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athologic fractures of the mandible can occur for many reasons including osteoradionecrosis, osteomyelitis, malignancy and cyst. Pathologic fractures are difficult to treat because management is needed not only for the fractures of the mandible but also the underlying disease the is weakening the b...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적 골절의 치료를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지만, 성공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았고 장기간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였다. 이 증례보고를 통해서 최근 하악골에 병적 골절이 발생한 3명의 환자를 보고하고, 병적 골절의 적절한 관리 및 치료 방법에 대하여 기존의 문헌을 참고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 이 증례의 경우도 고령의 나이로 인하여 광범위한 수술은 시행되지 않았으며, 통증의 완화를 목적으로 의치 및 아치바를 이용하여 악간 고정을 유지하였고, 종양의 성장 속도를 늦추기 위하여 항암화학요법을 보조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환자에서는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치료도 추가적으로 시행하였는데, 이는 지속적인 골파괴로 인한 고칼슘혈증(hypercalcemia)을 교정하고, 암종 및 염증으로 인한 하악골의 파괴를 지연시키기 위해서였다. 골다공증의 치료제인 비스포스포네이트의 경우 BRONJ의 원인이 되기도 하지만, 고칼슘혈증의 치료[15]나, 암종으로 인한 골 파괴를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이 되기도 한다[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병적 골절이란? 병적 골절이란 여러 가지 질병에 의해 약해진 뼈가 정상적인 기능 중에 발생하는 힘이나 약한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골절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1]. 병적 골절은 우리 몸에서 척추(vertebra), 대퇴골(femur), 상완골(humerus) 등에서 발생할 수가 있는데[2,3], 구강 악안면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하악골에서 주로 발생을 한다[4,5].
병적 골절의 원인은 방사선 치료로 인한 골 괴사, 골수염으로 인한 것 외에 무엇이 있는가? 병적 골절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Gerhards 등[4]과 Coletti와 Ord[5]이 후향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병적 골절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방사선 치료로 인한 골 괴사(osteoradionecrosis)였으며, 그 다음으로 골수염으로 인한 병적 골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낭종(cyst), 악성 혹은 양성 종양, 매복 제3대구치, 선천적인 골 이상, 골다공증, 무치악 상태가 오래 지속되어나타난 하악의 위축(atrophy) 등이 병적 골절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5]. 최근에는 BRONJ (Bisphosphonate 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에서의 병적 골절이나[6], 임플란트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 병적 골절[7] 등이 새로운 원인으로 보고가 되고 있다.
병적 골절의 어디서 발생하는가? 병적 골절이란 여러 가지 질병에 의해 약해진 뼈가 정상적인 기능 중에 발생하는 힘이나 약한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골절이 되는 것을 의미한다[1]. 병적 골절은 우리 몸에서 척추(vertebra), 대퇴골(femur), 상완골(humerus) 등에서 발생할 수가 있는데[2,3], 구강 악안면 영역에서는 거의 대부분이 하악골에서 주로 발생을 한다[4,5]. 병적 골절의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Gerhards 등[4]과 Coletti와 Ord[5]이 후향적으로 연구한 결과를 살펴보면, 병적 골절의 원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은 방사선 치료로 인한 골 괴사(osteoradionecrosis)였으며, 그 다음으로 골수염으로 인한 병적 골절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Fonseca RJ, Walker RV, Betts NJ, Barber HD, Powers MP, editors. Oral and maxillofacial trauma, I. Philadelphia: Saunders; 2005. 

  2. Chuang HC, Wei ST, Lee HC, Chen CC, Lee WY, Cho DY. Preliminary experience of titanium mesh cages for pathological fracture of middle and lower cervical vertebrae. J Clin Neurosci 2008;15:1210-5. 

  3. Gruber G, Zacherl M, Leithner A, et al. Surgical treatment of pathologic fractures of the humerus and femur. Orthopade 2009;38:324, 326-8, 330-4. 

  4. Gerhards F, Kuffner HD, Wagner W. Pathological fractures of the mandible. A review of the etiology and treatment.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8;27:186-90. 

  5. Coletti D, Ord RA. Treatment rationale for pathological fractures of the mandible: a series of 44 fractures.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8;37:215-22. 

  6. Wongchuensoontorn C, Liebehenschel N, Wagner K, et al. Pathological fractures in patients caused by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the jaws: report of 3 cases. J Oral Maxillofac Surg 2009;67:1311-6. 

  7. Chrcanovic BR, Custodio AL. Mandibular fractures associated with endosteal implants. Oral Maxillofac Surg 2009;13:231-8. 

  8. Chow AW, Roser SM, Brady FA. Orofacial odontogenic infections. Ann Intern Med 1978;88:392-402. 

  9. Kim YK, Kim SG. Treatment of mandible fractures using bioabsorbable plates. Plast Reconstr Surg 2002;110:25-31. 

  10. Park HW, Ryu DM, Lee HJ, Huh WS. The effects of resorbable plate in the healing process of mandibular fracture of the rabbits. J Korean Assoc Maxillofac Plast Reconstr Surg 1999;21:131-8. 

  11. Urken ML. Composite free flaps in oromandibular reconstruction.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91;117:724-32. 

  12. Califano L, Zupi A, Maremonti P, Longo F. Pathological fractures of the mandible caused by cancer of the oral cavity. Rev Stomatol Chir Maxillofac 1997;98:312-5. 

  13. Plath T, Marks C. Pathologic fracture of the mandible caused by intraosseous metastasis of o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 a case report. Int J Oral Maxillofac Surg 1996;25:282-4. 

  14. Califano L, Zupi A, Maremonti P, Longo F, Mangone GM, Marinelli A. Pathological fracture of the mandible: a report of a clinical case treated with clodronate. G Chir 1999;20:307-9. 

  15. Berenson JR. Treatment of hypercalcemia of malignancy with bisphosphonates. Semin Oncol 2002;29(6 Suppl 21):12-8. 

  16. Mhaskar R, Redzepovic J, Wheatley K, et al. Bisphosphonates in multiple myeloma.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0;(3):CD003188. 

  17. Ogasawara T, Sano K, Hatsusegawa C, Miyauchi K, Nakamura M, Matsuura H. Pathological fracture of the mandible resulting from osteomyelitis successfully treated with only intermaxillary elastic guiding.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08;37:581-3. 

  18. Kuijpers SC, van Roessel EW, van Merkesteyn JP. Unusual case of a conservatively treated pathological fracture after sequestrectomy in a patient with long-term oral bisphosphonate use. J Craniomaxillofac Surg 2011;39:69-72. 

  19. van Merkesteyn JP, Balm AJ, Bakker DJ, Borgmeyer-Hoelen AM. Hyperbaric oxygen treatment of osteoradionecrosis of the mandible with repeated pathologic fracture. Report of a case. Oral Surg Oral Med Oral Pathol 1994;77:46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