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동차용 사이드 몰딩과 엠블럼 적용을 위한 UV 경화형 아크릴 점착 테이프의 점착물성
Adhesion Properties of UV-curable Acrylic PSA Tape for Automotive Sidemolding and Emblem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2 no.3, 2011년, pp.81 - 87  

박지원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연구실,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이승우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연구실,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김현중 (서울대학교 환경재료과학전공 바이오복합재료 및 접착과학연구실,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원동복 (인산디지켐(주) 연구개발팀) ,  김동복 (인산디지켐(주) 연구개발팀) ,  이강신 (인산디지켐(주) 연구개발팀) ,  우항수 (울산정밀화학센터 연구개발실) ,  김언아 (울산정밀화학센터 연구개발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조립공정에 적용 할 수 있는 아크릴폼테이프를 합성하기 위하여 UV 중합 및 가교 공정을 도입하였다. 중합된 점착제를 폼에 합지하고 폼의 두께를 변화시켜 가며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기본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stainless steel 표면에서의 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때 peel, dynamic shear and t-block을 사용하였다. 일반적인 점착제에 비해 우수한 결과를 보여 주었으며 외부 요인 - 두께, 젖음시간 - 등에 의해 물성이 크게 변화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 활용된 아크릴폼점착제의 자동차 공정 활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플라스틱 피착제에서 물성 측정을 진행하였다. 저표면에너지그룹으로 분류되는 PP와 PE에서는 그 물성이 전혀 발현되지 못했으나 기작 차이에 의해 dynamic shear 시험에서는 일부 물성이 발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UV curing and crosslinking process was introduced for synthesis of acrylic foam tape that can be applied to the the automotive assembly process. Polymerized adhesive are laminated to baseform and varying the thickness of specimens were prepared. To measure basic mechanical properti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아크릴폼테이프의 외부인자에 따른물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결과와 마찬가지로 두께가 두꺼워짐에 따라 peel 측정값은 증가하였으며, 젖음시간에 의해 그 값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산업, 전기/전자 산업 및 디스플레이 모듈 조립에 적용하기 위한 점착 테이프를 제조함에 있어서 첫째, 용제를 사용하지 않는 무용제형점착제를 UV 조사에 의해 합성하고, 둘째 플라스틱 사출물 및 표면이 매끄러운 금속, 세라믹 등에 높은 점착물성을 구현하기 위해 가교제, 첨가제 및 Filler 를 혼합하여 물성을 제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D. Satas,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ition, Van Nostrand Reinhold, New York (1989). 

  2. I. Ben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Applications, 2nd edition, Marcel Dekker, New York (2004). 

  3. H. S. Do, S. E. Kim, H. J. Kim,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UV-Crosslink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s in Adhesion-Current Research and Applications; Wiley-VCH: Weinheim (2005). 

  4. H.-S. Joo, Y.-J. Park, H.-S. Do, H.-J. Kim, S.-Y. Song, and K.-Y. Choi,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1, 575 (2007). 

  5. H.-S. Do, Y.-J. Park, H.-J. Kim, Journal of Adhesion Science and Technology, 20, 1529 (2006). 

  6. Z. Czech, R. Milker, Development trends i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systems, Materials Sci-ence-Poland, 23, 1015 (2005). 

  7. H. S. Do, S. E. Kim, and H. J. Kim, Adhesion-Current Research and Applications, W. Possart (Ed), Chapter 17, Wiley-VCH, Weinheim, Germany pp. 249-263 (2005). 

  8. A. Pizzi and K. L. Mittal, Adhesive Technology and Applications, Marcel Dekker, New York (2003). 

  9. A. J. Kinloch, Adhesion and Adhesive, Science and Technology, Lausanne (1986). 

  10. Z. Czech, J. Appl. Polym. Sci., 81, 3212 (2001). 

  11. 김인범, "UV 경화에 의한 반도체 다이싱용 접착제의 접착특성 변화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동국대학교 (2004). 

  12. J. H. Hong, UV Radiation Curing, Chosun University Press (2002). 

  13. K. T. Han,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6, 568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