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기장을 이용한 미생물 부착과 생물막 제어
Control of Bacterial Adhesion and Biofilm Using Electric Field 원문보기

대한환경공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v.33 no.9, 2011년, pp.692 - 700  

심수진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김춘수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  윤제용 (서울대학교 화학생물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은 기존의 소독제 및 항균제를 이용한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제어기술로써 연구되어 왔다. 본 기술은 화학적 소독제나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전달을 토대로 생물막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이로운 면이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정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방법은 기작에 따라 (1) 음전류에서의 정전기적 반발작용을 통한 미생물 부착 제어, (2) 양전류 상에서의 미생물 거동을 이용한 미생물 부착 제어, (3) 직접산화반응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화, (4) 바이오일렉트릭 효과에 의한 생물막 불활성화 효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주요 선행연구를 통해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적용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electric field has been studied as an alternative for biofilm control dominated by disinfectants and antibiotics. This technology would be advantageous in the environmental respect that biofilm can be controlled based on electron transfer, not using chemical disinfectants and antibiotic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총설에서는 주요 연구그룹들에 의해 보고된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들을 소개하고, 제어기작 및 효과 그리고 실제 생물막 형성 환경에서의 적용 가능성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 전도성 입자를 고압으로 표면에 코팅시키는 방법은 전도성 도료의 전도도 및 내구도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되었다. 이 방법으로 제작한 전극은 수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낮은 저항값과 전기화학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공정이 저온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판의 손상이 적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까지 연구된 정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방법은 기작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본 기술은 화학적 소독제나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전달을 토대로 생물막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이로운 면이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정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방법은 기작에 따라 (1) 음전류에서의 정전기적 반발작용을 통한 미생물 부착 제어, (2) 양전류 상에서의 미생물 거동을 이용한 미생물 부착 제어, (3) 직접산화반응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화, (4) 바이오일렉트릭 효과에 의한 생물막 불활성화 효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주요 선행연구를 통해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적용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생물막 제어기술로 소독제 및 항균물질을 적용하는 방법은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현재까지 제안된 생물막 제어 기술로는 염소나 은 화합물 같은 소독제 및 항균물질을 적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1,4) 하지만 생물막을 구성하는 세포외 고분자 물질이 소독제 및 항균제의 물질전달을 저해시켜 이들의 사용량을 증가시키고, 잔류 소독제 및 항균제가 소독 부산물 생성 및 항균물질의 독성 영향 같은 부차적인 문제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5,10,11)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적이면서 제어 효과가 뛰어난 새로운 생물막 제어 기술이 요구된다.
생물막 제어 기술로 전기장을 이용하는 방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에는 새로운 생물막 제어 기술로써 전기장을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기존 방법처럼 소독제를 주입하지 않아도 전자 전달을 매개로 생물막 형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친환경적이고, 시스템을 구축한 후에는 지속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자동화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방법은 제어기작에 따라 (1) 정전기적 반발작용(electrostatic repulsive interaction)을 통한 미생물 부착 제어 (2) 미생물의 운동성을 이용한 제어 방법 (3) 직접산화반응(direct oxidation)을 통한 미생물 불활성화, (4) 바이오일렉트릭 효과(bioelectric effect)를 이용한 생물막 불활성화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김재은, 김지연, 윤제용, "은 화합물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대한환경공학회지, 28(1), 81-87(2006). 

  2. 김창범, 노종복, 이현경, 최상호, 이동훈, 박순정, 이규호, "세균 생물막 형성의 단계별 특징," 한국미생물, 생명공학회지, 33(1), 1-8(2005). 

  3. 문성민, 윤제용, "배 급수 관망에서 생물막 제어," J. Kor. Soc. Water Qual., 23(1), 1-11(2007). 

  4. 박세근, 최성찬, 김영관, "모형 수도관에서 염소와 모노클 로라민에 의한 생물막 제거 특성 비교," 대한환경공학회지, 28(1), 26-33(2006). 

  5. 유승호, 조일형, 장순웅, 이시진, 천석영, 김한래, "전자빔 공정에서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살균제 Benomyl의 제거특성 및 독성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30(9), 955-960(2008). 

  6. Bohmer, M., "In situ observation of 2-dimensional clustering during electrophoretic deposition," Langmuir, 12(24), 5747 5750(1996). 

  7. Bryers, J. D., "Medical biofilms," Biotechnol. Bioeng., 100(1), 1-18(2008). 

  8. Busalmen, J. and De Sanchez, S., "Adhesion of Pseudomonas fluorescens (ATCC 17552) to nonpolarized and polarized thin films of gold," Appl. Environ. Microbiol., 67(7), 3188-3194(2001). 

  9. Costerton, J. W., Ellis, B., Lam, K., Johnson, F. and Khoury, A. E., "Mechanism of electrical enhancement of efficacy of antibiotics in killing biofilm bacteria," Antimicrob. Agents Chemother, 38(12), 2803-2809(1994). 

  10. Costerton, J. W., Lewandowski, Z., Caldwell, D. E., Korber, D. R. and Lappin-Scott H. M., "Microbial biofilms," Annu. Rev. Microbiol., 49(1), 711-745(1995). 

  11. De Beer, D., Srinivasan R. and Stewart, P. S., "Direct measurement of chlorine penetration into biofilms during disinfection," Appl. Environ. Microbiol., 60(12), 4339-4344(1994). 

  12. Del Pozo, J. and Patel, R., "The challenge of treating biofilmssociated bacterial infections," Clin. Pharmacol. Ther., 82(2), 204-209(2007). 

  13. Del Pozo, J. L., Rouse, M. S., Mandrekar, J. N., Sampedro, M. F., Steckelberg, J. M. and Patel, R., "Effect of electrical current on the activities of antimicrobial agents against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 and Staphylococcus epidermidis biofilms,"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3(1), 35-40(2009). 

  14. Flemming, H. C., "Biofouling in water systems-cases, causes and countermeasures," Appl. Microbiol. Biotechnol., 59(6), 629-640(2002). 

  15. Hermansson, M., "The DLVO theory in microbial adhesion," Colloid. Surface. B: Biointerfaces, 14(1-4), 105-119(1999). 

  16. Hong, S. H., Jeong, J., Shim, S., Kang, H., Kwon, S., Ahn, K. H. and Yoon, J., "Effect of electric currents on bacterial detachment and inactivation," Biotechnol. Bioeng., 100(2), 379-386(2008). 

  17. Jass, J., Costerton, J. and Lappin-Scott, H., "The effect of electrical currents and tobramycin on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J. Ind. Microbiol. Biotechnol., 15(3), 234-242 (1995). 

  18. Kang, H., Shim, S., Lee, S. J., Yoon, J. and Ahn, K. H., "Bacterial Translational Motion on the Electrode Surface under Anodic Electric Field," Environ. Sci. Technol., 45(13), 5769-5774(2011). 

  19. Lim, T. K., Murakami T., Tsuboi, M., Yamashita, K. and Matsunaga, T., "Preparation of a colored conductive paint electrode for electrochemical inactivation of bacteria," Biotechnol. Bioeng., 81(3), 299-304(2003). 

  20. Matijevi, E., "Surface and colloid science," Springer (2001). 

  21. Matsunaga, T., Nakayama, T., Wake H., Takahashi, M., Okochi, M. and Nakamura, N., "Prevention of marine biofouling using a conductive paint electrode," Biotechnol. Bioeng., 59(3), 374-378(1998). 

  22. Matsunaga, T., Namba, Y. and Nakajima, T., "Electrochemical sterilization of microbial cells," Bioelectrochem. Bioenerg., 13 (4), 393-400(1984). 

  23. Mohan, N., Undeland, T. M. and Robbins, W. P., "Power electronics," Wiley Interscience (1995). 

  24. Mohn, D., Zehnder, M., Stark, W. J. and Imfeld T.,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of Dental Implants-a Proof of Concept," PloS one, 6(1), e16157(2011). 

  25. Nakasono, S., Burgess, J. G., Takahashi, K., Koike, M., Murayama, C., Nakamura, S. and Matsunaga, T., "Electrochemical Prevention of Marine Biofouling with a Carbon-Chloroprene Sheet," Appl. Environ. Microbiol., 59(11), 3757-3762(1993). 

  26. Nakayama, T., Wake, H., Ozawa, K., Kodama, H., Nakamura, N. and Matsunaga, T., "Use of a titanium nitride for electrochemical inactivation of marine bacteria," Environ. Sci. Technol., 32(6), 798-801(1998a). 

  27. Nakayama, T., Wake, H., Ozawa, K., Nakamura, N. and Matsunaga, T., "Electrochemical prevention of marine biofouling on a novel titanium-nitride-coated plate formed by radiofrequency arc spraying," Appl. Microbiol. Biotechnol., 50(4), 502-508(1998b). 

  28. Perez-Roa, R. E., Anderson, M. A., Rittschof, D., Orihuela, B., Wendt, D., Kowalke, G. L. and Noguera, D. R., "Inhibition of barnacle (Amphibalanus amphitrite) cyprid settlement by means of localized, pulsed electric fields," Biofouling, 24(3), 177-184(2008) 

  29. Perez-Roa, R. E., Tompkins, D. T., Paulose, M., Grimes, C. A., Anderson, M. A. and Noguera, D. R., "Effects of localised, low-voltage pulsed electric fields on the development and inhibi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biofilms," Biofouling, 22(6), 383-390(2006). 

  30. Poortinga, A. T., Bos, R. and Busscher, H. J., "Controlled electrophoretic deposition of bacteria to surfaces for the design of biofilms," Biotechnol. Bioeng., 67(1), 117-120(2000). 

  31. Poortinga, A. T., Bos, R., Norde, W. and Busscher, H. J., "Electric double layer interactions in bacterial adhesion to surfaces," Surf. Sci. Rep., 47(1), 1-32(2002). 

  32. Poortinga, A. T., Smit, J., van der Mei, H. C. and Busscher, H. J., "Electric field induced desorption of bacteria from a conditioning film covered substratum," Biotechnol. Bioeng., 76(4), 395-399(2001). 

  33. Shim, S., Hong, S. H., Tak, Y. and Yoon, J., "Prevention of Pseudomonas aeruginosa adhesion by electric currents," Biofouling, 27(2), 217-224(2011). 

  34. Shirtliff, M. E., Bargmeyer, A. and Camper, A. K., "Assessment of the ability of the bioelectric effect to eliminate mixedspecies biofilms," Appl. Environ. Microbiol., 71(10), 6379-6382. 

  35. Trau, M., Saville, D. and Aksay, I., "Assembly of colloidal crystals at electrode interfaces," Langmuir, 13(24), 6375-6381(1997). 

  36. van der Borden, A., van der Mei, H. and Busscher, H., "Electric block current induced detachment from surgical stainless steel and decreased viability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Biomaterials, 26(33), 6731-6735(2005). 

  37. van der Borden, A. J., Maathuis, P. G. M., Engels, E., Rakhorst, G., van der Mei, H. C., Busscher, H. J. and Sharma, P. K., "Prevention of pin tract infection in external stainless steel fixator frames using electric current in a goat model," Biomaterials, 28(12), 2122-2126(2007). 

  38. van der Borden A. J., van der Mei H. C. and Busscher H. J., "Electric-current-induced detachment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strains from surgical stainless steel," J. Biomed. Mater. Res. Bio., 68B(2), 160-164(2004a). 

  39. van der Borden, A. J., van der Werf, H., van der Mei, H. C. and Busscher, H. J., "Electric current-induced detachment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biofilms from surgical stainless steel," Appl. Environ. Microbiol., 70(11), 6871-6874(2004b). 

  40. Wake, H., Takahashi, H., Takimoto, T., Takayanagi, H., Ozawa, K., Kadoi, H., Okochi, M. and Matsunaga, T., "Development of an electrochemical antifouling system for seawater cooling pipelines of power plants using titanium," Biotechnol. Bioeng., 95(3), 468-473(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