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염된 음료에서 분리된 세균에 대한 한약재의 항균성
The Antibacterial Effects of Oriental Medicinal Herbs on Bacteria Isolated from Contaminated Beverages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미생물학회지, v.47 no.3, 2011년, pp.241 - 248  

유영은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  김옥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  김상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  박성민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명자원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의 상품성과 보존을 위하여 사용하는 합성 첨가물이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의 변화와 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쟁점화로 천연의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 중 한의학의 소재로 사용되는 생약제제 79종을 사용하여 식품 중 상품성이 훼손된 음료에서 분리한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13종의 Bacillus sp.와 3종의 Paenibacillus sp.에 대한 메탄올 추출물의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43종의 생약제제가 분리한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 중 8종의 한약재를 선별하고 이들을 대상으로 물, 에탄올, 메탄올과 에틸아세테이트를 추출 용매로 하여 항균성을 조사한 결과 오매, 오배자와 황련이 분리된 세균에 대한 항균성이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물과 에탄올을 사용한 경우에 우수한 항균성을 나타내어 이 결과를 바탕으로 이들 소재를 활용한 천연보존료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생약제제와 비교할 때 오매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진한 것으로 판단되어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제품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use of synthetic additives for preservation and enhancement of the market quality of food products has been emerging as a societal issue in terms of safety as well as changes in consumption patterns. Various research related to natural additives is being conducted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품의 상품성과 보존을 위하여 사용하는 합성 첨가물이 소비자들의 소비 습관의 변화와 첨가물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쟁점화로 천연의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와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천연물 중 한의학의 소재로 사용되는 생약제제 79종을 사용하여 식품 중 상품성이 훼손된 음료에서 분리한 세균에 대한 항균성을 조사하였다.
  • 이에 본 연구자들은 천연 보존제로 사용이 가능한 후보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오염된 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세균을 대상으로 항균성을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양한 가공식품 제조에 있어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하는 이유는? 최근 식품 산업의 추세는 식생활의 간편화와 세대 구성원의 소수화로 각종 가공식품이나 인스턴트식품의 섭취가 늘어나고 있으며 각종 식품제조업체에서는 다양한 가공식품의 제조에 있어 식품의 가치를 상승시키고 소비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하고 있다(5, 18).
최근 우리나라에서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능 연구 대상이 된 한약재와 식물 등의 천연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 의학인 한의학과 민간 요법에서 주로 많이 사용되는 한약재와 식물 등의 천연물을 대상으로 미생물에 대한 항균 효능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으며 최근의 연구를 살펴보면 단삼(1), 매실(3, 11), 인진쑥 및 녹차 추출물(4), 홍국(5), 양파껍질(6), 울금, 강황 및 보라울금(7), 자몽종자추출물(8, 21), 천연 폴리페놀계 물질을 이용한 연구(9), 목초액(12), 작약 추출물(16), 용아초 추출물(17), 산사자(20), 다수의 한약재(2, 21, 24)와 천연물(22), 프로폴리스(23) 등을 이용한 연구가 보고되어 있으며 xylan과 chitosan을 이용한 보존제의 개발(13)과 오존수를 이용한 식품 보존 방법의 개발(15)등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제품의 보존을 위한 소재로 천연물을 이용한 연구가 진행된 배경은 무엇인가? 이 중 식품 보존제는 가공식품의 저장기간의 연장을 목적으로 대부분의 가공식품에 사용할 수 밖에 없으나 사용되고 있는 합성 식품보존제의 경우 인체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쟁점화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소비자들의 소비습관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H.Y.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 miltiorrhiza Bunge extract and Its effects on quality characteristics in sulgidduk. Korean J. Food & Nutr. 22, 321-331. 

  2. Choi, H.S., Y.C. Kim, J.S. Lee, M.R. Jo, C.H. Seo, and S.I. Park. 2004. Antibacterial activity of hot-water and ethyl alcohol extracts of medicinal herbs on fish pathogenic bacteria. J. Fish Pathol. 17, 39-55. 

  3. Ha, M.H. and S.H. Cho. 2005. Preservative effect of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reated with Prunus mune extract. J. Agriculture & Life Sciences 39, 55-60. 

  4. Kim, D.W., J.H. Kim, G.H. Kang, H.K. Kang, S.B. Park, J.H. Park, H.T. Bang, M.J. Kim, J.C. Na, H.S. Chae, and et al. 2010. Studies for antibiotics free chicken production using water extracts from Artemisia capillaries and Camellia sinensi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30, 975-988. 

  5. Kim, E.Y. and M.R. Rhyu. 2008. Antimicrobial activities of Monascus koji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76-81. 

  6. Kim, J.E., A.R. Kim, M.J. Kim, and S.N. Park. 2011. Antibacterial,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s of Allium cepa peel extracts. Appl. Chem. Eng. 22, 178-184. 

  7. Kim, H.J., J.W. Lee, and Y.D. Kim. 20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 and Curcuma zedoaria. Korean J. Food Preserv. 18, 219-225. 

  8. Kim, H.S., J.W. Park, I.B. Park, Y.J. Lee, J.M. Kim, and Y.C. Jo. 2009. Optimiz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foodborne pathogens in grapefruit seed extract and a lactic acid mixture. Korean J. Food Preserv. 16, 472-481. 

  9. Kim, T.K., H.E. Shin, and Y.H. Lee. 2003. Stabilization of polyphenolic antioxidants using inclusion complexation with cyclodextrin and their utilization as the fresh-food preservativ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66-271. 

  10. Lee, G.H., E.S. Doh, J.P. Chang, and G.J. Kil. 2010. Antibacterial activity of Caesalpinia sappan and Coptis chinensis extracts against Bacillus cereusand Vibrio parahaemolyicus. Kor. J. Herbology 25, 111-116. 

  11. Lee, H.A., E.S. Nam, and H.I. Park.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Maesil (Prunus mume) juice against selected pathogenic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 Nutr. 16, 29-34. 

  12. Lee, S.S., B.J. Ahn, and S.T. Cho. 2010. Antimicrobial activities of wood vinegar and application as natural fungicides and food preservatives. Mokchae Konghak 38, 341-348. 

  13. Li, X., X. Shi, M. Wang, and Y. Du. 2011. Xylan chitosan conjugate - A potential food preservative. Food Chemistry 126, 520-525. 

  14. Na, G.M., H.S. Han, S.H. Ye, and H.K. Kim. 2004. Extraction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Cassia tora L. extracts. Korean J. Food Culture 19, 499-505. 

  15. Park, J.M. and H.S. Shin. 2010. Influence of ozonated water and washing method using ozonated water for controlling food-borne disease bacteria. Food Engineering Progress 14, 316-321. 

  16. Park, K.D. and S.H. Cho. 2010. Antimicrobial characteristics of Paeonia lactiflora Pall. extract tested against food-putrefactiv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Preserv. 17, 706-711. 

  17. Park, N.Y., K.N. Park, and S.H. Lee.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food preservative effects of Agrimoniae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44-248. 

  18. Park, S.K., E.S. Lee, and S.K. Park. 2005. Estimation of daily dietary intake of food red colors - food red No. 2, No. 3 and No. 40 -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75-80. 

  19. Park, S.M., J.S. Lee, C.D. Park, J.H. Lee, H.J. Jung, and T.S. Yu. 2006. Selec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Bacillus subtilis KMU-13 against cucumber scab, Cladosporium cucumerinum KACC 40576.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 42-48. 

  20. Ryu, H.Y., S.M. Ahn, J.S. Kim, I.C. Jung, and H.Y. Sohn. 2010. Antimicrobial activity of fruit of Crataegus pinnatifida Bunge against multidrug resistant pathogenic Pseudomonas aeruginosa and Candida sp.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77-83. 

  21. Ryu, H.Y., S.M. Ahn, Y.K. Shin, and H.Y. Sohn. 2010. Antimicrobial and hemolytic activity of oriental medicinal herbs. Kor. J. Microbiol. Biotechnol. 38, 190-197. 

  22. Tak, S.B., D.H. Kim, S.K. Yoon, and Y.C. Lee. 2005. Effects of natural preservatives and storage temperatures on quality and shelf-life of fresh pork meat.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557-561. 

  23. Tosi, E.A., E. Re, M.E. Ortega, and A.F. Cazzoli. 2007. Food preservative based on propolis: Bacteriostatic activity of propolis polyphenols and flavonoids upon Escherichia coli. Food Chemistry 104, 1025-1029. 

  24. Yu, Y.E., E.Y. Park, D.H. Jung, S.H. Byun, S.C. Kim, and S.M. Park. 2010. Antibacterial effect of oriental herbs on dental pathogens. Kor. J. Microbiol. 46, 200-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