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유효과와 관련한 근거중심설계에 관한 방법론적 고찰
A Methodological Consideration on the Evidence-Based Design related to Health Effects 원문보기

韓國醫療福祉施設學會誌 =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journal, v.17 no.2 = no.43, 2011년, pp.35 - 44  

민상충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 addressed the methodology to measure and evaluate the health outcomes as evidences for health benefits through the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garden, therapeutic garden and viewing landscape and so forth. The research methods and measures us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한 학술연구의 중요한 가치는 연구결과가 지니는 영향력에 근거한다고 보며, 우연적 결과의 가능성을 줄여나가는 방법론적 사고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이다. 다양한 근거의 가치는 지식구축과 검증의 방법론 속에서 그 힘을 발휘하며, 병원설계 및 관리 및 이용자들을 지원하는 가운데 특정프로젝트를 위한 디자인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데 있다. Becker, F.
  • 실험에 앞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논의 된 근거를 실험을 통하여 검증하고자 할 때는 실험의 신뢰도를 제고키 위하여 실험환경에 대한 강력한 통제(Strong Controlled) 기준 내지 조건(Condition of Measure)을 설정하는 것이라 본다. 따라서 논의된 근거에 대하여 본 실험에서는 정량적 기준 중에서 가장 객관적인 측정요소라고 판단되는, 즉 혈압과 맥박 (수면제 내지 진통제 투여량과 횟수는 자료계측이 어려워 제외되었음)을 중심으로 환자의 병상기록에서 비교적 규칙적으로 계측된 결과만을 중심으로 명확한 근거(변화추이)를 토출고자 하였으며, 따라서 조사자의 어떠한 주관적인 추론에 의한 분석결과의 왜곡을 피하고자 하였다. 또한 환자 중심의 의료대상자10 11)를 중심으로 병원설계에 대한 실질적인 근거도출에 집중하였으며, 나아가 환자특성의 균질성을 확보하고자 외과병동으로 제한하였다.
  • (2007)의 코넬대 의료시설연구팀과 함께 근거중심설계란 일련의 지침적 원칙의 성격을 지니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지식범주(Knowledge Landscape) 의전제하에 모든 유형의 건축시설의 계획 및 설계에 적용되어야 하는 일반적 개념으로 정의하고 근거중심설계의 정착을 위하여 학문적 연구의 가치를 강조하였다. 또한 근거 중심설계는 연구의 결과로서 얻어진 근거들에 대하여 대안적 설명 (Alternative Explanation)을 허용하지 않으며, 가능한 인과적 설명(Causal Explanation)을 토대로 명확하고 효과적인 설계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전통에서 근원을 찾을 수 있다. 병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했던 서양근대의학(Pathogenesis)과는 달리 대체의학은 자체의 중심적 과제로서 치유를 통한 건강의 원인 (Salutogenesis)을 찾고자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치유환경은 개인의 내적 기력의 강화를 통하여 치유과정을 촉진시키는 환경으로 정의되어 왔다.
  • 또한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의 대상이 된 응답자 성향을 보면 보통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가 37%에 달하며, 학생응답자가 28%, 스트레스 상태의 응답자가 13%였으며, 오히려 병원환자 내지 보호자,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는 9%에 해당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연구는 치유 효과와 관련한 과학적 근거를 규명코자 하는 선행연구들에 관한 문헌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기존 연구에서 적용된 과학적 근거에 대한 측정방법 (Measurement)의 유형(Type)과 성격(Nature)을 분류하고 연구 과정에서의 특성(Characteristics)과 제약조건(Constraints) 내지 문제점에 관하여 분석함으로써 미래연구를 위한 보다 확고한 연구방법론상의 지식체계(Knowledge Landscape)를구축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환자의 특성은 주로 외과수술 후 회복환자를 중심으로 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환자의 자연환경에 대한 치유효과로서의 인지가능성에 대한 조사 및 건강효과에 대한 신뢰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 에 따라 자연환경에 대한 인지도, 병실 내 기타 자연적 요소(화분, 꽃병, 그림액자 등)에 대한 인지도 및 기타 치유효과요소 (색체, 이웃환자와의 친밀도, 소음 등)에 관하여 부가적으로 조사되었다.
  • 또한 Sherman의 연구에서 의미 있는 6가지 가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미래의 연구 과제를 위하여 중요한 매개변수가 될 것이라 판단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치유정원의 이용률 제고에 따른 치유효과의 증진을 위한매개변수로 보면 정원의 크기9入 위치, 쾌적성, 방문객의 유형, 성인과 어린이에 따른 반응행태에 관한 유형, 정원이용 (정원방문객수)과 인접병실에서의 창문을 통한 정원조망 사이에 존재하는 역관계 등에 대한 근거 규명이 중요하다고 보며, 나아가 심리적 부담(걱정, 슬픔, 격분, 걱정, 피곤, 고통과 같은)은 병실 내에 있는 환자에게서 높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개연성에 대한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여기서 미래연구과제로 보면 보다 효과적인 디자인지침이 될 수 있는 정원 이용 패턴에 관한 객관적이고 신뢰할만한 근거에 대한 타당성을 입증하는 것이다. 끝으로 다른 변수로서 옥외정원과 환자의 프라이버시 사이의 상반된 요구에 대한 해결책도 요구되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식재에 의한 차폐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 환자와 어린이를 위한 설계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방문객은 성인이 대부분이었으며, 정원을 이용하는 어린이들은 성인보다 정원에 설계된 여러 행태유발시설(놀이시설)에 반응을 보였다. 연구결과로서 중요한 근거는 감정적 스트레스 내지 고통은 병실에 있는 환자에 비하여 정원을 찾는 모든 환자에게서 낮게 나타났으며, 연구결과에 따른 세부적인 설계지침에 대하여 논의되었다. 또한 Sherman의 연구에서 의미 있는 6가지 가정이 제안되었으며 이는 미래의 연구 과제를 위하여 중요한 매개변수가 될 것이라 판단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치유정원의 이용률 제고에 따른 치유효과의 증진을 위한매개변수로 보면 정원의 크기9入 위치, 쾌적성, 방문객의 유형, 성인과 어린이에 따른 반응행태에 관한 유형, 정원이용 (정원방문객수)과 인접병실에서의 창문을 통한 정원조망 사이에 존재하는 역관계 등에 대한 근거 규명이 중요하다고 보며, 나아가 심리적 부담(걱정, 슬픔, 격분, 걱정, 피곤, 고통과 같은)은 병실 내에 있는 환자에게서 높이 나타날 수 있다는 개연성에 대한 고려가 전제되어야 한다.
  • 입 원 일수는 외 과수술환자로 수술이 후의 회 복기 간이 소요되어 최소 7일 이상이 대부분이었으며, 최대한 달 이상 입원하는 소수의 예외적인 환자도 포함되었다. 요약하면 앞서 분석된 여러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치유효과에 대한 근거를 검증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정 량적 측정지침 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객관성을 지닌 지침으로 혈압과 맥박의 2가지 측정요소를 통하여 대조되는 두 병실환경에 따른 치유 효과에 대한 근거를 찾고자 외과수술환자 중심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계획된 수면제 내지 진통제 투여 횟수 및 양에 대한 분석은 환자에 관한 민감한 개인정보이기에 자료축출이 용이하지 않았음을 밝히며,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른 측정요소(환자 호출 빈도수, 행태관찰 등)에 대하여는 분석에서 제외되었음을 밝힌다.
  • 계획된 수면제 내지 진통제 투여 횟수 및 양에 대한 분석은 환자에 관한 민감한 개인정보이기에 자료축출이 용이하지 않았음을 밝히며,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른 측정요소(환자 호출 빈도수, 행태관찰 등)에 대하여는 분석에서 제외되었음을 밝힌다. 하지만 병원 환자들에 대한 직접적인 분석은 병원건축설계에 보다 실질적인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음을 확신하며,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주로 이루어진 비의료 대상자 중심으로 진행된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timier, L.B., 2004. Healing environments: for patients and providers. Newborn and Infant Nursing Review, Vol.4, No.2, 89-92 

  2. Becker, F., Parsons, K. S., 2007. Hospital facilities and the role of evidence-based design, Journal of Facilities Management, Vol.5 No.4, 263-274 

  3. Biley, F.C., 1996. Hospitals: healing environments?. Complementary Therapies in Nursing & Midwifery 2, 110-115 

  4. Caspari, S., Eriksson, K., Naden, D., 2006. The aesthetic dimension in hospitals - An investigation into strategic plan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3, 851-859 

  5. Dalke, H., Little, J., Niemann, E., Camgoz, N., Steadman, G., Hill, S., Stott, L., 2006. Colour and lighting in hospital design. Optics & Laser Technology 38, 343-365 

  6. Gesler, W., Bell, M., Curtis, S., Hubbard, P., Francis, S., 2004. Therapy by design: evaluating the UK hospital building program. Health & Place 10, 117-128 

  7. Gesler, W., 2005. Therapeutic landscapes: an evolving theme. Health & Place 11, 295-297 

  8. Gross, R., Sasson, Y., Zarhy, M., Zohar, J., 1998. Healing environment in psychiatric hospital design. General Hospital Psychiatry 20, 108-114 

  9. Fjeld, T., Bonnevie, C., 2002. The effect of plants and artificial day-light on the well-being and health of office workers, school children and health care personnel. Seminar report: Reducing health complaints at work, Plants for people, Int. Hort. Exhib. Floriade 

  10. Foque, R., Lammineur, M., Adriaenssens, F.D., 1995. Designing for patients: a strategy for introducing human scale in hospital design. Design Studies 16, 29-49 

  11. Jonas, W.B., Chez, R.A., 2004. Toward optimal healing environments in health care.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 10, Supplement 1, 1-6 

  12. Marcus, C.C., Hartig, T., 2006. Essay Healing gardens-places for nature in health care. Medicine and Creativity Vol.368, S36-S37 

  13. Milligan, C., Gatrell, A., Bingley, A., 2004. Cultivating health: therapeutic landscapes and older people in northern Eng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58, 1781-1793 

  14. Open Space: People Space 2, 2007.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novative approaches to research excellence in landscape and health, Conference Proceedings Edinburgh, Summary Papers and Poster Abstracts 

  15. Rakel, D., 2008. The salutogenesis-oriented session: creating space and time for healing in primary care. Explore Vol.4, No.1, 42-47 

  16. Schweitzer, M., Gilpin, L., Frampton, S., 2004. Healing spaces: Elements of environmental design that make an impact on health.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Vol.10, Supplement 1, 71-83 

  17. Sherman, S.A., Varni, J.W., Ulrich, R.S., Malcarne, V.L., 2005. Post-occupancy evaluation of healing gardens in a pediatric cancer center.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73, 167-183 

  18. Ulrich, R.S., 2002. Health benefits of gardens in hospitals. Paper for conference, Plants for People, International Exhibition Floriade 

  19. Ulrich, R.S., 2006. Essay Evidence-based health-care architecture. Medicine and Creativity Vol.368, S38-S39 

  20. Ulrich, R., Quan, X., Zimring, C., Joseph, A., Choudhary, R., 2004. The rol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in the hospital of the 21th century: a once-in-a-lifetime opportunity. Report to The Center for Health Design for the Designing 21th Century Hospital Project 

  21. Van de Glind, I., de Roode, S., Goossensen, A., 2007. Do patient in hospitals benefit from single rooms?: A literature review. Health Policy 84, 153-161 

  22. Van den Agnes, A., 2005. Health impacts of healing environments: a review of evidence for benefits of nature, daylight, fresh air, and quiet in healthcare settings. The architecture of Hospitals, Foundation 200 years University Hospital Groningen 

  23. Velarde, M.D., Fry, G., Tveit, M., 2007. Health effects of viewing landscapes - Landscape types in environmental psychology. Urban Forestry & Urban Greening 6, 199-212 

  24. Whitehouse, S., Varni, J.W., Cooper-Marcus, C., Ensberg, M.J., Jacobs, J.R., Mehlenbeck, R.S., 2001. Evaluating a children's hospital garden environment: utiliza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1, 301-314 

  25. William, A., 2002. Changing geographies of care: employing the concept of therapeutic landscapes as a framework in examining home space. Social Science & Medicine 55, 141-154 

  26. Zeisel, J., 2007. Healing gardens for people living with Alzheimer's: challenges to creating an evidence base for treatment outcomes. In: Thompson, C.W., Travalen, P.(Ed.), Open Space People Space. Taylor & Francis, 137-15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