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상북도지역 학교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for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of Several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원문보기

한국환경과학회지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20 no.5, 2011년, pp.575 - 580  

김숙찬 (경상북도 보건환경연구원) ,  배헌균 (계명대학교 환경대학 지구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haracterized water quality of groundwater and purified water used for drinking water in 30 schools in Gyeongsangbukdo Provinc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43% of groundwater and 45% of purified water were not suitable for drinking. Among them, microbial contaminations were the ...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상수도시설의 미설치로 지하수를 학교급수로 사용하는 30개 학교지하수를 대상으로 지하수 수질특성, 오염상태 및 정수기 수질상태를 파악하여 먹는물 분야 정책기초자료로 활용하고 학생건강증진 향상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 학교 지하수의 수질특성은 지역별로 지하수법에서 시행되고 있는 지하수 측정망 운영자료와 전국 각시 도의 지하수의 먹는물 수질항목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질항목별 특성은 먹는물 기준부적항목 중부적율이 높은 항목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내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30개소 학교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에 대한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43%의 지하수가 먹는물로서 부적합 했었고 정수기의 경우에도 45%가 먹는물로서 부적합한 결과를 보여 주어 학교지하수가 안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염된 지하수를 학교의 다수 학생이 사용했을 경우 어떤 문제가 발생 할 수 있는가? 오염된 지하수를 학교의 다수 학생이 사용했을 경우 수인성전염병을 일으킬 수 있는데 실제 지하수 중 노로바이러스에 의한 집단식중독사고사례 및 학교를 비롯한 집단 급식시설의 지하수 오염이 환경부에 의해 보고되었다 (환경부, 2007). 또한 수도권 지역 학교의 정수기 부실관리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각 시, 도에서 학교지하수의 음용수 관리부실로 학생건강이 크게 위협받고 있다는 지적이 계속되고 있다 (연합뉴스, 2007).
경상북도 내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30개소 학교 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에 대한 수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내 지하수를 먹는 물로 이용하는 30개소 학교지하수 및 정수기통과수에 대한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43%의 지하수가 먹는물로서 부적합 했었고 정수기의 경우에도 45%가 먹는물로서 부적합한 결과를 보여 주어 학교지하수가 안전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부적합한 결과를 보여준 샘플 중 63%가 미생물에 의한 오염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남으로 원수에 대한 소독이나 살균처리및 지하수 시설물관리에 주의를 기울여 미생물에 대한 오염을 차단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은 물론이고 학생들이 실수로 먹는물로서 부적합한 물을 마시는 일이 없도록 지도를 병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정수기통과수의 경우 물리화학적 인자에 대해서는 안전함을 보여준 반면 지하수와 마찬가지로 전체시료의 42%가 미생물에 의해 오염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수기통과수의 오염은 정수기를 장시간 사용하지 않는 학교 방학기간 중이 가장 심했으므로 방학기간 중 정수기의 관리에 특히 신경을 써야 할 것이며 개학 전후를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즉, 정수기 관리는 1개월 주기의 필터교체, 정수기주변청소철저,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물을 완전히 배수시키고 깨끗이 세척하여 보관, 매월 정기적인 미생물 검사후 정수기 옆에 시험성적서를 붙여 공지해야만 할 것으로 사료된다. 미생물 오염에 대한 관리를 철저히 하는 것이 수질관리에 단기적인 효과를 가져 올 수있을 것이며 장기적으로는 향후 도내 학교에서 학생들이 쓰고 마시는 음용수는 관리와 안전성을 위해 지방상수도가 우선적으로 보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 된다.
지하수의 장점은 무엇인가? 지표수에 비해 기후적인 영향을 적게 받으며 상대 적으로 안정적인 수자원을 공급할 수 있는 지하수는그 중요성이 한층 더 높아져 우리나라 용수 총 이용량 1% (연간 37억 톤)를 차지하고 있으며 최근 환경오염의 영향으로 먹는물 공급원이 되고 있는 지표수의 확보가 어려워 해마다 그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이등, 2006; 이와 배, 2010). 경상북도의 경우 마을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의 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경상북도, 2006, 소규모수도시설 개선대책, 1. 

  2. 김승현, 이찬원, 허종수, 1998, 경상남도 지역의 지하수질 특성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7(6), 859-865. 

  3. 김연희, 정동원, 박강수, 정숙경, 안상수, 이윤국, 백계진, 윤 욱, 김동수, 2006, 광주지역 빗물과 지하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광주시 보건환경연구원보, 9,181-211. 

  4. 김종수, 이기종, 최일우, 이진경, 성연국, 홍순모, 원종무,김은아, 2001, 도내 학교급수의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도보건환경연구원, 14, 113-120. 

  5. 박용배, 2003, 경기북부지역의 정수기물 관리실태조사, 대한위생학회지, 18(1), 1-7. 

  6. 양성기, 한상철, 2007, 제주도 지하수관정의 오염저감방안, 한국환경과학회지, 16(6), 735-743. 

  7. 연합뉴스, 2007, 농.어촌지역 부적합식수 공급받는 초등학교 증가 안전한 상수도 공급 시급, 2007년 10월 26일. 

  8. 이민효, 최상일, 이재영, 이강근, 박재우, 2006, 토양지하수환경, 동화기술, 17. 

  9. 이승민, 정승열, 김현실, 임효상, 김효진, 전대영, 이경심, 2007, 부산지역 다중이용시설의 정수기물에 대한 미생물 오염실태 조사연구, 부산시보건환경연구원보, 16(1), 121-126. 

  10. 이승현, 배상근, 2010, 도시화에 의한 장기 지하수 함양량 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9(6), 779-785. 

  11. 환경부, 2010, 2009년 지하수 수질측정망 운영결과, 7. 

  12. 환경부, 2008,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 378-392. 

  13. 환경부, 2007, 지하수중 노로바이러스 관리대책(안), 4-8. 

  14. Conboy, M. J., Goss, M. J., 2001, Identification of an assemblage of indicator organisms to assess timing and source of bacterial contamination in groundwater,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29, 129. 

  15. Gitanjali, 2010, Evaluation of environmental status of courtallam water, Chapter 10. Ground Water Quality in Courtallam area, Master Thesis, Salim Ali School of Ecology and Environmental Sciences Pondicherry University, 171-192. 

  16. Lamka, K. G., LeChevallier, M. W., Seidler, R. J., 1980,Bacterial Contamination of Drinking Water Supplies in a Modern Rural Neighborhood, Appl. Environ. Microbiol., 39(4), 734-738. 

  17. Montgomery, J. M., 1985, Water Treatment Principles and Design, John Wiley & Sons, Inc, 327-330. 

  18. Saffigna, P. G., Keeney, D. R., 1977, Nitrate and Chloride in Ground Water Under Irrigated Agriculture in Central Wisconsin, Ground Water, 15(2),170-177. 

  19. Scanduraa, J. E., Sobseya, M. D., 1997, Viral and bacterial contamination of groundwater from on-site sewage treatment system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5(11-12), 141-146. 

  20. Steets, B. M., Holden, P. A., 2003, A mechanistic model of runoff-associated fecal coliform fate and transport through a coastal logoon, Wat. Res. 37,589-608. 

  21. USGS, 2004, Arsenic, Nitrate, and Chloride in Groundwater, Oakland County, Michigan, Fact Sheet 2004-3120, U.S. Geological Survey, Water Resources Division, 1-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