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PCC-IV 국가 보고서 분석에 의한 한국의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현황과 발전방향
The Present Status and Development Plan in the Field of Climate Change Science in Korea analyzed by the IPCC-IV Repor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hosun Natural Science = 조선자연과학논문집, v.4 no.1, 2011년, pp.38 - 43  

정연앙 (수도권 대기환경청) ,  정효상 (조선대학교) ,  류찬수 (조선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 global warming may be estimated to give lots of impacts to the human society and biosphere of influencing climate change included by the natural climate variations through the human activity which can directly and/or indirectly play a major role of total atmospheric composition overall.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바. 기상청의 향후 지속발전을 위한 다양한 기후변화과학 분야에 대한 이슈를 선점하고, 예산과 인력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발전방안을 수립.
  • 다. 기후변화로 인한 전 지구환경시스템의 변화를 감지 및 관측하고, 이에 대한 영향 평가 및 대응체계의 구조와 산업화의 연계 등을 고찰.
  • 본 연구 목표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의 제1실무그룹 보고서에서 기후변화과학에 대한 선진국과 한국의 참여 현황을 분석하여,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척되고 있는 분야별 핵심이슈와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기후변화과학 분야에서 우리나아의 위상 제고 방안과 분야별로 활동할 전문가 양성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을 분석하였다.
  • 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IPCC-AR-4(Assessment Report-4)[4-6]의 4차실무보고서 기후변화과학에 대한 선진국과 한국의 참여와 인용현황의 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과학의 주요 핵심 이슈를 도출.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우리나라 위상 제고 방안과 전문가 양성을 위해 분석한 것은? 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관한 IPCC-AR-4(Assessment Report-4)[4-6]의 4차실무보고서 기후변화과학에 대한 선진국과 한국의 참여와 인용현황의 분석을 통하여 기후변화과학의 주요 핵심 이슈를 도출. 나. 기후변화과학 분야의 분석에서 한국의 강점분야와 취약분야를 구분하여 잠재가능성을 분석하여 역량 강화 방안을 도출. 다. 기후변화로 인한 전 지구환경시스템의 변화를 감지 및 관측하고, 이에 대한 영향 평가 및 대응체계의 구조와 산업화의 연계 등을 고찰. 라. 취약분야의 참여 독려와 잠재력을 발휘하여 주로 AR-5를 대비하는 전략을 도출 마. 기상청의 국제적 위상을 고양하며, 국제협력의 기틀을 구축하는데 선도적 리더쉽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과학적 능력 개발. 바. 기상청의 향후 지속발전을 위한 다양한 기후변화과학 분야에 대한 이슈를 선점하고, 예산과 인력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발전방안을 수립.
기후변화에 대한 세 분야는 무엇인가?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로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한반도는 집중호우, 폭설, 태풍 등, 급격한 기상변화로 재해기상 현상에 의한 재해가 급증하고 있다. 21세기에는 20세기보다 기후변화가 더 빠르게 진행될 것이며[4-6] 향후 예상되는 급격한 지구 온난화는 인간 사회 및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가져올 수 있고, 기후 변화 문제는 기후변화에 대한 세 분야(과학적 설명, 영향평가, 정책)의 균형적 활동이 요구된다. 이런 재해유발 현상을 신속·정확하게,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섬세한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예보로 기상재해 경감을 극대화하고, 지속발전을 위한 녹색성장의 기치를 높이는 기후변화과학의 역량 제고는 21세기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원천 정책 방안의 하나로 필수적이다.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주원인 물질은? 이런 재해유발 현상을 신속·정확하게, 지속적으로 감시하며, 섬세한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예보로 기상재해 경감을 극대화하고, 지속발전을 위한 녹색성장의 기치를 높이는 기후변화과학의 역량 제고는 21세기 발전에 기여하는 중요한 원천 정책 방안의 하나로 필수적이다. 전 지구적으로 기후변화 주원인 물질인 CO2 농도는 지속적으로 증가 중에 있다. 최근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CO2의 연 평균증가량은 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IPCC-1, "PCC-1 First Assessment Report(FAR). Climate Change-The Report of the IPCC Scientific Assessment Working Group", p. 199, 1990. 

  2. IPCC-2, "PCC-2 Second Assessment Report(SAR). Climate Change 1995: The Science of Climate Change.-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p. 563, 1995. 

  3. IPCC-3, 2001 : IPCC-3 Third Assessment Report (TAR).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p. 882, 2001. 

  4. IPCC-4, 2007 : IPCC-4 Assessment Report-4(AR-4). Climate Change 2007: Working Group I, "The Physical Science Basis", p. 996, 2007. 

  5. IPCC-4, 2007 : IPCC-4 Assessment Report-4(AR-4). Climate Change 2007: Working Group II Report, "Impacts, Adatation and Vulnerability", p. 938, 2007. 

  6. IPCC-4, IPCC-4 Assessment Report-4(AR-4). Climate Change 2007: Working Group III Report "Mitigation of Climate Change". p. 854, 2007. 

  7. 기상청, "미래기상.지진기술비전 2040", p. 169, 2009. 

  8. 기상청, "기후변화과학 원천기술 고도화 방안 보고서", p. 309, 2009. 

  9. 기상청, "기후변화 대응 과학분야 연구개발 발전전략에 관한 연구", 2007. 

  10. C. E. Chung, V. Ramanathan, D. Kim, and I. A. Podgorny, "Global anthropogenic aerosol direct forcing derived from satellite and groundbased observations", J. Geophys. Res., Vol. 110, D24207, doi:10.1029/2005JD006356. 2005. 

  11. B. G. Kim, S. E. Schwartz, and M. A. Miller, "Effective radius of cloud droplets by ground-based remote sensing: Relationship to aerosol", J. Geophys. Res., Vol. 108, doi:10.1029/2003JD003721, 2003. 

  12. B. J. Sohn and E. A. Smith, "Explaining sources of discrepancy in SSM/I water vapor algorithms", J. Clim., Vol. 16, p. 3229, 2003. 

  13. I. Simmonds. K. Keay, and E. P. Lim, "Synoptic activity in the seas around Antarctica", Mon. Weather Rev., Vol. 131, p. 272, 2003 

  14. Y. O., Kwon and S. C. Riser, "North Atlantic Subtropical Mode Water:A history of ocean-atmosphere interaction 1961-2000", Geophys. Res.Lett., Vol. 31, L19307, doi:10.1029/2004GL021116, 2004. 

  15. Y. O. Kwon, K. Kim, Y. G. Kim, and K. R. Kim, "Diagnosing longterm trends of the water mass properties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Geophys. Res. Lett., Vol, 31, L20306, doi:10.1029/2004GL020881, 2004. 

  16. S. I. Shin, "A simulation of the Last Glacial Maximum climate using the NCAR CSM", Clim. Dyn., Vol. 20, p. 127, 2003. 

  17. J. H. Kim, "North Pacific and North Atlantic seasurface temperature variability during the Holocene", Quat. Sci. Rev., Vol. 23, p. 2141, 2004. 

  18. J. Hong, T. Choi, H. Ishikawa, and J. Kim, "Turbulence structures in the near-neutral surface layer on the Tibetan Plateau", Geophys. Res. Lett., Vol. 31, L15106, doi:10.1029/2004GL019935, 2004. 

  19. T. C. Chen and J. H. Yoon, "Interdecadal variation of the North Pacific wintertime blocking", Mon. Weather Rev., Vol. 130, p. 3136, 2002. 

  20. Lee, M.-I., I.-S. Kang, J.-K. Kim, and B. E. Mapes, "Influence of cloud-radiation interaction on simulating tropical intraseasonal oscillation with an atmospheric general circulation model", J. Geophys. Res., 106, p. 14219, 2001. 

  21. S. J. Kim, G. M. Flato, G. J. Boer, and N. A. McFarlane, "A coupled climate model simulation of the Last Glacial Maximum, Part 1: Transient multi-decadal response", Clim. Dyn., Vol. 19, p. 515, 2002. 

  22. S. K. Min, A. Hense, and W. T. Kwon, "Regionalscale climate change detection using a Bayesian decision method", Geophys. Res. Lett.,Vol. 32, L03706, 2005. 

  23. K. O. Boo, W. T. Kwon, and J. K. Kim, "Vegetation changes in the regional surface climate over East Asia due to global warming using BIOME4", Il Nuovo Cimento, Vol. 27, p. 317, 2005. 

  24. C. H. Ho, J. J. Baik, J. H. Kim, and D. Y. Gong, "Interdecadal changes in summertime typhoon tracks", J. Clim., Vol. 17, p. 1767, 2004. 

  25. W. T. Kwon,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limate Change Scenario for the National Climate Change Report (II)", METRI Technical Report MR030CR09, Meteorological Research Institute, Seoul, Korea, p. 502,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