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폭발하중에 의한 연쇄붕괴 해석을 위한 침식 기준
Erosion Criteria for the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of Reinforcement Concrete Structure due to Blast Load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6 no.3, 2014년, pp.335 - 342  

김한수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  안효승 (건국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폭발하중에 의한 연쇄붕괴 해석을 위한 적합한 침식 기준값을 제안하였다. 침식은 기본적으로 대변형에 의한 오류나 해석의 갑작스러운 종료 등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수치해석 기법이며 선행연구에서 폭발해석에서의 적합한 침식기준 값을 제안했었다. 하지만 콘크리트는 변형률 속도에 따라 다른 스트레스-스트레인 곡선을 갖는다. 따라서 실험 결과와 수치해석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연쇄붕괴 시뮬레이션에 적합한 침식기준 값을 제안하였다. 최종적으로 실제 붕괴가 일어났던 오클라호마 연방정부 건물을 두 결과 값의 중간 값을 적용하여 유사 해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해석 결과는 실제 붕괴를 잘 묘사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reference erosion criteria value suitable for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of RC structure due to blast load is proposed. Erosion is fundamentally a numerical technique to overcome the problems such as large numerical errors or abrupt termination of analysis and previous study has b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빠른 변형률속도를 가지는 폭발해석과 느린 변형률속도를 가지는 연쇄붕괴해석에 적합한 침식기준을 비교하여 폭발해석과 연쇄붕괴해석에 동시에 적용할 수 있는 침식기준을 제안하였다. 연쇄붕괴해석에 적합한 침식기준을 살펴보기 위하여 붕괴저항성능 평가를 위해 수행된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부분 구조물의 실험 결과를 해석 결과와 비교하여 유사한 파괴 거동을 보이는 침식기준을 제시하였다.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연쇄붕괴가 발생하는 유사정적 상태에 적합한 침식기준을 찾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부분구조물의 경우를 실험 데이터와 침식 기준을 변화시킨 수치해석 모델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쇄붕괴의 파괴 양상을 사실적으로 모사 할 수 있는 적합한 침식 기준 값을 찾고자 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철근콘크리트 건물의 폭발하중에 대한 연쇄붕괴 거동을 보다 정확하게 모사하기 위한 침식 기준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폭발해석과는 다른 변형률 속도를 가지는 연쇄붕괴 저항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유효변형률 침식 기준 값을 변경하며 실험 결과와 유사한 해석 결과를 보여줄 수 있는 값을 도출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그림과 같은 보-기둥 부분구조물의 실험 결과를 모사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해석을 위해 적용한 수치해석모델의 조건은 Fig.
  •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연쇄붕괴가 발생하는 유사정적 상태에 적합한 침식기준을 찾기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부분구조물의 경우를 실험 데이터와 침식 기준을 변화시킨 수치해석 모델을 비교하였다. 이를 통하여 연쇄붕괴의 파괴 양상을 사실적으로 모사 할 수 있는 적합한 침식 기준 값을 찾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철근의 배근 상태는 보고서에 명시된 주요 구조 부재의 내용을 따랐고 나머지 명시되지 않은 부분은 1.5%의 철근비로 가정하였다. 폭발물(TNT)의 위치는 위 보고서를 근거로 제시된 위치에 약 2000 kg의 폭발물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정상하중에 의한 1차적 피해로 연쇄붕괴라는 2차적 사태로 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현재 미국과 유럽을 비롯한 여러 나라에서는 어떻게 하고 있는가? 이를 위한 대책으로 현재 미국, 유럽 등 여러 나라에서는 GSA2), DOD3)등 정적해석법에 근거하여 연쇄붕괴 방지를 위한 설계 기준을 규정하고 있으며 꾸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보다 정확한 설계 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폭발과 붕괴라는 비선형적이며 동적인 현상을 고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한요소법을 기반으로 한 동적해석 기법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수 행되고 있다.
연쇄붕괴란 무엇인가? 연쇄붕괴는 충격하중이나 폭발하중 등의 비정상하중에 의해 구조부재의 국부손상이 구조물의 부분적인 파괴나 전체적인 붕괴로 이어지는 현상을 말한다.1) 세계적으로 빌딩의 초고층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이 연쇄붕괴는 초고층빌딩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파급력이 큰 현상으로서 초고층 빌딩의 최대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하이드로코드란 무엇인가? AUTODYN에서 사용하는 하이드로코드10)는 초고속 충돌로 인한 아주 짧은 순간의 대변형, 대회전, 대변형률, 상태변화 등의 비선형 거동 문제를 유한 차분, 유한 체적, 그리고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해석하는 코드이다. 이 같은 장점 때문에 건축분야에서도 구조부재의 충돌및 폭발해석을 위해 많은 연구에 활용되고 있고, 부재단위 해석에서 나아가 충돌 및 폭발의 영향이 구조물 전체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보기 위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SCE Standard ASCE/SEI 7-05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Reston, Virginia, USA, 2001. 

  2. GSA,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and Design Guidelines for New Federal Office Buildings and Major Modernization, 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2003. 

  3. DoD, Design of Buildings to Resist Progressive Collapse, US Department of Defense, 2010. 

  4. Kaewkulchai, G. and Williamson, E. B., "Beam Element Formulation and Solution Procedure for Dynamic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Computers & Structures, Vol. 82, 2004, pp. 639-651. 

  5. Kim, J. K. and Kim, T. W., "Evaluation of Progressive Collapse-resisting Capability of Steel Monment Frames Using the Nonlinear Dynamic Analysis Procedure," Journal of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re of Korea, Vol. 20, No. 4, 2007, pp. 435-442. 

  6. Kim, J. K., Ahn, D. W., and Kim, H. S., "Development of Progressive Collapse Analysis Program considering Dynamic Effect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3, No. 6, 2007, pp. 21-29. 

  7. Kim, H. S. and Park, J. P., "An Evaluation of Blast Resistance Performance of RC Columns According to the Shape of Cross Section," Journal of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re of Korea, Vol. 23, No. 4, 2010, pp. 387-394. 

  8. Kim, H. S. and Lee, J. Y., "An Evaluation of Blast Resistance Performance of RC Columns by Using P-M Interaction Diagram,"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10, 2011, pp. 47-54. 

  9. Ahn, J. G., Kim, H. S., and Ahn, H. S., "Computational Simulation of Progressive Collapse of Reinforced Concrete Frame due to Blast Load," The Structural Desigh Of Talland Special Buildings, 2014. (will be published) 

  10. Zukas, J. A., Introduction to Hydrocodes, Elsevier, UK, 2004, 313 pp. 

  11. Kim, H. S., Ahn, H. S., and Ahn, J. G., "Erosion Criteria for the Blast Analysis of Reinforcement Concrete Members,"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30, No. 3, 2014, pp. 21-28. 

  12. Luccionia, B. and Araozb, G., "Erosion Criteria for Frictional Materials under Blast Load," Mecanica Computacional, Vol. 30, 2011, pp. 1809-1831. 

  13. Ansys, AUTODYN Theory Manual, Century Dynamics, 2005, pp. 204-206. 

  14. Carriere, M., Heffoernan, P. J., Wight, R. G., and Braimah, A., "Behaviour of Steel Reinforced Polymer Strengthened RC Members under Blast Load," Canadian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Vol. 36, No. 8, 2009, pp. 1356-1365. 

  15. Luccionia, B. and Luegeb, M., "Concrete Pavement Slab under Blast Loads," International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32, No. 8, 2006, pp. 734-743. 

  16. Grote, D., Park, S., and Zhou, M., "Dynamic Behaviour of Concrete at High Strain Rates," Journal of Impact Engineering, Vol. 25, No. 9, 2001, pp. 869-886. 

  17. Magnusson, J. and Hansson, H., "Numerical Simulations of Concrete Beams-A Principal Study," National Defence Research Establishment, Sweden, 2005, 63 pp. 

  18. Yu, J. and Tan, K. H.,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n Progressive Collapse Resist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 Column Sub-Assemblages," Engineering Structures, Vol. 55, 2013, pp. 90-106. 

  19. ASCE, The Oklahoma City Bombing, 1996 pp. 1-26. 

  20. Quan, X. and Birnbaum, N. K., "Computer Simulation of Impact and Collapse of New York World Trade Center North Tower on September 11," 20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Ballistics, 2002, pp. 22-2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