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라즈마 내부 전기장 가시화
Visualization of Internal Electric Field on Plasma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9 no.1, 2016년, pp.80 - 85  

신한솔 (Dep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ndong University) ,  유태준 (Dept. of Advanced Green Energy & Environment, Handong Global University) ,  이건 (Computer Science & Electrical Engineering, Handong Glob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costs high in both memory usage and time consuming to sample the space to compute charge density and calculate electric field on that with large size of plasma data. In real-time and interactive application, accelerating the compute time is critical problem. In this paper, we suggest new metho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또한 고차원 3차원 볼륨 데이터와 벡터장은 가시화 없이는 그 데이터의 의미를 얻기가 불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플라즈마의 양이온과 전자의 밀도를 나타내는 데이터로부터 플라즈마 내부에 생성되는 전기장을 효율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논의하고 그 결과를 가시화 하는 방법을 다룬다.
  • 본 연구에서는 대용량 플라즈마 전하 밀도 데이터를 입력 값으로 하여 원하는 해상도의 전기장 데이터를 GPGPU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계산하고 그 결과를 가시화 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J.A. Bittencourt, Introduction, Fundamentals of Plasma Physics, Springer, New York, N.Y., 2014. 

  2. K. Pavel and S. David, Algorithms for Efficient Computation of Convolution, Design and Architectures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InTech, Rijeka, Croatia, 2013. 

  3. O. Rubel, C.G.R. Geddes, M. Chen, E.C. Michel, and E.W. Bethel, “Feature-based Analysis of Plasma-based Particle Acceleration Data,“ IEEE Transaction on Visualization and Computer Graphics, Vol. 20, No. 2, pp. 196-210. 2014. 

  4. M. Ikits, J. Kniss, A. Lefohn, and C. Hansen, Volume Rendering Techniques, GPU Gems, Addison-Wesley, Boston, MA, 2004. 

  5. NVIDIA CUDA Zone, https://developer.nvidia.com/cuda-zone (accessed April 2015). 

  6. NVIDIA CUDA Toolkit Documentation v7.0, http://docs.nvidia.com/cuda/index.html (accessed April 2015). 

  7. W.E. Lorensen and H.E. Cline, “Marching Cubes: A High Resolution 3D Surface Construction Algorithm,” Computer Graphics on, Vol. 21, No. 4, pp. 163-169, 1987. 

  8. H. Shin, T. Yu, and K. Lee, “Visualization of Scattered Plasma-based Particle Acceleration Data”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8, No. 1, pp. 65-70,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