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 제3대구치와 하악 우각부 골절과의 상관관계
A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Angle Fracture and the Mandibular Third Molar 원문보기

大韓顎顔面成形再建外科學會誌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ons, v.33 no.6, 2011년, pp.505 - 511  

유석현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이형주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문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  손동석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치과 구강악안면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correlation and risk factors between position of the mandibular third molars and mandibular angle fractures using clinical and radiographic findings. Methods: Medical records and panoramic radiographs of 188 patients with mandibular fractures were retrospectively revie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하악 제3대구치의 위치와 맹출 양상을 알아보고 하악 우각부 골절의 발생 빈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먼저 성별에 따른 분포를 살펴보면 전체 골절 환자에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4배 가량 호발하였고, 우각부 골절 환자에서는 남성이 6.
  • 이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본원에 내원한 우각부 골절 환자를 대상으로 하악 제3대구치의 위치와 맹출 양상에 따른 하악 우각부 골절의 발생 빈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골절편 정복 시 하악 제3대구치의 발치 여부에 따른 술 후 감염에 대해 조사하여 골절시 제3대구치의 발치 필요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절의 위치는 무엇에 의해 결정되는가? 골절의 위치는 힘이 적용된 위치와 방향 및 강도에 의해 결정된다[5,6]. 하악골의 강도는 근육활성과 강도, 구성골의 형태와 두께, 치아의 존재 여부 등 여러 가지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7], Neal 등[8]은 하악골 골절의 50%가 치아와 연관되어 나타난다고보고하기도 하였다.
하악 제3대구치의 하악지 전방부와의 관계를 Pell과 Gregory의 분류법을 따랐을때, 각 레벨은 어떤 경우인가? 하악 제3대구치의 하악지 전방부와의 관계는 Pell과 Gregory의 분류법을 따른다[18]. Level I은 하악지의 전방부와 하악 제2대구치 사이에 하악 제3대구치가 맹출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있는 경우이다. Level II는 공간이 불충분한 경우이다. Level III은 하악 제3대구치가 대부분 하악지에 덮혀 있는 경우이다(Fig. 2).
하악골에서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이유는? 하악골은 해부학적 구조상 다른 안면골에 비해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골절이 빈번하게 발생한다[1]. Lee 등[2]은 악안면부 골절의 발생부위별 진도를 조사하여 하악골이 349예로 가장 많았고 관골 및 관골중, 상악골, 비골 순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Ellis E 3rd, Moos KF, el-Attar A. Ten years of mandibular fractures: an analysis of 2,137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85;59:120-9. 

  2. Lee SC, Kim YG, Ryu DM, Oh SH. A clinical study of facial bone fractures for the last 5 years.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91;17:40-5. 

  3. Ugboko VI, Oginni FO, Owotade FJ. An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ndibular third molars and angle fractures in Nigerians. Br J Oral Maxillofac Surg 2000;38:427-9. 

  4. Azevedo AB, Trent RB, Ellis A. Population-based analysis of 10,766 hospitalizations for mandibular fractures in California, 1991 to 1993. J Trauma 1998;45:1084-7. 

  5. Halazonetis JA. The 'weak' regions of the mandible. Br J Oral Surg 1968;6:37-48. 

  6. Rudderman RH, Mullen RL. Biomechanics of the facial skeleton. Clin Plast Surg 1992;19:11-29. 

  7. Banks P, Brown A, editors. Fractures of the Facial Skeleton. 1st ed. St. Louis: Elsevier Health Sciences; 2001. 

  8. Neal DC, Wagner WF, Alpert B. Morbidity associated with teeth in the line of mandibular fractures. J Oral Surg 1978;36:859-62. 

  9. Oh SH, Kim YG. Dynamic 3-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mandibular fracture mechanism. J Korean Maxillofac Plast Reconst Surg 1996;18:470-87. 

  10. Kruger E, Schilli W, editors.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tology. Vol. 1. Chicago: Quintessence Publishing Co; 1982. 

  11. Kelly DE, Harrigan WF. A survey of facial fractures: Bellevue Hospital, 1948-1974. J Oral Surg 1975;33:146-9. 

  12. Haug RH, Prather J, Indresano AT. An epidemiologic survey of facial fractures and concomitant injuries. J Oral Maxillofac Surg 1990;48:926-32. 

  13. Tevepaugh DB, Dodson TB. Are mandibular third molars a risk factor for angle fracture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J Oral Maxillofac Surg 1995;53:646-9. 

  14. Safdar N, Meechan JG. Relationship between fractures of the mandibular angle and the presence and state of eruption of the lower third molar.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5;79:680-4. 

  15. Rubin MM, Koll TJ, Sadoff RS. Morbidity associated with incompletely erupted third molars in the line of mandibular fractures. J Oral Maxillofac Surg 1990;48:1045-7. 

  16. Schneider SS, Stern M. Teeth in the line of mandibular fractures. J Oral Surg 1971;29:107-9. 

  17. Archer W. Oral and Maxillofacial Surgery. 5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75. 

  18. Pell GJ, Gregory BT.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classification and modified techniques for removal. Dent Digest 1933;39:330-8. 

  19. Shiller WR. Positional changes in mesio-angular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s during a year. J Am Dent Assoc 1979;99:460-4. 

  20. Winter GB, editor. Impacted Mandibular Third Molar. St Louis: American Medical Book Co; 1926. 

  21. Park SH, Choi JY, Kim SI, et al. A study of correlation between mandibular angle fracture and the mandibular third molar.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2009;35:420-5. 

  22. Han IJ, Yoon JH. The clinical study on maxillofacial fractures of Korea. J Korean Assoc Oral Maxillofac Surg 1985;11:283-97. 

  23. Dodson TB. Impacted third molar and mandibular angle fractur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Oral Radiol Endod 1996;81:264-5. 

  24. Marker P, Eckerdal A, Smith-Sivertsen C. Incompletely erupted third molars in the line of mandibular fracture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57 cases.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8:426-31. 

  25. Iizuka T, Tanner S, Berthold H. Mandibular fractures following third molar extraction. A retrospective clinical and radiological study.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7;26:338-43. 

  26. Schwimmer A, Stern R, Kritchman D. Impacted third molars: a contributing factor in mandibular fractures in contact sports. Am J Sports Med 1983;11:262-6. 

  27. Libersa P, Roze D, Cachart T, Libersa JC. Immediate and late mandibular fractures after third molar removal.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163-5. 

  28. Halmos DR, Ellis E 3rd, Dodson TB. Mandibular third molars and angle fractures. J Oral Maxillofac Surg 2004;62:1076-81. 

  29. Lee JT, Dodson TB. The effect of mandibular third molar presence and position on the risk of an angle fracture. J Oral Maxillofac Surg 2000;58:394-8; discussion 399. 

  30. Thoma KH. Oral Surgery. 4th ed. St Louis: Mosby Co; 1966. 

  31. Wagner WF, Neal DC, Alpert B. Morbidity associated with extraoral open reduction of mandibular fractures. J Oral Surg 1979;37:97-100. 

  32. Schonberger A. Behandlung der Zahne im Bruchspalt. Forschr Kiefer Gesichtschir 2 1956;108. 

  33. James RB, Fredrickson C, Kent JN. Prospective study of mandibular fractures. J Oral Surg 1981;39:275-81. 

  34. Ellis E 3rd. Outcomes of patients with teeth in the line of mandibular angle fractures treated with stable internal fixation. J Oral Maxillofac Surg 2002;60:863-5.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