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사과꽃잎 추출물의 용매 분획으로부터 기능성 소재의 탐색
Screening of Functional Materials from Solvent Fractions of Apple Flower Leaf Extract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2, 2011년, pp.165 - 171  

최선주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조은아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조은혜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  정윤주 ((주)콧데 기업부설연구소) ,  구창섭 ((주)콧데 기업부설연구소) ,  하병집 ((주)콧데 기업부설연구소) ,  채희정 (호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및 식품기능안전연구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actional solvent extraction by organic solvents such as hexane, chloroform, ethylacetate, and butanol was carried out using 70% ethanol extract of apple flower leaves. B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nt, whitening, antimicrobial and anti-wrinkle activities were investigated and bio-acti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과꽃의 활성 성분을 추출하여 성분을 확인하고 생리활성 검증을 통해 화장품 산업 및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응용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과꽃잎의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농도별로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Fig. 3). 그 결과 ethylacetate 분획 > butanol 분획 > chloroform 분획 > 70% ethanol 분획 순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ethylacetate 분획물이 200 μL/mL에서 가장 높은 8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 용매 분획별 사과꽃잎 추출물이 피부 주름과 탄력에 관여하고 있는 elastin을 가수분해하는 효소인 elas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Ethylacetate 분획과 chloroform 분획 500 μL/mL 농도에서 각각 45%와 34%의 elastase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였으며 다른 분획물은 20% 이하의 낮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질병 방지와 노화 억제 등 생리적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는? 생활수준이 급속하게 발전함에 따라 건강과 웰빙에 대한 인식이 갈수록 고조되면서 질병 방지와 노화 억제 등 생리적 효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항산화 효과와 항균활성 등 기능성 성분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산화적 스트레스의 주 원인은? 산화적 스트레스의 주 원인은 태양 자외선이며 특히, 자외선에 의한 광산화적 피부 손상은 활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의해서 매개되고 [1-3], 우리가 매일 호흡을 통해 받아들이는 산소는 생명 유지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물질이나 흡수된 산소의 약 2~3% 정도는 체내에서 매우 불안정한 물질이다. 산소로부터 파생된 자유기인 활성 산소종 (ROS)은 세포의 주요 성분인 단백질, 핵산 등의 손상을 유발해 세포 기능에 결정적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4] 이러한 산화적 스트레스는 간 염증 및 노화, 암 등의 다양한 질병 과정에서 관련된 것으로 밝혀지고 있으며 [5-6] 이를 극복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과꽃잎의 용매 분획에 따른 항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농도별로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는? 3). 그 결과 ethylacetate 분획 > butanol 분획 > chloroform 분획 > 70% ethanol 분획 순으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으며, 그 중ethylacetate 분획물이 200 μL/mL에서 가장 높은 80% 이상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각각의 분획물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이는 농도 증가에 따라 환원력이 증가된 것으로 추측되며 ehtylacetate 분획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Fantone, J. C. and P. A Ward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 395-418. 

  2. Davies, K. J. (1987)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9901. 

  3. Foote, C. S. (1976) Photosensitized oxidation and singlet oxygen: consequences in biological systems. Ed. W. A. Pryor. 2, 85, Acdemic Press, New York. 

  4. Temple, N. J. (2000) Antioxidants and diseases: more question than answers. Nutr. Research. 20: 449-459. 

  5. Lee, S. E., D. W. Son, Y. P., Yoon, S. Y., Lee, B. J. Lee, and S. H. Lee (2006) Protective effects of the methanol extracts of Acanthopanax koreanum against oxidative stress. Kor. J. Pharm. 37: 16-20. 

  6. Nordmann, R. (1993) Free radicals,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 vitamins. C. R. Seances Soc. Biol. Fil. 187: 277-285. 

  7. Kenkt, P., Kumpulainen, J., Jarvinen, R., Rissanen, H., Heliovaara, M., Reunanen, A., Hakulinen, T and A. Aromaa (2002) Flavonoid intake and risk of chronic diseases. Am. J. Clin. Nutr. 76: 560-568. 

  8. Cha, J. Y. and Y. S. Cho (1999) Effect of potato polyphenolics on lipid peroxidation in rats. J. Kor. Soc. Food Sci. Nutr. 28: 1131-1136. 

  9. Zhoh, C. K. and T. I. Kim (2002) The extracting methods of the seeds of yew (tsxus cusoidata sieb) by solvent extraction and its efficacy. Kor. J. 33: 364-371. 

  10. Thaycr, D. W., G. Boyd, A. Kim, J. B. Fox, and H. M. Farrcll (1998) Fate of gamma-irradiated Listeria monocytogenes during refregerated storage on rqw of cooked turkey breast meat. J. Food Prot. 61: 979-987. 

  11. Cho, E. J., T. Yokozawa, D. Y. Rhyu, S. C. Kim, N. Shibahara, and J. C. Park (2003) Study on the inhibitory effects of Korean medicinal plants and their main compounds in the 1,1-diphenyl- 2-picrylhydrazyl radical. Phyromedicin. 10: 544-551. 

  12. Oku, H., Y. Ueda, and K. Ishifruo (2003) Anti-pruritic effects of the fruits of chaenomeles sinensis. Biol. Pharm. Bull. 25: 1031-1034. 

  13. Gao, H., L. Wu, M. Kuroyanagi, K. Harada, N. Kawahar, T. Nakane, K. Umehara, A. Kirasawa, and Y. Nakamura (2003) Antitumor-promoting constituents from Chaenomeles sinensis K. and their acrivities in B16 mouse epidermal cells. Chem. Pharm. Bull. 51: 1318-1321. 

  14. Kim, Y. M., J. Yun, C. K. Lee, H. Lee, K. R. Min, and Y. Kim (2002) Oxyresveratrol and hydroxystibene compounds, inhibitory effect on tyrosinase and mechanisim of action. J. Biol. Chem. 277: 16340-16344. 

  15. Abassi, N. A., M. N. Kushad, and A. G. Endress (1998) Active oxygen scavenging enzyme activities in developing apple flowers and fruits. Sci. Hort. 74: 183-194. 

  16. Park, S. Y. (2008) Protective effects of kaempferol and quercetin on oxidative stresee in CPAE cell. Kor. J. Plant Res. 24: 395-401. 

  17. Cho, C. H., G. J. Yoo, M. H. Son, K. H. Park, B. L. Lim, D. C. Kim, and H. J. Chae (2008) Resveratrol extraction from grape fruit stem and its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 11-16. 

  18. Nivea, M. M., A. R. Sampoetr, and M. A. Vattuone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9. Jeong, M. S., G. S. Lee, and H. J. Chae (2004) In vitro biological activity assay of ethanol extract of radish. J. Kor. Soc. 47: 67-71. 

  20. Lee, S. O., H. J. Lee, M. H. Yu, H. K. Im, and I. S. Lee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J. Kor. Food Sci. Technol. 37: 233-240. 

  21. Labuza, T. P. (1973) Kinetic of lipid oxidation in foods. CRS Crit. Rev. Food Technol. p. 335. 

  22. Boo, H. O., H. H. Lee, J. W. Lee, S. J. Hwang, and S. U. Park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m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 Crop Sci. 17: 15-20. 

  23. Chung, M. S., H. J. Um, C. K. Kim, and G. H. Kim (2007) Development of functional tea product using Cirsium japonicum. Kor. J. Food Culture 22: 261-265. 

  24. Park, J. M. J. Y. Lee, T. S. Park, S. J. Hyun, H. H. Kim, Y. J. Cho, O. J. Kwon, A. R. Son, D. S. Kim, and B. J. An (2008) A study on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Prunus sargentii R. J. Kor. Soc. Appl. Biol. Chem. 51: 70-78. 

  25. Lee, C. E., Y. H. Kim, B. G. Lee, and D. H. Lee (2010) 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extracts from Pyrous ussuriensis leaves. J. Kor. For. Soc. 4: 546-552. 

  26. Kwon, T. D., S. W. Choi, S. J. Lee, K. W. Chung, and S. C. Lee (2001) Effects of polyphenol or vitamin C ingestion on antioxidative activity during exercise in rats. Kor. J. Phys. Edu. 3: 891-899. 

  27. Sung, K. C. and K. J. Kim (2005) Tyrosinase activated inhibition effect and analysis of pine-needles extract. Kor. Oil Chem. Soc. 22: 71-76. 

  28. Curelier, M. E., Richahae, H, and C. Breset (1996) Antioxidative activity of phenolic composition of pilot plant and commercial extracts of sage and rosemary. J. Am. Oil. Chem. Soc. 73: 645-652. 

  29. Ra, K. S., H. J. Suh, S. H. Chung, and J. Y. Son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Kor. J. Food Sci. Technol. 29: 595-6001. 

  30. Lee, S. Y., J. H. An, and H. Y. Cho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J. Kir. Soc. Agric. Chem. Biotechono. 46: 60-65. 

  31. Kwak, Y. J., D. H. Lee, N. M. Kim, and J. S. Lee (2005) Screening and extraction condition of anti-skin aging elastase ingibitior from medicinal plants. Kor. J. Medicind Crop. Sic. 13: 213-216. 

  32. Park, C. S. (2005) Componen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wdered green tea cultivated in Hwagae area. Kor. J. Food Preserv. 12: 36-42. 

  33. Kajiya, K., M. Ichiba, M. Kuwabara, S. Kumazawa, and T. Nakayama (2001) Role of lipophilicity and hydrogen peroxide formation in the cytotoxicity of flavonols. Biosci. Biotechnol. Biochem. 65: 1227-1229. 

  34. Nakayama, T., M. Tamada, T. Osawa, and S. Kawakishi (1993) Pression of active oxygen-induced cytotoxicity by flavonoids. Biochem. Prarmacol. 45: 265-267. 

  35. Kaneko, T. and N. Baba (1999) Protective effect of flavonoids on endothelial cells against linoleic acid hydroperoxideinduced toxicity. Biosci. Biochnol. Biochem. 63: 323-32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