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 도자기의 화학 조성에 대한 연구 (III): 분청에 대한 고려자기와 조선백자와의 비교
A Study of the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I): Comparison of Punch'$\\breve{o}$ng with Kory$\\breve{o}$ Ware and Chos$\\breve{o}$n Whitewar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1, 2011년, pp.75 - 90  

고경신 (중앙대학교 화학과) ,  주웅길 (한국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과) ,  안상두 (중앙대학교 화학과) ,  이영은 (경기도박물관 유물관리과) ,  김규호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이연숙 (중앙대학교 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분청사기는 조선초기에 고려상감청자의 무늬가 간소화 된 상태로 시작되었다. 그 후 200여 년 동안에 다양하고 활달한 문양의 민속공예로 발달하였고, 점점 백자를 닮아가는 방향으로 변해가다가, 임진왜란이후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분청의 태토와 유약에 대한 화학조성을 분석하고, 여러 도요지들의 결과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또한 다른 논문들에서 중국의 경우와 비교 관찰된 고려청자와 조선백자들에 대한 결과들과 비교 하였다. 생산도요지와 고고학적인 특성에 의하여 28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각 각의 그룹에서 셋에서 다섯편의 도편을 분석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비교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청태토는 한국청자와 백자와 같이 중국 남쪽의 월주요, 경덕진요에서 사용된 운모-석영계의 도석으로 만들어졌다. 유약은 점토질의 원료에 나무재, 태운 석회석과 곱게 빻은 석회가루를 다양한 비율로 혼합되었다. 분청유약의 특성은 조선백자보다는 고려청자와 고려백자에 더 가깝다. 다만 티타늄산화물의 함량은 조선백자와 같이 낮은데, 그 이유는 글래이즈 스톤으로 알려진 도석계의 점토가 분청유약을 제조 하는데 혼합 되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의 체계적인 비교방법과 물질적 특성에 대한 내용들은 현재 빠른 속도로 발굴되고 있는 도요지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 the beginning of the Chos$\breve{o}$n dynasty, punch'$\breve{o}$ng began as a simplified form of inlaid celadon, and in the two following centuries it developed into a popular folk craft in various styles and expressive decorations; overtime, it was increasingly made to r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Both the body and glaze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an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Jeol Superprobe JXA-8600SX) equipped with SEM and EDS (Oxford PentafetATW Detector).
  • The analytic conditions were set to 40 kV and 30 mA. For analysis of the glaze composition, shards were embedded in epoxy resin, polished, and subjected to cross-sectional measurements. Both the body and glaze compositions were analyzed using an Electron Probe Microanalyzer (Jeol Superprobe JXA-8600SX) equipped with SEM and EDS (Oxford PentafetATW Detector).

대상 데이터

  • High-lime and lime glazes were used for Koryŏ and punch’ŏng wares.
  • centuries represents an unusual point in the history of Korean ceramics. The bodies of these wares were made with a kaolinitic clay material similar to that used in Chinese kilns north of the Nan Shan Qinling dividing line (e.g., Dingyao and Yaozhou). This material, which was high in aluminum (around 30 w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G. St. G. M. Gompertz, "Korean Celadon". Thomas Yoseloff, p2-4. (1964). 

  2. K. C. Koh Choo, W. K. Choo, S. D. Ahn, Y. E. Lee, G. H. Kim, Y. S. Lee, "A study of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 celadon and Koryo whitewar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 p213-228, (2009). 

  3. K. C. Koh Choo, W. K. Choo, S. D. Ahn, Y. E. Lee, G. H. Kim, Y. S. Lee, "A study of chemical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II): Choson whiteware". To be submitted for publication, (2010). 

  4. Y. E. Lee,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f Choson punch'ng". doctoral thesis, Chung-Ang University, (1998). 

  5. Y. E. Lee, C. K. Koh Choo, "A compositional and microstructural study on punch'ong from Hakbongni, Ko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4, p3-14, (1997). 

  6. Y. E. Lee, C. K. Koh Choo, "Scientific study of punch'ong and whiteware from Ch'unghyodong, Kwangju (I). Analysis of chemical composition".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2(3), p251-265, (1998). 

  7. Y. E. Lee, C. K. Koh Choo, "A microstructural study on firing process of Korean traditional ceramics- punch'ong from Ch'unghyodong, Kwangju".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46(2), p125-138, (2002). 

  8. Haegang Ceramics Museum, Daejeon Metropolitan City, "Kiln Site of Guwan-dong at Daejeon". Haegang Ceramics Museum, Daejeon Metropolitan City, (2001). 

  9.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Research Reports on the Excavation of Kiln Sites in the Area Submerged by the Poryong Dam". Ewha Womans University Museu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996). 

  10. Gwangju National Museum, City Office of Gwangju, "Kiln Site of Ch'unghyodong at Mt. Mudeung". Gwangju National Museum, (1993). 

  11. K. S. Kang, " Study of Korean Ceramics Kiln Sites". Sigongart, p311-315, (2005). 

  12. N. Wood, "Korean material culture" in "Papers of the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Vol. 5". G. L. Barnes, B. McKillop, Eds., British Association for Korean Studies, p 39-63, (1994). 

  13. R. Kerr, N. Wood, "Chemistry and Chemical Technology, Part XII" in "Science and Civilization in China, Vol. 5". Ceramic Technology Ed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719, (2004). 

  14. N. Wood, "Iron in the Fire". Ceramic Review, 111, p36-38, (1988). 

  15. N. Wood, "Chinese Glazes". A&C Black, London an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49-51, (1999). 

  16. N. Wood, "Chinese Glazes". A&C Black, London and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p56-58,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