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Eye Health and Household Income of the Elderly 원문보기

한국안광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v.16 no.2 = no.43, 2011년, pp.209 - 217  

박지현 (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김효진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  예기훈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안경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정도를 알아보고, 향후 저소득층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안보건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국민건강영양조사(2009) 데이터를 이용하여 만 65세 이상의 노인 1,668명을 대상으로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관련요인(시력, 백내장 유무, 군날개 유무, 안압, 망막이상소견, 나이관련 황반변성, 당뇨망막병증, 근시, 원시, 난시, 부동시 유병률)을 t-test${\chi}^2$ 검정하였다. 결과: 자동굴절계검사의 굴절이상도와 안압은 저소득군이 낮았고, 나안시력과 교정시력은 0.1~0.5 미만에서 저소득군이 높았고, 원시는 고소득군에서 높았다. 백내장과 최대교정시력 0.8미만인 사람의 백내장 유병여부는 저소득군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고, 흡연, 음주, 직업, 교육수준과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결론: 노인의 가구 소득에 따른 눈 건강 불평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특히 백내장은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안질환으로 저소득층 노인의 눈 건강 불평등 해소를 위한 안보건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study, eye-health inequity was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usehold incomes and eye-health of senior citizens. Further, this study suggested the preliminary data for establishment of public eye-health policy in order to improve low income senior citizens' l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많이 연구되어지고 있지 않은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는데 있다. 앞으로 저소득층 노인들의 눈 건강형평성을 해소하기 위한 안보건 교육, 안질환 조기발견을 위한 검진 사업, 노화방지를 위한 필수 영양소 섭취 교육 등 폭넓고 세심한 보건 정책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노인의 가구 소득과 눈 건강상태를 규명하기 위하여 일지역이 아닌 전국을 대상으로 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2009년도) 안검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population-based study 를 시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1, 641명을 대상으로 가구 소득와 눈 건강 형평성의 관계를 규명하여 저소득층 노인들의 눈 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상태를 나타내는 여러 요인 중 가구 소득과 눈 건강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눈 건강 형평성을 알아봄으로써 저소득층 노인을 위한 안보건 정책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김병덕, 이석호, "고령화 진전에 따른 정책과제", 한국 금융연구원, 2011(2):3-15(2011). 

  2. 통계청, "2010 한국의 사회지표 통계표", 통계청, 서울, pp.1-8(2011). 

  3. 우해봉, 윤인진, "한국노인의 안구사회학적 특성별 건강 지위의 차이", 보건과 사회과학, 2(1):67-106(2001). 

  4. WHO, "Targets for health for all: targets in support of the European regional startegy for health for all", Copenhagen, WHO, (1985). 

  5. U.K., Department of Health, "The National Health Inequalities Targets", U.K., Department of Health, (2001). 

  6.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Healthy People 2010: Understanding and improving Health", Washington, D.C., U.S., Goverment Printing Office, (2000). 

  7.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새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수립", 서울,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8. Adler N. E., Marmot M., McEwen B. S., and Stewart J., "Socioeconomic status and Health industrial nations: social, psychological, and biological pathways", Ann. N.Y. Acad. Sci., 896:1-2(1999). 

  9. 배상수, "국민 건강 결정요인 3: 질병 및 의료이용형태", 예방의학회지, 26(4):508-533(1993). 

  10. 이석구, 전소연, "노인들의 사회경제적 수준과 건강수준, 건강행태와의 관계", 예방의학회지, 38(2):154-162(2005). 

  11. Marmot M.G., Theorell T., and Siegrist J., "Work and coronary heart disease", BMJ Books, London, (2002). 

  12. 김혜경, 배상수, "도시지역 노인의 성에 따른 건강행위 및 관련요인의 차이", 보건행정학회지, 14(2):117-137(2004). 

  13. 이선자, 이상욱, "노인의 건강문제", 대한 간호학회지, 22:13-23(1985). 

  14. 국민건강보험공단, "2007 건강보험 주요 통계", 국민건강보험공단, (2008). 

  15. 송기준, 한무영, 김신영, 하정윤, 김응권, "선별검사자료 를 이용한 백내장 유병률의 추정", 대한안과학회지, 48(6):768-773(2007). 

  16. 손미아, "사회계급과 건강행위가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의학회지, 35(1):57-64(2002). 

  17. Cackett P., Tay W. T., Aung T., Wang J. J., Shankar A., Saw S. M., Mitchell P., and Wong T. Y., "Education, socio-economic status and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in Asians: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Br. J. Ophthalmol., 92(10):1312-1315(2008). 

  18. Krishnaiah S., Vilas K., Shamanna B. R., Rao G. N., Thomas R., and Balasubramanian D., "Smoking and its association with cataract: results of the Andhra Pradesh eye disease study from India", Invest. ophthalmol. Vis. Sci., 46(1):58-65(2005). 

  19. Foster P. J., Wong T. Y., Machin D., Johnson G. J., and Seah S. K. L.,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s in the Chinese population of Singapore: the Tanjong Pagar Survey", Br. J. Ophthalmol., 87(9):1112-1120(2003). 

  20. Arnarsson A., Jonasson F., Sasaki H., Ono M., Jonsson V., Kojima M., Katoh N., and Sasaki K.; Reykjavik Eye Study Group, "Risk factors for nuclear lens opacification: the Reykjavik Eye Study", Dev. Ophthalmol., 35:12- 20(2002). 

  21. Lavanya R., Wong T. Y., Aung T., Tan D. T., Saw S. M., Tay W. T., and Wang J. J.; SiMES team, "Prevalence of cataract surgery and post-surgical visual outcomes in an urban Asian population: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Br. J. Ophthalmol., 93(3):299-304(2009). 

  22. Nirmalan P. K., Robin A. L., Katz J., Tielsch J. M., Thulasiraj R. D., Krishnadas R., and Ramakrishnan R., "Risk factors for age related cataract in a rural population of southern India: the Aravind Comprehensive Eye Study", Br. J. Ophthalmol., 88(8):989-994(2004). 

  23. Kuper H., Polack S., Eusebio C., Mathenge W., Wadud Z., and Foster A., "A case-control study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overty and visual impairment from cataract in Kenya, the Philippines, and Bangladesh", PLoS Med., 5(12):e244(2008). 

  24. Polack S., Kuper H., Wadud Z., Fletcher A., and Foster A., "Quality of life and visual impairment from cataract in Satkhira district, Bangladesh", Br. J. Ophthalmol., 92(8):1026-1030(2008). 

  25. Ng J. Q., Morlet N., and Semmens J. B., "Socioeconomic and rural differences for cataract surgery in Western Australia", Clin. Experiment Ophthalmol., 34(4):317-323(2006). 

  26. Wu R., Wang J. J., Mitchell P., Lamoureux E. L., Zheng Y., Rochtchina E., Tan A. G., and Wong T. Y., "Smoking, Socioeconomic Factors, and Age-Related Cataract: The Singapore Malay Eye Study", Arch. Ophthalmol., 128(8):1029-1035(2010). 

  27. Klein B. E., Klein R. E., and Lee K. E., "Incident cataract after a five-year interval and lifestyle factors: the Beaver Dam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6(4):247-255 (1999). 

  28. Tan J. S., Wang J. J., Younan C., Cumming R. G., Rochtchina E., and Mitchell P., "Smoking and the long-term incidence of cataract: the Blue Mountains Eye Study", Ophthalmic Epidemiol., 15(3):155-161(2008). 

  29. Navarro Esteban J. J., Gutirrez Leiva J. A., Valero Caracena N., Buenda Bermejo J., Calle Purn M. E., and Martnez Vizcano V. J.,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ens opacities in the elderly in Cuenca, Spain", Eur. J. Ophthalmol., 17(1):29-37(2007). 

  30. Raju P., George R., Ve Ramesh S., Arvind H., Baskaran M., and Vijaya L., "Influence of tobacco use on cataract development", Br. J. Ophthalmol., 90(11):1374-1377(2006). 

  31. Xu L., Cui T., Zhang S., Sun B., Zheng Y., Hu A., Li J., Ma K., and Jonas J. B.,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lens opacities in urban and rural Chinese in Beijing", Ophthalmology, 113(5):747-755(2006). 

  32. GiuffrG., Dardanoni G., and Lodato G., "A case-control study on risk factors for nuclear, cortical and posterior subcapsular cataract: The Casteldaccia Eye Study", Acta Ophthalmol. Scand., 83(5):567-573(2005). 

  33. Pokhrel A. K., Smith K. R., Khalakdina A., Deuja A., and Bates M. N., "Case-control study of indoor cooking smoke exposure and cataract in Nepal and India", Int. J. Epidemiol., 34(3):702-708(2005). 

  34. Klein B. E., Klein R., Lee K. E., and Meuer S. M., "Socioeconomic and lifestyle factors and the 10-year incidence of age-related cataracts", Am. J. Ophthalmol., 136(3):506-512(2003). 

  35. Tsai S. Y., Hsu W. M., Cheng C. Y., Liu J. H., and Chou P., "Epidemiologic study of age-related cataracts among an elderly Chinese population in Shih-Pai, Taiwan", Ophthalmology, 110(6):1089-1095(2003). 

  36. Morris M. S., Jacques P. F., Hankinson S. E., Chylack L. T. Jr., Willett W. C., and Taylor A., "Moderate alcoholic beverage intake and early nuclear and cortical lens opacities", Ophthalmic Epidemiol., 11(1):53-65(2004). 

  37. Athanasiov P. A., Casson R. J., Sullivan T., Newland H. S., Shein W. K., Muecke J. S., Selva D., and Aung T., "Cataract in rural Myanma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from the Meiktila Eye Study", Br. J. Ophthalmol., 92(9): 1169-1174(2008). 

  38. James W. P. T., Nelson M., Ralph A., and Leather S., "Socioeconomic determinants of health", BMJ., 314(7093): 1545-1549(1997). 

  39. Fernandez M. M. and Afshari N. A.,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ataracts", Curr. Opin. Ophthalmol., 19(1):66- 70(2008). 

  40. Dherani M., Murthy G. V., Gupta S. K., Young I. S., Maraini G., Camparini M., Price G. M., John N., Chakravarthy U., and Fletcher A. E., "Blood levels of vitamin C, carotenoids and retinol are inversely associated with a cataract in a North Indian population", Invest. Ophthalmol. Vis. Sci., 49(8):3328-3335(2008). 

  41. Truscott R. J. W., "Age-related nuclear cataract-oxidation is the key", Exp. Eye Res., 80(5):709-725(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