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한 실규모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 분석
Analysis of Archaeal Communities in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Using 454 Pyrosequencing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7 no.3, 2011년, pp.209 - 217  

강현진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김택승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이영행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연구센터) ,  이택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물연구센터) ,  한금석 (서울특별시 상수도연구원) ,  최영준 (서울특별시 상수도연구원) ,  박희등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통해 혐기성 소화조에 존재하는 다양한 아케아를 규명할 수 있었으며, 지금까지 그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은 Methanococc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가 소화조에 공통적으로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규모 6개 혐기성 소화조를 대상으로 11개 소화 슬러지 시료를 채취해,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아케아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아케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측정된 observed operational taxanomic units (OTUs)는 13-55 OTUs이었으며(3% cutoff), 이는 Chao1 richness estimate로 계산된 값의 29-89%에 해당하였다. 소화조에는 메탄생성에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고 알려진 Methanomicrobiales, Methanobacteriales, Methanococcales, Methanosarcinales, Methanocell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 뿐만 아니라, Thermoproteales, Thermoplasmatales, Desulfurococcales목에 속하는 아케아도 함께 발견되었다. 이 중 수소를 기질로 해서 메탄을 생성한다고 알려진 Methanoacoccales가 전체 염기서열의 51.8-99.7%를 차지해 가장 많이 발견된 분류군으로 나타났다. Heat map 분석결과 각 시료들의 아케아 군집구조는 1개 시료를 제외한 나머지 10개 시료가 매우 비슷한 군집구조를 가지고 있었다(Pearson 상관지수=0.99). 또한, 아케아 군집구조와 환경변수들의 상관성을 분석한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를 통해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환경변수는 소화조의 온도와 총고형물 제거율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소화조의 운전조건은 아케아의 다양성과 군집구조를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인자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rchaeal communities were investigated using 454 pyrosequencing technology based on 16S rRNA gene in 11 samples collected from six different full-scale anaerobic digesters. Observed operational taxonomic units (OTUs) estimated from the archaeal 16S rRNA gene sequences were 13-55 OTUs (3% cutoff) w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11개 시료로부터 얻은 염기서열을 RDP Classifier를 이용해 여러 분류단계로 계통분류를 실시하였다. 각 시료의 분류군(taxa)의 개수는 문(phylum) 2개, 강(class) 3-5개, 목(order) 1-6개, 과(family) 1-6개, 속(genus) 1-5개로 전체적으로 모든 시료에서 많은 수의 분류군이 발견되지는 않았다.
  • PCR 반응은 10 μM 프라이머, 10 mM dNTP mix, 1.25 unit DNA 중합효소, PCR 버퍼를 혼합한 용액을 94℃ (3분); 30주기의 94℃ (15초), 60℃ (45초), 72℃ (1분); 72℃ (8분)의 온도조건에서 수행하였다.
  • Pyrosequencing을 통해 얻어진 염기서열 데이터는 Macrogen에서 독자적으로 개발한 Perl script를 이용해 Adaptor의 key를 인식해 각 시료 별로 염기서열을 분류하였다. 이 후 동일한 Perl script를 이용하여 낮은 질의 염기서열(
  • 25 unit DNA 중합효소, PCR 버퍼를 혼합한 용액을 94℃ (3분); 30주기의 94℃ (15초), 60℃ (45초), 72℃ (1분); 72℃ (8분)의 온도조건에서 수행하였다.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Korea)를 이용해 PCR 산물을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PCR 산물을 이용하여 단일 가닥 DNA library 제작과 emulsion PCR을 진행한 후 pyrosequencing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에 열거한 pyrosequencing에 요구되는 모든 반응은 염기서열 분석기 제조사인 454 Life Sicence (Branford, USA)의 방법에 따라 Macrogen 사(Korea)에서 실시하였으며, GS FLX Titanium system (454 Life Science)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 또한 과 수준 이하에서는 분류되지 않는 염기서열의 비율이 너무 높게 나타나(>57.8%), heat map 분석에는 목 수준의 분류군을 이용하였다(목 수준에서 분류되지 않는 염기서열=6.2%).
  • 3). 소화조의 pH, 소화조 온도, 총고형물 부하(total solids loading), 총고형물 제거율(total solids removal rate), 소화조 형상(configuration: single-stage versus two-stage digestions)을 환경변수로 이용하였으며, 아케아 군집의 구조는 Fig. 2의 heat map 분석과 마찬가지로 목 수준에서 분류한 염기서열의 수를 이용하였다. 아케아 군집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P<0.
  • 시료는 2011년 1월과 2월에 두 차례에 걸쳐 소화조 유출수 펌프에서 무균적으로 채취하였으며, 채취 즉시 아이스박스에 보관하여 실험실로 옮겨 DNA 추출 전까지 시료의 변성을 최소화 하기 위해 1,500 rpm (250 ×g)으로 5분간 원심분리 후 pellet 형태로 -80℃ 초저온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 실규모 6개 혐기성 소화조를 대상으로 11개 소화 슬러지 시료를 채취해, 16S rRNA 유전자 기반의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아케아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아케아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로부터 측정된 observed operational taxanomic units (OTUs)는 13-55 OTUs이었으며(3% cutoff), 이는 Chao1 richness estimate로 계산된 값의 29-89%에 해당하였다.
  • 아케아의 16S rRNA 유전자의 PCR 증폭을 위해 아케아 universal primer인 21F (5′-TCCGGTTGATCCYGCCGG-3′) (6)와 516R (5′-GGTDTTACCGCGGCKGCTG-3′) (25)을 이용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량 염기서열 분석법인 454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i) 도시하수 슬러지를 처리하는 혐기성 소화조의 아케아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ii) 혐기성 소화조의 운영특성과 아케아 군집구조의 연관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4곳의 물재생센터로부터 11개 혐기성 소화 슬러지를 채취하였으며, 아케아 16S rRNA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프라이머를 이용해 PCR을 수행하였고, PCR 산물에 대해 454 pyrosequencing을 실시하여 혐기성 소화에 관여하는 아케아 군집구조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 냉동고에 보관한 시료는 상온에서 해동한 뒤 2 ml tube에 옮겨 10,000×g 로 1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이후, 제조사의 프로토콜에 따라 Soil Extraction kit (MoBio Laboratories, USA)를 이용하여 침전된 시료로부터 genomic DNA를 추출하였다. 아케아의 16S rRNA 유전자의 PCR 증폭을 위해 아케아 universal primer인 21F (5′-TCCGGTTGATCCYGCCGG-3′) (6)와 516R (5′-GGTDTTACCGCGGCKGCTG-3′) (25)을 이용하였다.
  • 한편 pyrosequencing으로부터 얻은 염기서열의 수가 아케아 군집의 다양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시료가 더 다양한 아케아 군집을 가지고 있는지 서로 비교하기 위하여 rarefaction curve 분석을 실시하였다(Fig. 1). 분석 결과 각 시료에 대한 곡선이 모두 plateau에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혐기성 소화조 아케아 군집의 다양성을 충분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염기서열의 확보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 데이터

  • 특히, forward primer인 21F는 1992년 DeLong (6)이 개발하여 많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시료에서 아케아 군집구조를 규명하는데 사용하였지만(4, 18, 36), Methanosarcinales 목에 속하는 아케아가 적은 숫자로 발견되었다는 사실은 이 근거를 뒷받침하고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21F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Methanosarcinales 목에 속하는 대표적인 20개 아케아의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을 비교하였다(Table 4). 분석 결과 0-3개의 염기서열이 프라이머 염기서열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혐기성 소화에 관여하는 아케아 군집구조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소재 서남물재생센터, 난지물재생센터, 중랑물재생센터, 탄천물재생센터에서 운영중인 6 개실규모 혐기성 소화시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서남물재생센터에서 운영중인 혐기성 소화조는 고온(50-55℃) 조건으로 운영되고 있었으며, 최초침전지에서 발생하는 생슬러지와 활성슬러지공법에서 발생하는 잉여슬러지를 1:9 비율로 혼합하여 소화조의 유입수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8%로 분류 단계가 낮아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각 시료의 아케아 군집구조 비교분석은 two-way heat map analysis를 통해서 수행되었다(Fig. 2). 또한 과 수준 이하에서는 분류되지 않는 염기서열의 비율이 너무 높게 나타나(>57.
  • 혐기성 소화조 아케아 군집구조와 환경변수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CCA ordination 분석을 실시하였다(Fig. 3). 소화조의 pH, 소화조 온도, 총고형물 부하(total solids loading), 총고형물 제거율(total solids removal rate), 소화조 형상(configuration: single-stage versus two-stage digestions)을 환경변수로 이용하였으며, 아케아 군집의 구조는 Fig.

이론/모형

  • QIAquick Gel Extraction kit (QIAGEN, Korea)를 이용해 PCR 산물을 정제하였으며, 정제된 PCR 산물을 이용하여 단일 가닥 DNA library 제작과 emulsion PCR을 진행한 후 pyrosequencing 반응을 진행하였다. 상기에 열거한 pyrosequencing에 요구되는 모든 반응은 염기서열 분석기 제조사인 454 Life Sicence (Branford, USA)의 방법에 따라 Macrogen 사(Korea)에서 실시하였으며, GS FLX Titanium system (454 Life Science)를 이용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혐기성 소화공정이란 무엇인가? 혐기성 소화공정은 산소가 배제된 조건에서 하수슬러지, 축산폐수, 고농도 식품폐수 등의 유기성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호기성 처리방법과 비교하여 폐슬러지(wastage sludge)의 발생량이 적으며(처리된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약 5-15%가 발생함), 적은 양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고, 운영비가 작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23, 28).
혐기성 소화 공정의 단점은 무엇인가? 8 kJ의 발열량을 가지고 있어, 스팀 및 온수생산, 발전, 자동차 연료 등 다양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기도 한다(23, 28). 하지만, 혐기성 소화는 반응속도가 느리며, 운전이 까다롭고, 소화과정 중 불쾌한 냄새가 발생하며, 낮은 농도의 유기 오염물질 처리에 적합하지 않다는 단점들도 가지고 있다(23, 28).
혐기성 소화공정은 호기성 처리 방법과 비교했을 때 어떤 장점을 가지는가? 혐기성 소화공정은 산소가 배제된 조건에서 하수슬러지, 축산폐수, 고농도 식품폐수 등의 유기성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하는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이 방법은 호기성 처리방법과 비교하여 폐슬러지(wastage sludge)의 발생량이 적으며(처리된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약 5-15%가 발생함), 적은 양의 영양소를 필요로 하고, 운영비가 작게 소요되는 장점이 있다(23, 28). 특히, 소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는 표준 조건에서 1 L 당 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ngenent, L.T., S.W. Sung, and L. Raskin. 2002. Methanogenic population dynamics during startup of a full-scale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treating swine waste. Water Res. 36, 4648-4654. 

  2. Cole, J.R., B. Chai, R.J. Farris, Q. Wang, S.A. Kulam, D.M. McGarrell, G.M. Garrity, and J.M. Tiedje. 2005. The ribosomal database project (RDP-II): sequences and tools for highthroughput rRNA analysis. Nucleic Acids Res. 33, D294-D296. 

  3. Collins, G., A. Woods, S. McHugh, M.W. Carton, and V. O'Flaherty. 2003.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methanogenic activity during start-up of psychrophilic anaerobic digesters treating synthetic industrial wastewaters. FEMS Microbiol. Ecol. 46, 159-170. 

  4. Cytryn, E., D. Minz, R.S. Oremland, and Y. Cohen. 2000.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archaea corresponding to the limnological cycle of a hypersaline stratified lake (Solar Lake, Sinai, Egypt). Appl. Environ. Microbiol. 66, 3269-3276. 

  5. Delbes, C., R. Moletta, and J.J. Godon. 2000. Monitoring of activity dynamics of an anaerobic digester bacterial community using 16S rRNA polymerase chain reaction-single-strand conformation polymorphism analysis. Environ. Microbiol. 2, 506-515. 

  6.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 5685-5689. 

  7. Demirel, B. and P. Scherer. 2008. The roles of acetotrophic and hydrohenotrophic methanogens during anaerobic conversion of biomass th methane: a review. Rev. Environ. Sci. Biotechnol. 7, 173-190. 

  8. Gilliam, F.S. and N.E. Saunders. 2003. Making more sense of the order: A review of Canoco for Windows 4.5, PC-ORD version 4 and SYN-TAX 2000. J. Veg. Sci. 14, 297-304. 

  9. Godon, J.J., E. Zumstein, P. Dabert, F. Habouzit, and R. Moletta. 1997. Molecular microbial diversity of an anaerobic digestor as determined by small-subunit rDNA sequence analysis. Appl. Environ. Microbiol. 63, 2802-2813. 

  10. Grandin, U. 2006. PC-ORD version 5: a user-friendly toolbox for ecologists. J. Veg. Sci. 17, 843-844. 

  11. Harmsen, H.J.M., H.M.P. Kengen, A.D.L. Akkermans, A.J.M. Stams, and W.M. deVos. 1996. Detection and localization of syntrophic propionate-oxidizing bacteria in granular sludge by in situ hybridization using 16S rRNA-based oligonucleotide probes. Appl. Environ. Microbiol. 62, 1656-1663. 

  12. Huber, H. and K.O. Stetter. 2006. Desulfurococcales, pp. 52-68. In M. Dworkns (ed.), Prokaryotes: an evoling electron resource for the microbiological community, Springer, New York, NY, USA. 

  13. Huber, H., M. Thomm, H. Konig, G. Thies, and K.O. Stetter. 1982. Methanococcus thermolithotrophilcus, a novel thermophilic lithotrophic methanogen. Arch. Microbiol. 132, 47-50. 

  14. Hwang, K., M. Song, W. Kim, N. Kim, and S. Hwang. 2010. Effects of prolonged starvation on methanogenic population dynamics in anaerobic digestion of swine wastewater. Bioresour. Technol. 101, S2-S6. 

  15. Ince, B.K., I. Usenti, A. Eyigor, N.A. Oz, M. Kolukirik, and O. Ince. 2006. Analysis of methanogenic archaeal and sulphate reducing bacterial populations in deep sediments of the Black Sea. Geomicrobiol. J. 23, 285-292. 

  16. Jones, W.J., J.A. Leigh, F. Mayer, C.R. Woese, and R.S. Wolfe. 1983. Methanococcus jannaschii sp. nov., an extremely thermophilic methanogen from a submarine hydrothermal vent Arch. Microbiol. 136, 254-261. 

  17. Kim, W., S. Lee, S.G. Shin, C. Lee, K. Hwang, and S. Hwang. 2010. Methanogenic community shift in anaerobic batch digesters treating swine wastewater. Water Res. 44, 4900-4907. 

  18. Kim, B.S., H.M. Oh, H. Kang, and J. Chun. 2005. Archaeal diversity in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J. Microbiol. 43, 144-151. 

  19. Klocke, M., E. Nettmann, I. Bergmann, K. Mundt, K. Souidi, J. Mumme, and B. Linke. 2008. Characterization of the methanogenic Archaea within two-phase biogas reactor systems operated with plant biomass. Syst. Appl. Microbiol. 31, 190-205. 

  20. Krober, M., T. Bekel, N.N. Diaz, A. Goesmann, S. Jaenicke, L. Krause, D. Miller, K.J. Runte, P. Viehover, A. Puhler, and et al. 2009.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a biogas plant microbial community integrating clone library 16S-rDNA sequences and metagenome sequence data obtained by 454-pyrosequencing. J. Biotechnol. 142, 38-49. 

  21. Liu, W.T., O.C. Chan, and H.H.P. Fang. 2002. Microbial community dynamics during start-up of acidogenic anaerobic reactors. Water Res. 36, 3203-3210. 

  22. Madigan, M.T. and J.M. Martinko. 2006.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11th ed. Upper Saddle, Prentice Hall, USA. 

  23. Metcalf and Eddy. 2003.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and reuse. 4th ed. McGraw-Hill, New York, NY, USA. 

  24. Metzker, M.L. 2010. Sequencing technologies-the next generation. Nat. Rev. Genetics 11, 31-46. 

  25. Qian, P.Y., Y. Wang, O.O. Lee, S.C.K. Lau, J.K. Yang, F.F. Lafi, A. Al-Suwailem, and T.Y.H. Wong. 2011. Vertical stratific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the Red sea revealed by 16S rDNA pyrosequencing. ISME J. 5, 507-518. 

  26. Quince, C., A. Lanzen, T.P. Curtis, R.J. Davenport, N. Hall, I.M. Head, L.F. Read, and W.T. Sloan. 2009. Accurate determination of microbial diversity from 454 pyrosequencing data. Nat. Meth. 6, 639-641. 

  27. Raskin, L., D.D. Zheng, M.E. Griffin, P.G. Stroot, and P. Misra. 1995.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communities in anaerobic bioreactors using molecular probes. Antonie van Leeuwenhoek 68, 297-308. 

  28. Rittmann, B.E. and P.E. McCarty. 2001. Environmental biotechn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McGraw-Hill Higher Education, New York, USA. 

  29. Schleper, C., G. Puehler, I. Holz, A. Gambacorta, D. Janekovic, U. Santarius, H.P. Klenk, and W. Zillig. 1995. Picrophilus gen. nov., fam. nov.: a novel aerobic, heterotrophic, thermoacidophilic genus and family comprising archaea capable of growth around pH 0. J. Bacteriol. 177, 7050-7059. 

  30. Schloss, P.D., S.L. Westcott, T. Ryabin, J.R. Hall, M. Hartmann, E.B. Hollister, R.A. Lesniewski, B.B. Oakley, D.H. Parks, C.J. Robinson, and et al. 2009. Introducing mothur: open-source, platform-independent, community-supported software for describing and comparing microbial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75, 7537-7541. 

  31. Schluter, A., T. Bekel, N.N. Diaz, M. Dondrup, R. Eichenlaub, K.H. Gartemann, I. Krahn, L. Krause, H. Kromeke, O. Kruse, and et al. 2008. The metagenome of a biogas-producing microbial community of a production-scale biogas plant fermenter analysed by the 454-pyrosequencing technology. J. Biotechnol. 136, 77-90. 

  32. Shin, S., G. Han, J. Lim, C. Lee, and S. Hwang. 2010. A comprehensive microbial insight into two-stage anaerobic digestion of food waste-recycling wastewater Water Res. 44, 4838-4849. 

  33. Shin, S.G., B.W. Zhou, S. Lee, W. Kim, and S. Hwang. 2011. Variations in methanogenic population structure under overloading of pre-acidified high-strength organic wastewaters. Process Biochem. 46, 1035-1038. 

  34. Tang, Y.Q., T. Matsui, S. Morimura, X.L. Wu, and K. Kida. 2008. Effect of temperature on microbial community of a glucosedegrading methanogenic consortium under hyperthermophilic chemostat cultivation. J. Biosci. Bioeng. 106, 180-187. 

  35. Ter Braak, C.J.F. 1988. CANOCO - an extension of decorana to analyze species-environment relationships. Vegetatio 75, 159-160. 

  36. Vissers, E.W., P.L.E. Bodelier, G. Muyzer, and H.J. Laanbroek. 2009. A nested PCR approach for improved recovery of archaeal 16S rRNA gene fragments from freshwater samples. FEMS Microbiol. Lett. 298, 193-198. 

  37. Wagner, A.O., C. Malin, P. Lins, and P. Illmer. 2011. Effects of various fatty acid amendments on a microbial digester community in batch culture. Waste Management 31, 431-437. 

  38. Whitman, W.B., E. Ankwanda, and R.S. Wolfe. 1982. Nutrition and carbon metabolism of Methanococcus voltae. J. Bacteriol. 149, 852-863. 

  39. Whitman, W.B. and C. Jeanthon. 2006. Methanococcales, pp. 257-273. In M. Dworkns (ed.), Prokaryotes: an evolving electron resource for the microbiological community, Springer, New York, NY, USA. 

  40. Yu, Y., C. Lee, J. Kim, and S. Hwang. 2004. Group-specific primer and probe sets to detect methanogenic communities using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Biotechnol. Bioeng. 89, 670-6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