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를 이용한 지표면조도 산정 방법
Estimating Method of Surface Roughness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3, 2015년, pp.1 - 10  

최세휴 (경북대학교 토목공학과) ,  서은수 (경북대학교 공간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급격한 도시팽창 및 각종 산업시설의 밀집화는 도심지역의 지형지물 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게된다. 건물의 고층화가 진행되더라도 기존에 그 지역에 존재하던 주택 및 공업단지와 같은 저층건물과 혼재하게 되며, 이는 건물의 설계풍속 산정 시 중요한 요소인 지표면조도를 산정함에 있어 설계자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지표면조도를 산정하였다. 각 나라 건축구조기준 규정을 참고하여 연구범위 내 건물의 높이에 따라 지표면조도의 구분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1:5,000 수치지형도 자료 및 GIS를 활용하여 지표면조도를 산정하였다. 이는 설계자의 주관에 따라 지표면조도가 산정되는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합리적인 내풍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urban expansion and densification of the various industrial facilities affect the changes of topography and building in urban areas. Even if buildings proceed with high rise, they get mixed with low-rise buildings such as houses and industrial parks that have existed in the area. This may con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지표면조도를 산정함으로써 설계건물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을 지표면조도 산정과정에 반영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높이에 따른 정량적인 지표면조도 구분기준을 제시하고 기존에 지표면조도 산정 시 설계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물의 내풍설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건축물의 지표면조도를 산정함으로써 설계건물 주변 지형지물의 영향을 지표면조도 산정과정에 반영하고자 한다. 건축물의 높이에 따른 정량적인 지표면조도 구분기준을 제시하고 기존에 지표면조도 산정 시 설계자의 주관에 의존하는 문제점을 개선하여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건물의 내풍설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를 이용하여 지표면조도를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본 논문에서는 각 국가별 지표면조도 산정 기준을 참조하여, 정량화된 건축물의 지표면조도 산정 기준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건물의 높이는 수치지도 2.0의 건물 레이어의 속성정보에 입력된 층수를 기준으로 건물층고를 3m로 가정하여 건물의 높이를 건물 층수×3m로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물 DTM은 어떻게 생성할 수 있는가? 건물 DTM은 데이터를 취득하는 장비에 따라 수치지형도, LiDAR, 사진측량, 위성영상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생성할 수 있으며, 활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생성 방법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건물 DTM을 생성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경제성과 정확성이 높은 수치지형도를 이용하였으며, 수치지형도에 존재하는 건물 레이어의 높이데이터와, 표고점 레이어의 위치정보를 활용하였다.
래스터 모델의 단점은 무엇인가? 래스터 모델의 특성상 데이터의 편집이나 지표면조도의 분석을 진행함에 있어서 다소 비효율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건물 DTM을 점데이터로 벡터라이징 하였다. 이는 래스터 모델 하나의 Cell이 벡터 모델 하나의 Point 객체로 변환됨을 의미하며, 각각의 Point 객체는 그 위치의 높이 데이터를 속성정보로 가지게 된다.
건물 DTM을 점데이터로 벡터라이징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래스터 모델의 특성상 데이터의 편집이나 지표면조도의 분석을 진행함에 있어서 다소 비효율적인 과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건물 DTM을 점데이터로 벡터라이징 하였다. 이는 래스터 모델 하나의 Cell이 벡터 모델 하나의 Point 객체로 변환됨을 의미하며, 각각의 Point 객체는 그 위치의 높이 데이터를 속성정보로 가지게 된다. 생성된 점 데이터를 추출한 뒤 표 5에 제시된 기준으로 지표면 조도를 구분하였으며, 그 결과를 그림 6에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IK(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1. Wind Load Commentary and Design. Taerim, pp.119-121 (대한건축학회. 2001. 풍하중 해설 및 설계. 태림문화사. 119-121쪽). 

  2. AIK(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009. Korean Building Code-Structural. Kimoondang, p.99-101 (대한건축학회. 2009. 건축구조기준. 기문당. 99-101쪽). 

  3.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1982. American National Standard Minimum Design Loads for Buildings and Other Structures. A58. 

  4. Australian Standard. 1989. Australian Standard SAA Loading Code Part 2. Wind Force. 

  5. British Standard. 1986.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Code of Basic Data for the Design of Buildings CP3, Ch.V, Part 2. Wind Loads. 

  6. Choi, S.H. and E.S. Seo. 2013. Estimating method of topographic factor of design wind speed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6(3):126-135 (최세휴, 서은수. 2013. GIS를 이용한 지형에의한 풍속할증계수 산정방법.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6(3):126-135). 

  7. Choi, S.H. and M.H. Sung. 2011. Estimation of the topographic factor of wind speed using GIS information.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19(5):47-52 (최세휴, 성민호.2011. GIS 정보를 이용한 풍속지형계수 산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19(5):47-52). 

  8. Kang, I.H. 2009. Manhattanization of housing.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4(2):91-114 (강인호. 2009.주택의 고층화. 한국주거학회지 4(2):91-114). 

  9. Kim, H.G. and J.O. Choi. 2002. Calculation of wind profile exponent in Pohang area.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6(1):47-52. 

  10. Kim, Y.D., D.Y. Yoon and J.Y. Choi. 1999. An analysis of ground roughness factor by gust factor change of wind velocities (I) - for Korea central province -. Journal of the Wind Engineering Institute of Korea 2(1):23-32 (김영덕,윤덕영, 최진영. 1999. 풍속의 G.F. 변화에의한 지표면조도 분석(1)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한국풍공학회논문집 2(1):23-32). 

  11. Park, H.M. and T.K. Beak. 2009. Progress and land-use characteristics of urban sprawl in Busan metropolitan city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2):23-33 (박호명, 백태경. 2009. 원격탐사와 GIS를 이용한 부산광역시 도시화지역의 확산과정과 토지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2):23-33). 

  12. Park, S.Y., S.W. Jeon and C.U. Choi. 2009. Analysis of urban growth pattern and characteristics by administrative district hierarchy: 1985-2005.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4):34-47 (박소영, 전성우, 최철웅. 2009. 행정구역 위계별도시성장 패턴 및 특성 분석: 1985-2005를중심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4):34-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