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환경경영전략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적극형 환경전략유형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극형 환경전략유형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환경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환경경영전략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적극형 환경전략유형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소극형 환경전략유형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환경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nd the degree of effects among environmental strategy,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examining how the structure and the...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nd the degree of effects among environmental strategy,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examining how the structure and the effect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environmental strategies. In this study, environmental strategies are classified as "passive type" and "active type" by the cluster analysis, which are used for developing two different research models. For firms employing active environmental strategy, the environmental strategy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For firms employing passive environmental strategy, the environmental strateg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environmental activities, while i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study empirically supports that the 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will result in a positive firm performance.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structural relations and the degree of effects among environmental strategy,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In particular, we focus on examining how the structure and the effect vary according to the type of environmental strategies. In this study, environmental strategies are classified as "passive type" and "active type" by the cluster analysis, which are used for developing two different research models. For firms employing active environmental strategy, the environmental strategy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environmental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For firms employing passive environmental strategy, the environmental strategy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ystem and environmental activities, while it does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irm performance. The study empirically supports that the 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will result in a positive firm performa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공분산 구조방정식모형은 잠재요인과 잠재요인 간의 관계뿐만 아니라, 잠재요인과 측정변수 간의 관계를 동시에 분석하는 기법으로 응용통계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박노진, 2009; 김연형, 2010; 최현석 등, 2011; Jeong 등, 2004).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환경경영전략의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환경경영전략의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둔다.
본 연구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관련성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데 기존 연구와 차이가 있다. 특히 이들 요인들 간의 구조를 규명하고, 요인들 간의 영향의 방향과 정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한다는데 본 연구의 특징이 있다. 그림 2.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였다. 특히 환경경영 전략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분석기법을 이용하여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 간의 구조 관계와 상호 영향의 정도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규명하였다. 특히 환경경영 전략 유형에 따라 이들 요소들 간의 구조 및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향후과제로는 첫째, 산업 특성별 (청정산업 대 오염산업), 혹은 기업 특성별 (내수기업 대 수출기업) 요인이 연구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환경경영시스템과 품질경영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는 기업과 품질경영시스템만 운영하는 기업들 간에 환경경영에 대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환경경영시스템을 수행하는 기업의 정량적인 환경성과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가설 설정
가설 1: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A: 환경경영활동 (운영관리활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B: 환경경영활동 (환경관리활동)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시스템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A: 환경경영전략은 운영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5B: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A: 환경경영시스템은 운영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6B: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관리활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다음에는 설문을 통해 얻은 자료의 신뢰성 및 타당성을 검토하여 연구에 이용될 요인 및 변수들을 선정한다. 다음에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의 구조를 규명하고, 가설을 검정한다. 제4장은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의 한계점, 향후 연구방향을 기술한다.
연구 모형은 환경경영전략,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 환경경영성과의 4개의 주요 차원으로 구성된다. 본 연구에서 고려한 이들 차원의 구성요소 및 구성개념을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기업의 환경경영전략 측정 설문 문항으로는 Environmenyal Protection Agency (1993), Sharma (1995), Christmann (1997), Sharma와 Vredenburg (1998), Aragon-Correa (1998), Dodge와 Welford (1998), Henriques와 Sadorsky (1999), 김종대와 연병모 (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문항에 기초하여 총 12가지 문항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환경경영시스템 측정 부문에는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표준협회, 2004)을 구성하고 있는 기획, 실행 및 운영, 점검, 경영검토의 관련 사항을 기초로 총 18개 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기업의 환경경영전략 측정 설문 문항으로는 Environmenyal Protection Agency (1993), Sharma (1995), Christmann (1997), Sharma와 Vredenburg (1998), Aragon-Correa (1998), Dodge와 Welford (1998), Henriques와 Sadorsky (1999), 김종대와 연병모 (2005)의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 문항에 기초하여 총 12가지 문항을 개발하여 이용하였다. 환경경영시스템 측정 부문에는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표준협회, 2004)을 구성하고 있는 기획, 실행 및 운영, 점검, 경영검토의 관련 사항을 기초로 총 18개 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환경경영활동 측정변수로는 Vandermerwe와 Oliff (1990), Hart (1995), Fineman과 Clarke (1996), 전대욱 등 (1997), 정은재 (2001), Welch 등 (2003), 김종대와 연병모 (2005), 장기윤과 한두봉 (2006), 김종대 (2008)의 연구와 환경경영시스템 요구사항 및 사용지침 (표준협회, 2004)의 개념에 기초하여 총 12가지 문항을 개발하여 사용하였다. 한편, 환경경영성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크게 재무적 성과, 전략적 성과, 환경적 성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한편, 환경경영성과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크게 재무적 성과, 전략적 성과, 환경적 성과로 구분하여 측정한다. 재무적 성과로는 매출액증가, 비용절감, 수익률 향상을, 전략적 성과로는 기업이미지 제고, 시장점유율, 고객만족도, 종업원 사기, 외부이해관계집단과의 관계 향상을, 환경적 성과로는 폐기물발생, 환경친화적 공정개선, 폐물질의 재활용 및 재사용, 에너지 효율의 제고, 환경과 관련한 안전위험관리 능력을 사용하였다.
1은 본 연구에 사용한 구성개념, 잠재변수의 조작적 정의 (operational definition), 변수 측정 항목수, 참고한 관련연구들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문항은 환경경영전략 12개 문항, 환경경영활동 12개 문항, 환경경영시스템 18개 문항, 환경경영성과 13개 문항, 총 5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분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연구모형을 분석하고 가설을 검증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은 연구모형에 포함된 잠재변수 (latent variable)와 관측변수 (observed variable)의 관계, 혹은 잠재변수와 잠재변수 간의 관계 및 방향 등을 사전에 가설로 설정된 모형을 기초로 분석하는데 사용된다 (배병렬, 2005).
다음에는 요인들에 대한 내적 일관성 확보 여부를 검증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론바하 알파 (Cronbach’s alpha) 값을 계산하여 요인들에 대한 설문항목들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사용될 요인과 변수들을 선정하였다(측정모형 검증). 구체적으로 타당성 검증을 위해 리커트 (likert) 7점 척도로 설계 조사된 설문지의 측정항목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고유값 (eigen value)이 1.
0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요인 추출에 이용되지 않는 항목들은 제거한 후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변수들의 요인적재량은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유지하는 직각회전 (orthogonal rotation)방법 중에서 베리맥스(varimax)방식을 사용하여 ± 0.
셋째, 다음에는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전체기업을 적극형 환경전략그룹과 소극형 환경전략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적극형 환경전략그릅 및 소극형 환경전략 그룹 각각에 대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요인들 간의 구조를 규명하고,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환경경영전략에서 6 문항, 환경경영활동에서 6 문항, 총 12개 문항이 탈락되어 전략 6개 문항, 활동 6개 문항, 시스템 18개 문항, 성과 13개 문항, 총43개 문항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한편 전략 및 활동의 경우 각각의 문항을 측정 변수로 사용하였지만 시스템의 경우 18개 문항이 4개 요인으로, 성과는 13개 문항이 3개 요인으로 분류되어 각 요인에 속한 설문 문항의 평균값을 측정변수로 사용하였다. 각 요인들의 신뢰도 계수는 모두 약 0.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항목과 변수 간의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나 변수 간의 관계와 오차부분을 고려한 보다 정교한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델의 적합도를 판단한 다음 요인의 신뢰성과 타당도를 평가한다. 개념신뢰도는 관측변수의 내적 일관성을 측정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수용 가능한 신뢰도 수준은 0.
대상 데이터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기업 중 ISO 9001과 ISO 14001을 동시에 인증받은 기업과 ISO 14001만을 인증받은 기업 35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업체들은 국내인증통계 (KAB)에 의거, 2008년까지의 총 인증건수가 100건 이상이 되는 업종들에 속한 기업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제조기업 중 ISO 9001과 ISO 14001을 동시에 인증받은 기업과 ISO 14001만을 인증받은 기업 350개 업체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대상업체들은 국내인증통계 (KAB)에 의거, 2008년까지의 총 인증건수가 100건 이상이 되는 업종들에 속한 기업들이다.
설문조사는 2009년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약 4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조사업체에게 Email 혹은 Fax를 통하여 발송하였는데, 350개 업체 중 241개 업체가 설문에 응해 회수율은 69%로 나타났다.
설문조사는 2009년 7월 말부터 9월 초까지 약 40일에 걸쳐 실시되었다. 설문지는 조사업체에게 Email 혹은 Fax를 통하여 발송하였는데, 350개 업체 중 241개 업체가 설문에 응해 회수율은 6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 내용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02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지는 조사업체에게 Email 혹은 Fax를 통하여 발송하였는데, 350개 업체 중 241개 업체가 설문에 응해 회수율은 69%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회수된 설문 가운데 응답 내용이 부실한 설문지를 제외한 202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표 3.
데이터처리
첫째, 설문지 응답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 사용될 요인과 변수들을 선정하였다(측정모형 검증). 구체적으로 타당성 검증을 위해 리커트 (likert) 7점 척도로 설계 조사된 설문지의 측정항목들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 분석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여 고유값 (eigen value)이 1.0 이상인 요인들을 추출하였다. 요인 추출에 이용되지 않는 항목들은 제거한 후 다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기업들을 적극적 환경경영전략과 소극적 환경경영전략 그룹으로 분류하기 위하여 환경경영전략 관련 설문 자료를 군집분석한 결과 2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군집분석은 환경경영전략 6개 변수의 평균값을 가지고 실시하였다. 표 3.
이론/모형
변수들의 요인적재량은 요인들 간의 상호독립성을 유지하는 직각회전 (orthogonal rotation)방법 중에서 베리맥스(varimax)방식을 사용하여 ± 0.6이상이면 유의한 변수로 간주하였다.
5이상 되어야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Hair 등, 1998).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는 Fornell과 Lacker (1981)의 공식을 사용하였다.
성능/효과
Welch 등 (2003)에 의하면, 미국과 일본의 ISO 14001 인증기업들이 인증받지 않은 기업에 비해 수익성이 2~3배 높아 경영성과가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미인증 기업과 비교할 때 인증기업들은 환경경영활동을 실제로 많이 하고 있으며, 환경적 성과 및 재무적 성과 역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 사용될 요인과 변수들을 선정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이 1.0이상이고, 누적분산비가 60% 이상인 요인들은 환경경영전략요인, 환경경영시스템요인, 환경경영활동 요인 (운영관리활동, 환경관리활동), 환경경영성과요인이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개 요인에 중복으로 영향을 받는 문항들도 제외하였다. 그 결과 환경경영전략에서 6 문항, 환경경영활동에서 6 문항, 총 12개 문항이 탈락되어 전략 6개 문항, 활동 6개 문항, 시스템 18개 문항, 성과 13개 문항, 총43개 문항이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한편 전략 및 활동의 경우 각각의 문항을 측정 변수로 사용하였지만 시스템의 경우 18개 문항이 4개 요인으로, 성과는 13개 문항이 3개 요인으로 분류되어 각 요인에 속한 설문 문항의 평균값을 측정변수로 사용하였다.
4는 모형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결과를 보여준다. 분석 결과 표와 같이 모든 요인에서 개념 신뢰도가 0.7 이상, 분산추출지수가 0.5이상으로 임계치 이상을 보여 신뢰성과 수렴타당성은 확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인 실증 모형을 구축하는 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된다.
적극적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성과,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의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 및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 및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모두 환경경영성과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극적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성과,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의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 및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모두 환경경영성과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시스템, 환경경영활동의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경영성과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관리운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경영성과 및 운영관리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관리운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환경경영성과 및 운영관리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경영활동의 2 요인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관리활동) 모두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적극형 환경경영전략의 경우 환경경영전략이 환경경영성과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극형 환경경영전략의 경우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적극형 환경경영전략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 환경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적극형 환경경영전략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극형 환경경영전략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은 환경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환경경영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수립, 실행, 지속적 개선을 실시하면 환경경영 성과가 제고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적극형 전략유형의 경우 운영관리활동과 환경경영활동은 환경경영성과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나 소극형 전략유형의 경우에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이는 환경경영활동을 적극적으로 전개하면 환경경영성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날 것임을 의미한다.
넷째, 환경경영전략의 유형에 관계없이 환경경영전략은 환경경영시스템, 운영관리활동 및 환경관리 활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적극형 환경경영전략의 경우 환경경영시스템은 운영관리활동 및 환경관리 활동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극형 환경전략의 경우 운영관리활동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본 연구의 대상 기업들이 주로 중소기업으로, 환경성과 자료가 없거나 외부로의 유출을 꺼리는 경향이 있어 정량적인 분석이 어려웠기 때문이다. 둘째, 설문지 응답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환경관리 전담부서에 설문지 응답을 의뢰하였으나 표본기업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이어서 응답자들이 품질, 구매, 생산 등과 같은 업무를 겸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응답자의 전문성 문제로 응답의 신뢰성에 의문이 있을 수 있다.
후속연구
본 연구의 향후과제로는 첫째, 산업 특성별 (청정산업 대 오염산업), 혹은 기업 특성별 (내수기업 대 수출기업) 요인이 연구 결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것이다. 둘째, 환경경영시스템과 품질경영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는 기업과 품질경영시스템만 운영하는 기업들 간에 환경경영에 대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환경경영시스템과 품질경영시스템을 동시에 운영하는 기업과 품질경영시스템만 운영하는 기업들 간에 환경경영에 대한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환경경영시스템을 수행하는 기업의 정량적인 환경성과 자료를 이용한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방정식 모형 중 측정모형은 무엇을 설정한 것인가?
일반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은 측정모형 (measurement model)과 구조모형 (structural model)으로 구성된다. 측정모형은 각각의 관측변수가 특정 잠재변수에 어떻게 적재되어 있는지를 설정한 것이다. 측정모형을 통해 관측변수들의 측정 속성인 신뢰도와 타당성을 평가할 수 있다.
환경경영 활동의 중요 사례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환경경영시스템의 구축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은 ISO 14000 시리즈에 규정되어 있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환경경영시스템이 환경경영의 비전, 목표, 전략, 방침, 활동들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일이다. 환경경영 활동의 중요 사례로는 친환경 설계 (eco-design) 및 재제조 (remanufacturing) 활동과 같은 환경친화적 제품설계 및 생산활동, 환경친화적 소재의 적극적 활용 및 환경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구매 및 조달 활동, 폐기물의 최소화 내지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포장 등의 환경친화적 포장 활동, 원재료에서 완성품, 더 나아가 폐기품의 이동을 환경친화적으로 유도하는 환경친화적 수·배송 활동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환경경영활동으로는 환경경영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측정하는 일, 환경보고서의 발간, 친환경 마케팅 전개, 친환경 관리회계제도의 도입 등을 들 수 있다.
환경경영전략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환경경영전략은 환경 부문의 비전과 가치를 달성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의미한다. 환경경영시스템은, 「KS Q ISO 14001: 2004」 (한국표준협회, 2004)의 용어 정의에 의하면, 환경방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환경측면을 관리하는데 활용되는 조직의 경영시스템의 일부라고 정의된다.
참고문헌 (43)
강현수 (2002). , 박사학위논문, 명지대학교.
김연형 (2010). 지역문화 축제의 서비스 품질과 고객충성도에 관한 연구. , 21, 437-446.
Christmann, P. (1997). Environmental strategies of multinational companies: determinants and effects on competitive advantag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Dodge, H. andWelford, R. (1998). The ROAST Scale. In Corporate environmental management 1: systems and strategies, edited by Welford, R., Earthscan Publications, London, 21-22.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93). Guides to pollution prevention: municipal pretreatment programs (EPA/625/R-93/O06), EPA, Washington, DC.
Fineman, S. and Clarke, K. (1996). Green stakeholders: industry interpretations and respons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33, 715-730.
Fornell, C. and La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 39-50.
Hair, J. F., Anderson, R. E., Tatham, R. L. and Black, W. C. (1998). Multivariate data analysis, 5th ed., Prentice-Hall International.
Hart, S. L. (1995). A natural-resource-based view of the firm.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0, 986-1014.
Henriques, I. and Sadorsky, P. (1999).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ommitment and managerial perceptions of stakeholder importance. Academy of Management, 42, 87-99.
Hunt, C. and Auster, E. (1990). Proactive environmental management: avoiding the toxic trap. Sloan Management Review, 83, 281-289.
Jeong, S. H., Cho, K. H., Lee, W. K., Choi, Y. H. and Song, K. B. (2004). Analysis of job satisfaction of dental resident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ling.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 395-403.
Konar, S. and Cohen, M. A. (2001). Does the market value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1, 7-18.
Maxwell, J., Rothenberg, S., Briscoe, F. and Marcus, A. (1997). Green schemes: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ies and their implementation.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39, 118-134.
Roome, N. (1992). Developing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linking quality and the environment. Business Strategy and the Environment, 1, 11-24.
Russo, M. V. and Fouts, P. A. (1997). A resource-based perspective on corporate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profitability. Academy of Management, 40, 534-559.
Sharma, S. (1995).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veness strategies and competitiveness in the North American oil and gas industr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gary, Alberta.
Sharma, S. and Vredenburg, H. (1998). Proactive corporate environmental strategy and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ly valuable organizational capabilities. Strategic Management, 19, 729-753.
Shrivastava, P. (1995). Environmental technologies and competitive advantage. Strategic Management, 16, 183-200.
Vandermerwe, S. and Oliff, M. D. (1990). Customers drive corporations green. Long Range Planning, 23, 10-16.
Welch, E. W., Ashish, R. and Yasuhumi, M. (2003). The promises and pitfalls of ISO14001 for competitiveness and sustainability. Greener Management International, 44, 59-73.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