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 조선백자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 Chos$\\breve{o}$n Whitewar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1, 2011년, pp.61 - 74  

고경신 (중앙대학교 화학과) ,  주웅길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  안상두 (중앙대학교 화학과) ,  이영은 (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과) ,  김규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연숙 (중앙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조선백자에 사용된 재료들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광주관요, 충효동과 다른 4곳의 지방가마에서 출토된 도편들의 태토와 유약의 성분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조선초기의 백자기술은 고려의 청자기술을 기본적으로 계승하면서, 중국 명대의 백자기술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광주관요에서 사용한 태토원료는 청자에 사용되었던 도석과 같은데, 다만 철산화물과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칼륨산화물의 함량이 높다. 한국과 중국 남부에 풍부하게 존재하는 이러한 원료로 중국의 경질백자와 같은 좋은 질의 백자를 개발할 수 있었다. 반면, 충효동에서는 중국 북부의 요지들에서 사용되었던 고령토를 발견하고 사용함으로써 질이 좋은 경질백자를 개발하였다. 유약에 사용된 용융재는 대체로 석회석이며, 처음에는 태워서 사용하였으나, 점점 빻아서 사용되는 경향이 증가하였다. 유약을 만들 때 용융재와 혼합하는 점토는 글래이즈 스톤이라고 불리는 기본적으로 도석과 같은 광물이다. 태토를 만들 때 사용하는 도석보다, 일반적으로 입자가 더 곱고, 장석함량이 더 높다. 이 논문의 조선백자에 대한 과학기술적인 연구와 비교는 최근에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18~19세기의 가마터에도 넓혀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hos$\breve{o}$n whiteware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and comparing the body and glaze compositions of whiteware shards excavated at the Kwangju royal kilns, Ch'unghyodong, and four other local-level kilns. In Korea, the rise of whiteware technology be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is paper presents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Chosŏn whiteware from the Kwangju (13 groups of shards) and Ch’unghyodong (4 groups) kiln complexes, as well as other local-level kilns (4 group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C. S. Lee, J. Y. Kim, S. B. Park, "Koryo White Porcelain Kiln Site: Archaeological Excavation Report of Koryo White Porcelain Kiln Site at So-ri of Yong-in gun, Kyoung- kido, Korea (I)". Ho-am Art Museum, (1987). 

  2. K. Choi, J. M. Lee, K. H. Chang, "Kiln Site of Bangsan-dong; Report on Archaeological Excavation of Celadon & Koryo White Porcelain Kiln Site at Bangsan-dong, Siheung-si, Kyonggi-do". Haegang Ceramics Museum and Siheung-si, (2001). 

  3. Yonginsi.Yongin Cultural Center,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Research Reports on the Composition of Koryo White Porcelain Kiln Site in Yongin Sori". Yonginsi.Yongin Cultural Center, Yeojoo Institute of Technology, (2004). 

  4. K. C. Koh Choo, W. K. Choo, S. D. Ahn, Y. E. Lee, G. H. Kim, Y. S. Lee, "A study of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 celadon and Koryo whitewar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p213-228, (2010). 

  5. Y. M. Chong, Y. I. Yun, D. P. Kim, "Kiln Sites of Korean Whiteware".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1986). 

  6.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Research Report on the Excavation of White Porcelain Kiln Sites of Choson Dynasty Bonch' n-ni Kiln Site 5 and Sondong-ni Kiln Sites 2 and 3 in Kwangju-gun, Kyonggi-do".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1986). 

  7.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Catalogue 21; Special Exhibition of Excavation Memoir about Choson's White Porcelain Kiln Sites -Report of Excavation of Research at Usan-ri No. 9 White Porcelain Kiln Site".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1993). 

  8. Y. M. Chong, I. H. Ku, "Excavation Report on Whiteware Kiln Site of Kwangju Tomari; Tomari Kiln 1". National Museum of Korea, (1995). 

  9. Haegang Ceramics Museum, "White Porcelain Kiln Site of Gunup-ri at Kwangju in Choson Period". Haegang Ceramics Museum, (2000). 

  10. National Museum of Korea, Kyonggi Provincial Museum, "Central Government Kiln in Kwangju, Kyonggi-do Province Investigation Report on the Surface of the Kiln Sites". National Museum of Korea, Kyonggi Provincial Museum, (2000). 

  11. Joseon Royal Kiln Museum, "Bunwon Kiln Sites in Gwangju". Joseon Royal Kiln Museum, (2004). 

  12. Gyeonggi Provincial Museum, "Analytical Report of the Royal Kiln Complex at Gwangju in Gyeonggi Province". Gyeonggi Provincial Museum, (2008). 

  13. Gwangju National Museum, City Office of Gwangju, "Kiln Site of Ch'unghyodong at Mt. Mudeung". Gwangju National Museum, (1993). 

  14. K. C. Koh Choo, Y. E. Lee, I. W. Shim, W. K. Choo, G. H. Kim, W. Y. Huh, S. C. Chun,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Koryo celadon and whiteware excavated from Sori kiln in Kyonggi Province". Archaeometry, 46, p247-265, (2004). 

  15. K. Koh Choo, K. H. Kim, Y. E. Lee, J. S. Kim, "A scientific study of Choson white ware: early porcelain from a royal kiln at Kwangju Usanni". Archaeometry, 44, p199-212, (2002). 

  16. G. Li, X. Zhang, "The development of Chinese white porcelain" in "Ceramics and Civilization, Vol. II, Technology and Style". W. D. Kingery, Ed.,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Inc., p217-236, (1986). 

  17. N. Wood, "Technological parallels between Chinese Yue wares and Korean celadons" in "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Vol. 5, Korean Material Culture". G. L. Barnes, B. McKillop, Eds.,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p39-63, (1994). 

  18. Y. Guo, G. Li, "Song dynasty Ru and Yaozhou green glazed ware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sights on Ancient Chinese Pottery and Porcelain". Shanghai Institute of Ceramics, Academia Sinica Ed., Science Press, p153-160. (1986). 

  19. G. Li, Y. Guo, "An investigation of Ding white porcelain of successive dynastie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sights on Ancient Chinese Pottery and Porcelain". Shanghai Institute of Ceramics, Academia Sinica Ed., Science Press, p134-140, (1986a). 

  20. J. Li, "A History of Chinese Science and Technology, Volume on Ceramics". Science Press, Chapter 10, p313-363, 1998. 

  21. G. Li, Y. Guo, "A study of Dehua white porcelains in successive dynastie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sights on Ancient Chinese Pottery and Porcelain". Shanghai Institute of Ceramics, Academia Sinica Ed., Science Press, p141- 147, (1986b). 

  22. F. Zhang, "The development of ancient Chinese glazes and decorative ceramic colors" i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Insights on Ancient Chinese Pottery and Porcelain". Shanghai Institute of Ceramics, Academia Sinica Ed., Science Press, p46-54, (1986). 

  23. N. Wood, "Iron in the Fire". Ceramic Review, 111, p36-38. (1988). 

  24. N. Wood, "Chinese Glazes". A&C Black,London an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49-51, (1999). 

  25. N. Wood, "Chinese Glazes". A&C Black,London an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56-58. (1999). 

  26. "Jungjong Sillok (Annals of King Jungjong)". Vol. 67, 5th day, 2nd month, 25thyear of the Jungjong, (1530). 

  27. "Seungjeongwon Ilgi (Diaries of Royal Secretariat)", Vol.292, 9th day, 8th month, 8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1682). 

  28. "Seungjeongwon Ilgi (Diaries of Royal Secretariat)", Vol.480, 4th day, 8th month, 39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ukjong, (17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