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풍위해지도 개발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Wind Hazard Maps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1 no.3, 2011년, pp.1 - 8  

이영규 ((주)큐버솔루션 방재기술혁신팀) ,  이승수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  함희정 (강원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기반의 강풍위해지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지표조도모형, 지형할증모형, 균일강풍지도로 구성된다. 지표조도모형은 지표조도가 지표풍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형 할증모형을 개발하였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은 건축구조설계기준(2005)을 채용하여 산정하였다. 균일강풍지도는 기상자료를 이용한 빈도분석법과 태풍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풍위해성 평가방법을 통한 강풍위해지도가 강풍에 의한 손실, 피해 및 보험료율 산정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wind hazard map over Korea peninsula based on geographical information is developed, which consists of the surface roughness model, the topographical effect model and the homogeneous wind model. The surface roughness model is asses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surface roughnes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태풍의 이동경로와 반경 500 km에 이르는 태풍 크기에 비해 부산시 영역은 아주 작은 영역이라는 사실로부터, 부산시 전역이 동일한 지표조도와 지형으로 이루어졌다면, 부산시 전역에서 거의 동일한 풍속이 계측되어야 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관측풍속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표조도모형과 지형할증모형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균일풍속을 추정함으로써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조도모형과 지형할증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3년 태풍 매미의 경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그림 6(a)에 보이는 것과 같이 2003년 14호 태풍 MAEMI는 부산의 좌측으로 부산과 평행하게 약 60 km 떨어져서 이동하였다.
  • 본 연구에서 균일강풍지도는 풍향이 고려되지 않은 연최고풍속이나 태풍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극한 풍속을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최종 결과로 요구되는 8 방향 풍향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고려할 때 풍향별 극한 풍속 산정이 고려되어야 하나, 현재 기상청에서는 풍향별 연최고풍속이 제공하고 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향후 연최고풍속의 풍향별 빈도를 고려한 산정 과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 태풍 MAEMI(2003)의 관측풍속을 이용하여 지표조도모형과 지형할증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으며, 강풍 위해지도 결과를 이용하여 시설물별 강풍 손실도 평가 활용, 시설물별 강풍 피해액 산정 활용, 시설물별 보험료율 산정에 활용 방안의 예시를 보였다. 특히, 강풍위해지도와 비닐하우스의 취약성 곡선을 이용하여 손실도 평가의 예를 보였으며, 이 외 다른 시설물에 대해서도 시설물에 해당하는 취약성 곡선을 이용하여 강풍으로 인한 손실, 피해 및 보험료율 산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2009, 엄정아 등 2010)이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에서 수집한 대분류 토지피복지도(2000)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지표조도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 토지피복지도는 Landsat 영상을 분석하여 제작된 것으로 공간 해상도는 30 m×30 m이며, 수역 · 시가화지역 · 나지 · 습지 · 초지 · 산림 · 논 · 밭의 8가지 구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위해성 평가를 위하여 강풍위해지도를 개발하였다. 강풍위해지도는 지표조도모형, 지형할증모형 그리고 균일강풍지도의 세 요소의 결합으로 개발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표조도상황과 지형이 풍속에 미치는 영향을 국가 차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토지피복지도와 수치고도모형의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평가하여 지역적 강풍위해성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위해지도(Wind Hazard Map, WHM)를 개발 한다. 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인자로 지표조도가 풍속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 영향을 고려하였다.
  • 공기 흐름이 급경사면, 둑, 능선, 절벽, 언덕을 타고 지날 때 풍속이 할증될 수 있다. 이 분야에 대한 많은 연구는 1970년대와 1980년대, 풍력발전과 풍력단지의 최적 입지를 선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로 인하여 완만한 경사를 갖는 지형에서의 풍속을 예측하는 수준이 향상되었다.
  • 이와 같이 각 요소 기술은 설계 기술의 측면에서 각각 연구된 바 있으나, 이를 결합한 지역적 강풍위해성 평가 기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표조도상황과 지형이 풍속에 미치는 영향을 국가 차원에서 구축하고 있는 토지피복지도와 수치고도모형의 지리정보를 기반으로 평가하여 지역적 강풍위해성을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강풍위해지도(Wind Hazard Map, WHM)를 개발 한다.

가설 설정

  • U(real)은 관측지점에서 관측된 10분 평균풍속을 나타내며, Kzt는 지형할증모형으로부터 산출된 지형할증계수, z0는 지표조도모형으로부터 나온 조도길이, Ha는 풍속계의 높이를 말한다. 부산(159) 지점에서의 풍속계 높이는 17.8 m로 명시적이지만, 그 외 관측지점의 풍속계 높이 정보는 가용하지 않은 관계로 10 m 높이로 가정하였다. U/Kzt는 관측풍속을 지형할증계수로 나누어 줌으로써 평지에서의 풍속을 얻는 과정을, 대수 법칙 풍속 분포식으로부터 구한 u*는 마찰속도를 각각 나타낸다.
  • 중분류 토지피복지도를 이용하여 비닐하우스의 면적은 알 수 있으나 어떤 종류의 비닐하우스 시설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비닐하우스의 모든 영역이 07-단동-08의 내재해형 비닐하우스 시설물로 운영되고 있다고 가정한다면 제주 지역의 피해를 산출할 수 있다.
  • 그림 6(a)에 보이는 것과 같이 2003년 14호 태풍 MAEMI는 부산의 좌측으로 부산과 평행하게 약 60 km 떨어져서 이동하였다. 이와 같은 태풍의 이동경로와 반경 500 km에 이르는 태풍 크기에 비해 부산시 영역은 아주 작은 영역이라는 사실로부터, 부산시 전역이 동일한 지표조도와 지형으로 이루어졌다면, 부산시 전역에서 거의 동일한 풍속이 계측되어야 한다는 가설을 세울 수 있다. 따라서 관측풍속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표조도모형과 지형할증모형을 이용하여 보정함으로써 균일풍속을 추정함으로써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 풍속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 인자로 지표조도가 풍속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 영향을 고려하였다. 지표조도에 의한 영향을 지표조도모형(Surface Roughness Model, SRM)으로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 영향을 지형할증모형(Topographical Effect Model, TEM)으로 개발하고 두 모형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조도모형을 개발하는 목적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지리정보기반의 강풍위해지도를 개발하였으며, 이는 지표조도모형, 지형할증모형, 균일강풍지도로 구성된다. 지표조도모형은 지표조도가 지표풍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형 할증모형을 개발하였다.
지형 할증모형을 개발한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 지표조도모형은 지표조도가 지표풍에 미치는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개발되었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을 반영하기 위하여 지형 할증모형을 개발하였다.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은 건축구조설계기준(2005)을 채용하여 산정하였다.
강풍이 갖는 잠재적인 위해성을 정량적으로 어떻게 평가하였는가? 강풍 위해성 평가를 위해서는 지역별로 발생 가능한 극한 풍속을 산정하고 지표의 영향 및 지형의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는데, 이와 관련한 국내외의 연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극한 풍속의 산정에 있어서 국내에서는 하영철 등(1998)은 1951~1995년 기간의 풍속 자료와 극한 분포를 이용하여 100년 재현기대풍속에 대한 기본풍속분포도를 작성하였는데, 풍속 시계열의 동질화를 위하여 1972년을 기준으로 이전과 이후의 관측지점의 지표조도를 구분하는 작업을 수행하였다. 또한 기상관측소가 산중턱이나 정상에 위치하여 지형에 의한 풍속할증이 일어나는 지점에 대해서는 해발높이 및 주변 지표면 상황에 따라 지표면으로부터의 유효높이를 고려하여 높이에 따른 풍속의 보정을 행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건축물 하준 기준 및 해설(대한건축학회 2000)과 건설교통부 고시건축구조설계기준(대한건축학회 2005)에 사용되고 있다. 한편 미국의 경우 Vickery 등(2000a, 2000b)은 미국 대서양에서 발생하는 허리케인의 전체 이동경로에 대한 경험적 진로 모형을 개발하여 미국 전역에 대한 허리케인 위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이 결과는 미국의 건축물 설계기준인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ASCE 2005)의 기본풍속으로 사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농촌진흥청 (2008) 비닐하우스 지역별 내재해형 규격 기준. 

  2. 대한건축학회 (2000) 건축물 하중 기준 및 해설. 

  3. 대한건축학회 (2005) 건축구조설계기준. 

  4. 소방방재청 (2009) 강풍 및 대설 위험도 산정 기법 개발,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 

  5. 엄정아, 이승수, 이영규 (2010) NDVI를 이용한 지표조도 추정, 제6회 한국유체공학학술대회, pp. 629-630. 

  6. 이영규 (2010) 지리정보기반 강풍위해성 평가 모형 개발, 박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7. 하영철, 이승수, 김규석 (1998) 건축물 설계용 기본풍속분포도,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대한건축학회, 제14권, 제8호, pp. 75-83. 

  8. 이영규, 이승수 (2008) 한반도 근역 태풍에 의한 지표풍 추정, 한국풍공학회지, 한국풍공학회, 제12권, 제2호, pp. 121-128. 

  9.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005) ASCE/SEI 7-05,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New York, United States of America. 

  10. Bowen, A.J. and D. Lindley (1977) A Wind-Tunnel Investigation of the Wind Speed and Turbulence Characteristics Close to the Ground over Various Escarpment Shapes, Boundary Layer Meteorology, Vol. 12, pp. 259-271. 

  11. De Bray, B.G. (1973) Atmospheric Shear Flows over Ramps and Escarpments, Industrial Aerodynamics Abstracts, Vol. 5, pp. 1- 4. 

  12. Ramli, N.I., Ali, M.I., Saad, M.S.H. and Majid, T.A. (2009) Estimation or the roughness length(z0) in Malaysia using satellite image, The Seventh Asia-Pacific conference on Wind Engineering, November 8-12, 2009, pp. 641-634. 

  13. Sacre, C. (1973) Influence d'une colline sur la vitesse du vent dans la couche limite de surface, Centre Scientifique et Technique du Batiment, Nantes, France. 

  14. Simiu, E. and Scanlan, R.H. (1996) Wind Effects on Structures Third Edition, John Wiley & Sons, New York, USA. 

  15. Standard Australia (2002), AS NZS 1170.2-2002 Structural design actions-Wind actions, Austrailia. 

  16. Vickery, P.J., Skerlj, P.F., Steckley, A.C. and Twinsdale, L.A. (2000a) Hurricane Wind Field Model for Use in Hurricane Simulations,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6, No. 10, pp. 1203-1221. 

  17. Vickery, P.J., Skerlj, P.F. and Twinsdale, L.A. (2000b) Simulation of Hurricane Risk in the United States Using Empirical Track Model, Journal of Structural Engineering, Vol. 126, No. 10, pp. 1222-1237. 

  18. Wieringa, J. (1992) Updating the Davenport Roughness Classification, Journal of Wind Engineering and Industrial Aerodynamics, Vol. 41, No. 1/3, pp. 357-368. 

  19. Wieringa, J. (1993) Representative Roughness Parameters for Homogeneous Terrain, Boundary-Layer Meteorology, Vol. 63, No. 4, pp. 323-363. 

  20. Yohana, M. and Lee, S. (2009), Topographical Factors for Wind Speed in Undulating Terrain: A Case Study for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Vol. 13, No.2, pp. 67-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