되며 이에 대한 지속적이고도 정기적인 MRSA 감시배양검사도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It is known that carriage rates of Staphylococcus aureus (S. aureus) are highest in newborns and that the asymptomatic carriag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is associated with invasive MRSA infection with the colonizing stra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저자들은 최근 5년간 성애병원과 광명성애병원신생아집중치료실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에 황달로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입원 첫날 시행한비강과 서혜부에서의 도찰(swab) 검사를 분석하여 이들신생아에서의 MRSA 보균율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저자들은 일차적으로 황달로 입원한 신생아에서의 MRSA 보균율을 조사하고, 신생아황달의 대부분이 모유황달이나 생리적황달임을 감안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한신생아의 MRSA 보균율과 함께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MRSA의 기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저자들은 일차적으로 황달로 입원한 신생아에서의 MRSA 보균율을 조사하고, 신생아황달의 대부분이 모유황달이나 생리적황달임을 감안하여 이를 통해 간접적으로 건강한신생아의 MRSA 보균율과 함께 항생제 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MRSA의 기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 이렇듯 신생아에서는 CA-MRSA와 HA-MRSA를 구분하는 것이 쉽지 않은실정이다31, 32). 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원내감염의원인균주로 HA-MRSA는 감소하는 반면, CA-MRSA 는 증가하고 있고7) NICU에 입원한 환아에서도 정확한 획득과정은 알 수 없지만 CA-MRSA에 의한 보균이 증가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있어33), 본 조사에서는 항생제감수성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에서 분리되는 MRSA의기원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5%의 산모는 MRSA 보균자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이 CA-MRSA였음을 보고한 바 있다. 보균율이 낮기는 하지만 이 또한 신생아에서 MRSA 균주가 높게 분리되는 것과 연관이 있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고 Seybold 등33)도 NICU에 입원한 신생아에서 분리되는 MRSA가 질식분만 중 전파되 었을 가능성을 보고한 바 있어, 이를 토대로 질식분만으로 태어난 신생아에서 황색포도알균 및 MRSA 보균율이 더 높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본 연구에서 분만방식에 따른 황색포도알균과 MRSA 보균율을 조사하였다(Table 5). 질식분만의 경우에서 황색포도알균과 MRSA 보균율이 더 높게 나타났는데, 황색포도알균의 보균율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는 없었고, MRSA의 보균율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왔다(p=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Wertheim HF, Melles DC, Vos MC, Leeuwen WV, Belkum AV, Verbrugh HA, et al. The role of nasal carriage in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Lancet Infect Dis 2005;5:751-62. 

  2. Choi EH. Clinical manifestation and treatment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children.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1-5. 

  3. EIFF CV, Becker K, Machka K, Stammer H, Peters G. Nasal carriage as a source of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N Engl J Med 2001;344:11-16. 

  4. Huang YC, Chou YH, Su LH, Lien RI, Lin TY.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infection among infants hospitalized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Pediatrics 2006;118:469-74. 

  5. Patel M. Community-associated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Drugs 2009;69:693-716. 

  6. Naimi TS, LeDell KH, Como-Sabetti K, Borchardt SM, Boxrud DJ, Etienne J, et al. Comparison of communityand health care-associate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JAMA 2003;290:2976-84. 

  7. Popovich KJ, Weinstein RA, Hota B. Are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strains replacing traditional nosocomial MRSA strains? Clin Infect Dis 2008;46:787-94. 

  8. Popovich K, Hota B, Rice T, Aroutcheva A, Weinstein RA. Phenotypic prediction rule for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Clin Microbiol 2007;45:2293-5. 

  9. Millar BC, Loughrey A, Elborn JS, Moore JE. Proposed definitions of community-associated met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MRSA). J Hosp Infect 2007;67:109-13. 

  10. Gregory ML, Eichenwald EC, Puopolo KM. Seven-year experience with a surveillance program to reduce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olonization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s 2009;123:e790-6. 

  11. Kim DH, Kim SM, Park JY, Cho EY, Choi CH.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olonization among neonatal unit staffs and infection control measure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131-41. 

  12. Matouskova I, Janout V. Current knowledg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nd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iomed Pap Med Fac Univ Palacky Olomouc Czech Repub 2008;152:191-202. 

  13. Lee YJ, Kim HJ, Byun SY, Park SE, Park HJ.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in neonates. Korean J Pediatr 2010;53:173-7. 

  14. Cimolai N. Staphylococcus aureus outbreaks among newborns: new frontiers in an old dilemma. Am J Perinatol 2004;20:125-36. 

  15. Peacock SJ, Justice A, Griffiths D, Silva GD, Kantzanou MN, Crook D, et al. Determinants of acquisition and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in infancy. J Clin Microbiol 2003;41:5718-25. 

  16. Ko KS, Lee JY, Baek JY, Peck KR, Rhee JY, Kwon KT, et al. Characteriza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arriage from children attending an outpatient clinic in Seoul, Korea. Microb Drug Resist 2008;14:37-44. 

  17. Kim YM, Oh CE, Kim SH, Lee J, Choi EH, Lee HJ. Nasal carriage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healthy children attending day care center.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10;17:9-15. 

  18. Shakya B, Shrestha S, Mitra T. Nasal carriage rate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at National Medical College Teaching Hospital, Birgunj, Nepal. Nepal Med Coll J 2010;12:26-9. 

  19. Alfaro C, Mascher-Denen M, Fergie J, Purcell K. Preval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arriage in patients admitted to Driscoll Children's Hospital. Pediatr Infect Dis J 2006;25:459-61. 

  20. Nakamura MM, Rohling KL, Shashaty M, Lu H, Tang YW, Edwards KM. Prevalenc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nasal carriage in the community pediatric population. Pediatr Infect Dis J 2002;21:917-22. 

  21. Creech CB, Kernodle DS, Alsentzer A, Wilson C, Edwards KM. Increasing rates of nasal carriage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healthy children. Pediatr Infect Dis J 2005;24:617-21. 

  22. Kim ES, Song JS, Lee HJ, Choe PG, Park KH, Cho JH, et al. A survey of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Korea. J Antimicrob Chemother 2007;60:1108-14. 

  23. Ko KS, Park S, Peck KR, Shin EJ, Oh WS, Lee NY, et al.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spread by neonates transferred from primary obstetrics clinics to a tertiary care hospital in Kore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6;27:593-7. 

  24. Kim SM.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1997;4:201-9. 

  25. Huang SS, Platt R. Risk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fter previous infection or colonization. Clin Infect Dis 2003;36:281-5. 

  26. Davis KA, Stewart JJ, Crouch HK, Florez CE, Hospenthal D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nares colonization at hospital admission and its effect on subsequent MRSA infection. Clin Infect Dis 2004;39:776-82. 

  27.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 among healthy newborns-Chicago and Los Angeles County, 2004. MMWR Morb Mortal Wkly Rep 2006;55:329-32. 

  28. Diederen BM, Kluytmans JA. The emergence of infections with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J Infect 2006;52:157-68. 

  29. Vandenesch F, Naimi T, Enright MC, Lina G, Nimmo GR, Heffernan H, et al.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carrying Panton-Valentine leukocidin genes: worldwide emergence. Emerg Infect Dis 2003;9:978-84. 

  30. Regev-Yochay G, Rubinstein E, Barzilai A, Carmeli Y, Kuint J, Etienne J, et al.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merg Infect Dis 2005;11:453-6. 

  31. Fortunov RM, Hulten KG, Hammerman WA, Mason EO Jr, Kaplan SL. Community-acquired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term and near-term previously healthy neonates. Pediatrics 2006;118:874-81. 

  32. Choe YJ, Lee SY, Sung JY, Yang MA, Lee JH, Oh CE, et al. A review of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in children with an emphasis on community-associated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infections. Korean J Pediatr Infect Dis 2009;16:150-61. 

  33. Seybold U, Halvosa JS, White N, Voris V, Ray SM, Blumberg HM. Emergence of and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of community origin in intensive care nurseries. Pediatrics 2008;122:1039-46. 

  34. Al-Tawfig JA. Father-to-infant transmission of community-acquire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2006;27:636-7. 

  35. Chen KT, Huard RC, Della-Latta P, Saiman L. Prevalence of methicillin-sensitive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n pregnant women. Obstet Gynecol 2006;108:482-7. 

  36. Thompson DJ, Gezon HM, Rogers KD, Yee RB, Hatch TF. Excess risk of staphylococcal infection and disease in newborn males. Am J Epidemiol 1966;84:314-28. 

  37. Singh K, Gavin PJ, Vescio T, Thomson RB, Deddish RB, Fisher A, et al. Microbiologic surveillance using nasal cultures alone is sufficient for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s in neonates. J Clin Microbiol 2003;41:275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