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삼 첨가 비율 및 첨가 시기에 따른 인삼 약주 품질 특성
Determination of Ginseng Yakju Quality using Different Percentages and Application Dates of Ginseng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2, 2011년, pp.207 - 214  

공문희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정석태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여수환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최지호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최한석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한귀정 (국립농업과학원 발효이용과) ,  장미소 (건국대학교 응용생물과학과) ,  정일민 (건국대학교 응용생물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ginseng Yakju produced using different percentage contents and application dates of ginseng. Although the pH of fermented ginseng Yakju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various treatment groups, the total acidity was changed depend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인삼 약주 제조 과정에 있어서 인삼의 첨가 비율과 첨가 시기에 따른 인삼 약주의 품질과 기호 특성을 분석하여 인삼 특유의 향과 맛을 살릴 수 있는 인삼 약주 제조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인삼의 종류별로 첨가 비율 또는 첨가 시기에 대한 인삼 약주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삼 약주의 pH는 인삼의 첨가 비율 및 첨가 시기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인삼 약주의 총산 함량은 백삼이나 홍삼의 처리량이 많아짐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첨가 시기에 따라서는 차이를 볼 수 없었다.
  • 인삼의 첨가 비율과 첨가 시기에 따른 인삼 약주의 기호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국립농업과학원 발효 이용과에서 주류 관련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연구원 15명을 대상으로 인삼의 향과 맛에 대한 기호성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제시된 샘플에 대하여 패널들이 향과 맛에 있어서 기호적으로 우수하다고 인정되는 처리구를 2개 선택하게 하였으며, 각 처리별 기호성은 총 선택 가능수(15회)에 대한 선택 횟수를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 일반적으로 약주 제조 시 밑술을 만들고 덧담금을 한번이나 두번 하게 되는데, 본 시험에서는 덧담금 시 일어날 수 있는 오차를 배제하기 위하여 1단 담금으로 단순화시켰으며, 결과적으로 인삼의 첨가 비율과 처리 시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다. 증자 건조미 1 kg(moisture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nn YG, Lee SK (1996) Studies on the ginseng wine. Korean J Food & Nutrition 9: 151-159. 

  2. Benishin CG, Lee R, Wand LCH, Liu HJ (1991)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cctral cholincrgic metabolism. Pharmacology 42: 223-229. 

  3. Graham HF (1993)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Harwood Academic Pulishers, USA. pp 400-401. 

  4. Joo HK, Lee KC (1979) The effect of ginseng extract on physiology of Sacchamyces cerevisiae. Korean J Gindeng Sci 13: 95-104. 

  5. Joo HK, Jung DK, Kim ND (1991) Composition of Ginseng drink during the storage. J Korean Agri Chem Soc 34: 339-343. 

  6. Joyeux A, Lafon-Lafourcade S, Ribereau-Gayon P (1984) Evolution of acetic acid bacteria during fermentation and storage of wine. Appl Environ Microbiol 48: 153-156. 

  7. Kim HJ, Lee JC, Lee GS, Jeon BS, Kim NM, Lee JS (2002)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of traditional ginseng liquor. J Ginseng Res 26(2): 74-78. 

  8. Kim MR, Kim IH, Shim JH (2005) The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of fresh ginseng,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by slovent free solid injector (SFSI) technique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Agriculture 24: 164-168. 

  9. Kim SH (2007) Effect of the extruded ginseng on antioxidant activit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402-408. 

  10. Kim SH, Kim YM (2007) Determination of the antioxidant capacity of Korean ginseng using an ORAC assay.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7: 393-401. 

  11. Kim YM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lemon slice coated with red-ginseng.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p 107. 

  12. Ko SK, Lee CR, Choi YE, Im BO, Sung JH, Yoon KR (2003) Analysis of ginsenosides of white and red ginseng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36-539. 

  13. Kook SJ, Lee SK (2003)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traditional ginseng wine (Yak Ju) added with different pretreated ginseng. Graduate School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Ansung, Korea. p 157-165. 

  14. Margalit Y (1997) Concepts in wine chemistry. The Wine Appreiation Guild, San Francisco. pp 21-23. 

  15.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2009 ginseng statistics resources (registration number 11- 1541000-000269-10). Seoul. pp 1-3. 

  16. Park JD (1996) Recent studies on the chemical constituents of Korean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Korean J Ginseng Sci 20: 389-415. 

  17. Roh SK, Song JS, Park KH (2001) Alcohol fermentability of Insam starch and characteristics of Insam wine. Food Engeneering Progress 5: 43-51. 

  18. Ryu SK, Roh JC, Park H, Park SK (2002) Correlation between SPME-GC analysis and the aroma intensity for ginseng volatiles. J Ginseng Res 26: 206-2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