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LS를 이용한 고층 RC 빌딩의 붕괴해석 및 발파해체해석 기법의 국부손상-연쇄붕괴 전이과정 해석에 응용
Collapse Simulations of High-Rise RC Building Using ELS Software and Application of Explosive Demolition Methods to Transition Process Analysis from Local Damage to Progressive Collapse 원문보기

화약·발파 = Explosives & blasting, v.29 no.2, 2011년, pp.1 - 12  

김현수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대학원) ,  박훈 ((주)코리아카코 부설연구소) ,  김승곤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  이연규 (군산대학교 해양건설공학과) ,  조상호 (전북대학교 자원.에너지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외부폭발, 화재, 충돌, 지진, 태풍과 같은 비정상 하중에 의한 고층빌딩의 연쇄붕괴(progressive collapse) 해석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그러나 실규모의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 손상 및 붕괴에 실험은 현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 발파해체분야에서 적용되는 EL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외부폭발에 의한 고층 RC 구조물의 국부손상 및 연쇄붕괴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현관으로부터 1m, 2m, 5m, 10m, 15m 이격되어 폭약 1,500kg이 폭발한 것을 가정하여, 이격거리에 따른 국부손상과 이에 따른 연쇄붕괴현상을 파악하였다. 특히 기폭시나리오에 따라 구조물 지지부재의 일부를 제거하여 구조물의 붕괴를 유도하는 발파해체기법을 국부손상-연쇄붕괴 전이과정 연구에 적용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gressive collapse analyses of high-rise buildings subjected to abnormal loading such as fires, impacts, earthquakes, typhoon, bomb blasts etc. are intend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perform collapse experiments of the real scale building to determine the capacity of the structure under an ext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기폭시나리오에 따라 구조물 지지부재의 일부를 제거하여 구조물의 붕괴를 유도하는 발파해체기법을 국부손상-연쇄붕괴 전이과정 연구에 적용하였다. 연쇄붕괴가 발생된 모델을 대상으로 국부손상부재를 파악하여, 발파해체 해석기법을 적용하여 국부 손상-연쇄붕괴 전이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법을 연구하였다. 결과적으로 구조물의 수직하중을 직접 받는 벽체 및 기둥의 보강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Extreme Loading Structures (ELS) 소프트웨어는 응용 요소법(Applied Element Method, AEM)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주로 극한 하중 조건하에 구조물의 손상정도와 붕괴거동을 예측하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이다(Tagel-Din & Rahman, 2006). AEM은 구조물을 작은 요소들을 집합체로 모형화하며 이 요소들은 Fig. 1에서와 같이 요소면 주위에 분포되어 있는 접촉점에서 한 개의 수직 스프링과 두 개의 전단 스프링에 의해 연결된 것으로 가정한다. 각 요소는 3차원의 물리적인 좌표와 형상을 가지며 서로 분리되거나 충돌할 수 있다.
  • 외부폭발에 의한 고층 RC 빌딩의 붕괴거동을 해석하기 위하여 1,500kg 폭약이 RC 빌딩으로 1m, 2m, 5m, 10m, 15m 이격된 거리에서 폭발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해석모델의 경우 이격거리 1~2m 사이에서 국부손상에 의한 연쇄붕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폭약 TNT 1,500kg을 적재한 화물차가 Fig. 4와 같이 고층 RC빌딩 건물에 외부폭발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가정하였다. 지상 2m 높이에서 구조물과 화물차의 거리 1m, 2m, 5m, 10m, 15m 이격된 거리에서 외부 폭발에 의한 고층 빌딩의 국부손상 및 연쇄붕괴를 모사하였다.
  • 해석에서는 접촉면당 5개의 스프링을 사용하였고 지반은 콘크리트와 동일한 물성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Table 2는 해석에서 사용한 콘크리트, 철근, 벽돌의 물성값을 나타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쇄붕괴란 무엇인가? 연쇄붕괴는 구조부재의 국부적인 파괴로 인하여 주변 부재의 파괴로 어어지고 건물 전체 또는 더 큰 영역의 파괴로 이어지는 붕괴를 의미하며 이는 2차, 3차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하게 되어 인명 및 시설물에 큰 손실을 입힌다. 연쇄붕괴의 대표적인 국내 사례는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사건이고 외국의 경우는 1998년 미국 오클라호마 연방정부 건물의 차량 폭탄 테러 및 2001년 미국 세계무역센터(WTC) 건물의 연쇄붕괴를 들 수 있다(Nair, 2003).
요소와 요소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 스프링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그리고 요소들의 크기가 변할 때 특정한 변환요소가 필요 없으며 같은 면을 공유하는 요소들은 면의 일부분만이라도 공유되면 연결 스프링으로 연결이 된다. 요소를 연결하는 스프링은 매트릭스 스프링과 철근 스프링으로 나누며 매트릭스 스프링은 인접한 두 요소의 연결 상태와 주요 구성 재료의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 구조물일 경우 이 스프링은 콘크리트의 재료를 표현하며 철골 구조물일 경우 철골의 재료 특성을 표현한다.
Extreme Loading Structures 소프트웨어는 어떤 프로그램인가?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Extreme Loading Structures (ELS) 소프트웨어는 응용 요소법(Applied Element Method, AEM)을 기반으로 제작되어 주로 극한 하중 조건하에 구조물의 손상정도와 붕괴거동을 예측하는 수치해석 프로그램이다(Tagel-Din & Rahman, 2006). AEM은 구조물을 작은 요소들을 집합체로 모형화하며 이 요소들은 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Okamura H. and Maekawa K.: Nonlinear analysis constitutive models of reinforced concrete, Gihodo Co. Ltd., Tokyo, 1991. 

  2. Ristic, D., Yamada, Y., and Iemura, H. 1986, "stressstrain based modeling of hysteretic structures under earthquaked induced bending and varying axial loads", Research report No. 86-ST-01, School of Civil Engineering, Kyoto University, Kyoto, Japan. 

  3. Nair, R.S., 2003, Progressive Collapse Basics, Proc. AISC-SIDNY Symp. on Resisting Blast and Progressive collapse, AISC, New York. 

  4. Mays, G.C., and P.D. Smith, 1995, Blast Effects on Buildings, Thomas Telford Publications, Thomas Telford Services Ltd, Heron Quay, London, UK. 

  5. Mendis, P.A., and T. Ngo, 2002, Assessment of tall buildings under blast loading and aircraft impact, Toward a better built Environment, Innovation Association of Bridge and Structural Engineering, Australia, pp. 375-376. 

  6. Tagel-Din, H. and N. A. Rahman, 2006, Simulation of the Alfred P. Murrah Federal Building Collapse due to Blast Loads, Architectural Engineering National Concerence, Omaha, Nebraska, pp. 1-15. 

  7. 박 훈, 석철기, 김승곤, 2008, AEM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모형 구조물의 붕괴 모델링, 터널과 지하공간, Vol. 19, No. 1 pp. 43-5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