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적석지산(赤石脂散)과 탁리소독음(托裏消毒飮)의 화상치료(火傷治療)효과
The Effect of Jerksukji-san and Tangnisodok-eum on burn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32 no.1, 2011년, pp.68 - 74  

이대현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한현진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서의석 (보은병원) ,  정현숙 (효사랑병원) ,  강세영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  장인수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Jerksukji-san and Tangnisodok-eum have an effect on treatment of burn. Methods : 24 male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4 groups. Burns were created by scalding on the skin surface. Immediately after being burned, the rats of group 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保生救苦散, 黃柏散, 氷霜散, 四黃散 등의 韓方火傷治療 外用藥들의 기본이 되는 약재인, 大黃, 赤石脂, 寒水石으로 구성된 赤石脂散을 선택하여 韓方 火傷治療의 효과를 증명하려 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托裏消毒飮을 함께 복용시킨 군에 대한 실험을 함께 시행하여, 韓方 火傷治療에 있어서 內外兼治의 효능 또한 증명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 이에 저자는 臨床에서 사용 가능한 새로운 韓方火傷治療法에 대한 火傷治療效果를 평가하기 위하여, 2도의 皮膚火傷을 입힌 白鼠에 赤石脂散 軟膏를 도포하거나 托裏消毒飮을 함께 복용시킨 후, 이들의 표피재생, 염증세포의 침윤도 변화, 조직학적 변화에 대한 연구를 시행하였고, 이에 대해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火傷의 주원인은? 火傷은 인체에 열이 가하여 짐으로써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火焰, 熱湯, 電氣, 化學物質 등이 주원인이 되는데, 그 중 熱湯에 의한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 생활수준 또는 직업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게 되며,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서 화상으로 인한 위험도와 사망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특히 4세 이하에서는 70-80% 이상이 熱湯에 의한 火傷이라고 알려져 있다1,2. 火傷에 대하여 古代文獻에서는 火燒瘡, 湯火傷, 火瘡, 湯潑火傷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3.
火傷이란? 火傷은 인체에 열이 가하여 짐으로써 피부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으로 火焰, 熱湯, 電氣, 化學物質 등이 주원인이 되는데, 그 중 熱湯에 의한 경우가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연령, 생활수준 또는 직업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게 되며, 일반적으로 저소득층에서 화상으로 인한 위험도와 사망률이 더욱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특히 4세 이하에서는 70-80% 이상이 熱湯에 의한 火傷이라고 알려져 있다1,2. 火傷에 대하여 古代文獻에서는 火燒瘡, 湯火傷, 火瘡, 湯潑火傷 등으로 표현하고 있다3.
화상의 치료에 사용되는 洋方的 방법의 특징은? 현재 洋方的 治療에 상용되고 있는 火傷 軟膏는 항생제와 면역억제제 등이 첨가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2차 감염이나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등 부가적인 증상만을 억제한 상태에서 자연 치유력을 기대하는 것으로 적극적인 치료의 개념이 아니다7,8. 그러므로 火傷의 治療에 있어서 신속한 治療效果와 동시에 새살을 돋게 하고 흉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治療 方法의 開發이 요구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김진복. 최신외과학. 서울: 일조각; 1997, p. 285-310. 

  2. 안성구, 장경훈, 송중원, 천승현. 한국인의 common skin disease 진단과 치료. 서울: 닥터스북; 2009, p. 676. 

  3. 陳貴延外. 實用中西醫結合診斷治療學.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1, p. 1400-6. 

  4. 대한피부과학회교과서편찬위원회. 피부과학. 제5판. 서울: 여문각; 2008, p. 149-50. 

  5.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p. 1288-91. 

  6. 조수현, 최승인. 화상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외과학회지. 1998;54(3):305-12. 

  7. 서울대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약리학. 서울: 고려의학; 1994, p. 814. 

  8. 박선섭, 유일준. 피부작용약. 서울: 정문각; 1998, p. 253. 

  9. 민동훈, 김대근, 임종필, 양재헌. 화상 및 창상에 대한 자근 치자 복합제제의 경피 흡수 및 치료 효과. 약제학회지. 2005;35(4):255-62. 

  10. 남성우, 이복규, 조현국. 특정전자파 조사와 몰약의 도포에 의한 화상 피부의 치유 촉진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3;18(4):263-8. 

  11. 김성배, 강병수. 종대황의 피부도포로 인한 백서의 화상 피부조직과 혈청내 호중구 Chemokine의 생성억제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0;15(2):25-30. 

  12. 정현숙, 남지성, 이대현, 장인수, 서의석. 약침과 한약의 복합 치료를 이용한 탕화상 환자 치험1례. 대한약침학회지. 2009;12(3):89-95. 

  13. Benson A, Dickson WA, Boyce DE. ABC of wound healing: burns. British Medical Journal. 2006;332(7542):649-52. 

  14. 조애리. 설파디아진은의 피부세포 증식 및 화상 모델에 있어서의 상처치유과정에 미치는 영향. 약제학회지. 2002;32(2):113-7. 

  15. 정덕채, 황성규, 김판기. Xanthan Gum과 Algin 으로부터 제조한 연고가 랫드의 화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1999;14(3):287-92. 

  16. 유미경, 정동환, 심상희, 박수연, 김종한, 최정화. 火傷의 外治法에 對한 文獻的考察. 대한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3;16(3):38-67. 

  17. 顧伯華. 實用中醫外科學下篇.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85, p. 177, 179. 

  18. Wright JB, Lam K, Burrell RE. Wound management in an era of increasing bacterial antibiotic resistance: a role for topical silver treatment.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1998;26:572-7. 

  19. 許浚. 東醫寶鑑(1613年初刊). 河東: 東醫寶鑑出版社; 2006, p. 1646-7. 

  20. 신재용. 방약합편해설. 서울: 전통의학연구소; 2005, p. 80. 

  21. 윤용갑. 동의방제와 처방해설. 서울: 의성당; 2004, p. 8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