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Sokmyeung-tang(SMT) has been used for treatment of CVA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s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SMT's protection on brain cell damage against the oxidative stress that was affected by CVA, We also investigated the effect of motor function i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續命湯이 뇌허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신경교세포주인 C6 glial cell에 續命湯 투여 후 산화적 스트레스에 의한 세포사멸 방지 효과 및 SOD 활성도와 glutathione 함량을 관찰하였고, 뇌조직 손상 재생능력을 보고자 허혈성 뇌손상을 유발한 흰쥐의 신경학적 운동행동 평가 및 BDNF를 측정하여 유의성을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뇌혈관의 파열이나 폐쇄로 인해 뇌에 혈액이 충분이 공급되지 않아 뇌의 신경계가 손상을 받아 발생하는 질환으로1, 급격한 의식장애와 운동 및 감각장애 등의 신경학적 증상을 나타내며 뇌출혈, 뇌경색, 일과성 뇌허혈, 지주막하 출혈 등이 포함된다2,3.
뇌허혈시 생성되는 과량의 활성 산소가 중추신경계에 끼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특히 중추신경계는 세포막에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하며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SOD, CAT, GPx 등의 효소가 적고, 또한 free radical을 형성하는 이온이 풍부하여 free radical에 의해 비교적 손상받기가 쉬운데34, ROS가 세포내 DNA, 세포 구성 단백질, 지질 등에 비가역적인 손상을 줌으로써 신경세포 손상을 일으켜 신경세포 고사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뇌허혈로 인해 손상을 받은 신경세포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뇌허혈로 인해 손상을 받은 신경세포는 괴사성 신경세포사(NND, necrotic neuronal death)와 지연성 신경세포사(DND, delayed neuronal death)로 나눌 수 있는데4, 지연성 신경세포사의 경우 그 원인은 glutamate의 흥분독성, 단백질 합성장애, 산화적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고사 등으로 추정하고 있다5,6,7. 빠른 시기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경우 비가역적 세포손상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뇌허혈로 인한 신경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김진수 외. 최신신경학. 서울: 과학서적센터; 2000, p. 394. 

  2. 대한신경외과학회. 신경외과학. 서울: 중앙문화사; 1998, p. 276-9. 

  3. 김형돈. 신경과 신경외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8, p. 88-131. 

  4. Witte OW, Bidmon HJ, Schiene K, Redecker C, Hagemann G.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multiple perilesional zones after focal cerebral ischemia, J cereb Blood Flow Metab. 2000;20(8):1149-65. 

  5. Graham SH, Chen J. Programmed cell death in cerebral ischemia, Cerebral Blood Flow Metab. 2001;21(2):99-109. 

  6. Sattler R, Tymianski M. Molecular cachani는 of glutamate receptor mediated excitotoxic neuronal cell death. Molecular Neurobiology 2007;24(1-3):107-29. 

  7. 김용재, 전영진, 김성은, 구혜수. Gerbil 전뇌허혈 -재관류 모델에서 L-Arginine과 7-Nitroindazole 이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응급학회지. 2003;14(1):23-8. 

  8. Benvensite H, Hrejer J, Schousboe A, Diemer N. Elevation of the extracellular concentrations of glutamate in rat hippocampus during transient cerebral ischemia monitored by intracerebral microdialysis. J neurochem. 1998;43(5):1369-74. 

  9. Dyker AG, Lees KR. Duration of neuroprotective treatment for ischemic stroke. Stroke. 1998;29:535-42. 

  10. 張機. 金?要略. 서울: 익성사; 1975, p. 30-1. 

  11. 孫思邈. 千金方. 中國: 花夏出版社; 1994, p. 122-36. 

  12. 나호정, 권동렬. 續命湯의 出處, 種類및 造成에 대한 考察.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2003;11(2):19-28. 

  13. 양형길. 當歸飮과 續命湯이 血栓症및 高粘度血症에 미치는 影響. 경희의대논문집30. 경희대학교. 1993;57-68. 

  14. 박지은 김영균, 권정남, 김경민, 조은희. 小續命湯이 백서의 국소뇌혈류량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2000;21(5):851-7. 

  15. 임창용, 이광로, 정상수, 강세영, 이소영, 이대용, 등. 小續命湯이 저산소증으로 유발된 대뇌신경세포의 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3;24(3):508-21. 

  16. 박종형, 이경섭. 祛風續命湯이 脂質代謝에 미치는 影響에 關한 硏究. 경희대학교 논문집. 1982;5(1):335-43. 

  17. 김희상. 안경희. 이종하. 김은국. 윤동환. 이규태, 등.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관련된 임상적 인자. 경희의학. 2007;23(1):42-7. 

  18. Longa EZ, Eeinstein PR. Carlson S, Cummins R. Reversible middle cerebral artery occulusion without craniectomy in rats. Stroke. 1989;20(1):84-91. 

  19. 김병조. 임상치료사를 위한 신경학적 검사의 이해. 대한물리의학회지. 2007;2(2):229-36. 

  20. Balduini W, De Angelis, Mazzoni E, Cimino M. Long-lasting behavioral alterations following a hypoxic ischemic brain injury in neonatal rats. Brain Research. 2000;895:318-25. 

  21. Goldseine LB, Davis JN. Post-lesion practice and amphetamine-facilitated recovery of beamwalking in the rat. Redtor Neurol Neurosci. 2001;311-4. 

  22. F. P. Kolb, S. Lachauer, M. Maschke, D. Timmann. Classically conditioned postural reflex in cerebellar patients.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04;158(2):163-79. 

  23. 이신호, 박유석, 정성필, 박인철, 정현수, 최선행, 등. 급성 뇌혈관 질환이 의심되는 환자에서 병원도착 지연요인. 대한응급학회지. 2006;17(5):431-7. 

  24. 통계청. 사망원인. http://kosis.kr/abroad/abroad_01List.jsp. 2009. 

  25. 김승은, 김도형, 고창남, 김용석, 박동원, 이경섭. 한방병원에 입원한 뇌졸중환자의 역학적 동향에 대한 임상적 관찰. 대한한의학회지. 2000;21(2):104-11. 

  26. 나영신. 뇌혈관질환에서 SPECT와 PET의 임상적 응용. 대한핵의학회지. 2003;37(1):1-12. 

  27. 김영석, 문상관, 박성욱, 한창호. 임상중풍학. 서울: 도서출판정담; 2007, p. 1-2, 17-29, 42-6. 

  28. Choi DW, Maulucci GMA, Kriegstein AR. Glutamate neurotoxicity in cortical cell culture. J Neurosci. 1987:7(2);357-68. 

  29. 김완식, 정승현, 신길조, 문일수, 이원철. PC12 손상 세포 및 전뇌허혈 유발 Gerbil에 對한 枳實의 세포보호효과 연구. 대한한의학회지. 2003; 24(1):29-40. 

  30. Fridovich I. Superoxide dismutases. Methos Enzymol, 1986:58:62. 

  31. Khan AU, Karnovsky MJ. Extracellular production of singlet oxygen by stimulated macrophages quantified using 9,10-diphenylanthracene and perylene in a polystylene film. J Bio Chem. 1993:268:15649-54. 

  32. McCored JM. The evolution of free radicals and oxidative stress. Am J Med. 2000;108:652-59. 

  33. Lee WC, Choi CH, Cha SH, Oh HL, Kim YK. Role of ERK in hydrogen peroxide- incluced cell death of human glioma cells. Neurochem Res. 2005;30(2):263-70. 

  34. Islekel H, Islekel S, Guner G, Ozdamar N. Evaluation of lipid peroxidation, cathepsic L and acid phosphatase activities in experimental brain ischemia reperfusion. Brain Res. 1999;832:18-24. 

  35. 전국 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심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6, p. 331-4. 

  36. 나호정, 권동렬. 속명탕의 출처, 종류 및 조성에 대한 고찰. 대한의학 방제학회지. 2003;11(2):19-28. 

  37. 강명성 외. 약리학. 인민위생출판사. 1989;3:30. 

  38. 강소신의학원 편. 중약대사전. 상해과학 출판사. 서울: 도서출판 정담; 2004, p. 213, 1205. 

  39. 허청원 외. 중국중서의약집지. 1991;16(2):112. 

  40. Halliwell B, Gutterridge JMC. Methods in enzym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1990 1-85. 

  41. 어은경, 김경희. 배양 림프구에서 Paraquat의 세포독성에 대한 Vitamin C 와 Deferoxamine의 항산화 효과. 대한임상독성학회지. 2006;4(1):7-16. 

  42. Mullens W, Abrahams Z, Francis GS, Skouri HN, Starling RC, Young JB, et al. Sodium nitroprusside for advanced low-output heart failure. J Am Coll Cardiol. 2008 Jul 15;52(3):200-7. 

  43. Schuler F., Casida JE. Functional coupling of PSST and ND1 subunits in NADH: ubiquinone oxidoreductase established by photoaffinity labeling. Biochem Biopsys Acta. 2001;1506:79-87. 

  44. Greenmyre JT, Sherer TB, Betarbet R., Panov AV. Complex I and Pakinson's disease. IVBMB Life. 2001;52:135-41. 

  45. Armstrong JS, Hornung B., Lecane P., Jones DP, Knox SJ. Rotenone induced G2/M cell cycle arrest and apoptosis in a human B lymphoma cell line PW. Biochem Biopsys Res Commun. 2001;289:973-8. 

  46. Go YM., Gipp JJ., Mulcahy RT., Jones DP. $H_{2}O_{2}$ -dependent activation of GCLC-ARE4 receptor occurs by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s without oxidation of cellular glutathione or thioredoxin-1. Biol Chem. 2004;279:5837-45. 

  47. 송주민, 김진상. 외상성 뇌손상의 손상기전과 신경가소성에 대한 고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2):90-8. 

  48. McAllister AK, Kats LC, Lo DC. Neurotrophic and synaptic palasticity. Annu Rev Neurosci. 1999;22:295-318. 

  49. 정준환. 좌골신경 손상시 수중운동이 운동기능 회복 능력과 c-fos 및 BDNF 발현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학위논문. 2005. 

  50. 김초민, 김순희, 오아영, 김근아, 이일우, 이종문, 등. 신경재생을 위한 BDNF를 함유한 PLGA 지지체의 제조 및 방출. Polymer. 2008;32(6):5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