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활성슬러지내의 전기화학적활성 박테리아 분포 특성
Distribution of 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 in Activated Sludge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5, 2011년, pp.407 - 411  

손형식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손희종 (부산광역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 ,  김미아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  이상준 (부산대학교 미생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bial fuel cell (MFC) wes enriched using sludge in wastewater treatment. The microbial community of activated sludge and enriched MFC were analyzed by FISH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and 16S rDNA sequencing. Bacteroidetes group were pre-dominant in activated sludge by FISH. ${\alp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probe를 이용하여 실제 배양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생물들을 비배양적인 방법인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를 이용하여 활성슬러지 중에 서식하는 EAB들을 MFC에서 농화배양 후의 미생물 군집의 계통학적 분석이 미생물 다양성 관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이를 배양적 방법인 16S rR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종 동정을 함으로써 EAB 종별 MFC에서의 전류생산 능을 파악하기 보다는 MFC에 적합한 미생물 종을 파악하여 MFC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그 목적이다.
  • 현재 알려진 대표적인 EAB들로는 철 환원 미생물 (Fe(III)-reducing bacteria, FRB)인 Closrtidium butyricum [5], Enterococcus gallinarum [6], Rhodoferax ferrireducens [7], Geobacter [8-10], Shewanella [11-12] 및 Sulfate-reducing bacterium인 Desulfotomaculum reducens [13] 등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MFC내의 미생물 군집에 대해서 배양적인 방법과 비배양적인 방법으로 현재 여러 연구 그룹에서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probe를 이용하여 실제 배양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생물들을 비배양적인 방법인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를 이용하여 활성슬러지 중에 서식하는 EAB들을 MFC에서 농화배양 후의 미생물 군집의 계통학적 분석이 미생물 다양성 관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이를 배양적 방법인 16S rRNA sequencing을 이용하여 종 동정을 함으로써 EAB 종별 MFC에서의 전류생산 능을 파악하기 보다는 MFC에 적합한 미생물 종을 파악하여 MFC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 그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이런 매개체 없이 전자전달이 가능한 미생물을 전기화학적 활성미생물 (electrochemically active bacteria, EAB)이라고 한다 [5-6]. 현재 알려진 대표적인 EAB들로는 철 환원 미생물 (Fe(III)-reducing bacteria, FRB)인 Closrtidium butyricum [5], Enterococcus gallinarum [6], Rhodoferax ferrireducens [7], Geobacter [8-10], Shewanella [11-12] 및 Sulfate-reducing bacterium인 Desulfotomaculum reducens [13] 등이 많이 알려져 있으며, MFC내의 미생물 군집에 대해서 배양적인 방법과 비배양적인 방법으로 현재 여러 연구 그룹에서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probe를 이용하여 실제 배양으로 확인할 수 없는 미생물들을 비배양적인 방법인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를 이용하여 활성슬러지 중에 서식하는 EAB들을 MFC에서 농화배양 후의 미생물 군집의 계통학적 분석이 미생물 다양성 관찰을 위해 수행되었다.
미생물 연료전지란? 미생물 연료전지 (Microbial fuel cell, MFC)는 전기활성 미생물을 촉매로 이용하여 하 · 폐수에 포함된 유기물의 화학적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이다 [1]. 금속염을 전자수용체로 사용하는 혐기성 미생물인 금속염 환원세균(metal reducing bacteria)이 매개체 없이 전자전달이 가능하다는 것 [2-4]이 알려진 이후 이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왔다.
S 하수처리장에서 채집한 활성슬러지를 이용하여 MFC 농화배양 전 · 후의 전기 활성 박테리아 분포 특성을 FISH와 농화배양 후 단일 종을 분리하여 16S rDNA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활성 슬러지의 미생물 군집은 어떠한 분포를 나타내는가? ① 활성슬러지의 미생물 군집을 FISH 분석을 통하여 조사한 결과, Bacteroidetes가 가장 높은 분포비율을 보였으며, α proteobacteria, Acintobacter와 Acintobacter가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Park, D. H. and J. D. Zeikus (2000) Electricity generation in microbial fuel cells using neutral red as an electronophore. Appl. Environ. Microbiol. 66: 1292-1297. 

  2. Kim, H. J., H. S. Park, M. S. Hyun, I. S. Chang, M. Kim, and B. H. Kim (2002) A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 using a metal reducing bacterium, Shewanella putrefaciens. Enzyme. Microb. Technol. 30: 145-152. 

  3. Liu, H., R. Ramnarayanan, and B. E. Logan (2004) Production of electricity during wastewater treatment using a single chamber microbial fuel cell. Environ. Sci. Technol. 38: 2281-2285. 

  4. Kim, T. S. and B. H. Kim (1998) Modulation of Clostridium acetobutylicum fermantation by electrochemically supplied reducing equivalent. Biotechnol. Lett. 10: 123-128. 

  5. Park, H. S., B. H. Kim, H. S. Kim, H. J. Kim, G. T. Kim, M. Kim, I. S. Chang, Y. K. Park, and H. I. Chang (2001) A novel electrochemically active and Fe (III) reducing bacterium phylogenetically related to Clostridium butyricum isolated from a bacterial fuel cell. Anaerobe. 7: 297-306. 

  6. Kim, G. T., M. S. Hyun, I. S. Chang, H. J. Kim, H. S. Park, B. H. Kim, S. M. Kim, and J. W. T. Wimpenny (2005) Dissimilatory Fe (III) reduction by electrochemically active lactic acid bacterium phylogenetically related to Enterococcus gallinarum isolated from submerged soil. J. Appl. Microbiol. 99: 978-987. 

  7. Chaudhuri, S. K. and D. R. Lovley (2003) Electricity generation by direct oxidation of glucose in mediatorless microbial fuel cells. Nat. Biotechnol. 21: 1229-1232. 

  8. Lovley, D. R., S. J. Giovannoni, D. C. White, J. E. Champine, E. J. P. Phillips, Y. A. Gorby, and S. Goodwin (1993) Geobacter metallireducens gen. nov. sp. now., a microorganism capable of coupling the complete oxidation of organic compounds to the reduction of iron, and other metals. Arch. Microbiol. 159: 336-344. 

  9. Caccavo, F., J. D. Coates, R. A. Rossello-Mora, W. Ludwig, K. H. Schleifer, D. R. Lovley, and M. J. McInerney (1996) Geovibrio ferrireducens, a phylogenetically distinct dissimilatory Fe (III)- reducing bacterium. Arch. Microbiol. 165: 370-376. 

  10. Bond, D. R., D. E. Holmes, L. M. Tender, and D. R. Lovley (2002) Electrode-reducing microorganisms that harvest energy from marine sediments. Science. 295: 483-485. 

  11. Lovley, D. R., E. J. P. Phillips, and D. J. Lonergan (1989) Hydrogen and formate oxidation coupled to dissimilatory reduction of iron or manganese by Alteromonas putrefaciens. Appl. Environ. Microbiol. 55: 700-706. 

  12. Lovley, D. R., F. Caccavo, and E. J. P. Phillips (1992) Acetate oxidation by dissimilatory Fe (III) reducers. Appl. Environ. Microbiol. 58: 3205-3206. 

  13. Tebo, B. M. and A. Y. Obraztsova (1998) Sulfate-reducing bacterium grows with Cr (VI), U (VI), Mn (IV), and Fe (III) as electron acceptors. FEMS Microbiol. Lett. 162: 193-198. 

  14. Kim, B. H., H. S. Park, H. J. Kim, G. T. Kim, I. S. Chang, J. Lee, and T. N. Phung (2004) Enrichment of microbial community generating electrocity using a fuel cell type electrochemical cell.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672-681. 

  15. Nu?bel, U., F. Garcia-Pichel, and G. Muyzer (1997) PCR primers to amplify 16S rRNA genes from cyanobacteria. Appl. Environ. Microbiol. 63: 3327-3332. 

  16. Wagner, M., R. Amann, H. Lemmer, and K. Scheleifer (1993) Probing activated sludge with oligonucleotides specific for proteobacteria: inadequacy of culture-dependent methods for describing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ppl. Environ. Microbiol. 59: 1520-1525. 

  17. Glockner, F. O., B. M. Fuchs, and R. Amann (1999) Bacterioplankton compositions of lakes and oceans: a first comparison based on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5: 3721-3726. 

  18. Wagner, M., R. Erhart, W. Manz, R. Amann, H. Lemmer, D. Wedi, and K. H. Schleifer (1994) Development of an rRNA-targeted oligonucleotide probe specific for the genus acinetobacter and its application for in situ monitoring in activated sludge. Appl. Environ. Microbial. 60: 792-800. 

  19. Neef, A., R. Amann, H. Schlesner, and K. Scheleifer (1998) Monitoring a widespread bacterial group: in situ detection of planctomycetes with 16S rRNA-targeted probes. Microbiol. 144: 3257-3266. 

  20. Juretschko, S., A. Loy, A. Lehner, and M. Wagner (2002) The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of a nitrifying-denitrifying activated sludge from an industrial sewage treatment plant analyzed by the full-cycle rRNA Approach. Syst. Appl. Microbiol. 25: 84-99. 

  21. Manz, W., M. Eisenbrecher, T. R. Neu, and U. Szewzyk (1998) Abundance and spatial organization of gram-negative sulfatereducing bacteria in activated sludge investigated by in situ probing with specific 16S rRNA targeted oligonucleotides. FEMS Microbiol. Ecol. 25: 43-61. 

  22. Meier, H., R. Amann, W. Ludwig, and K. H. Schleifer (1999) Specific oligonucleotide probes for In situ detection of a major group of gram-positive bacteria with Low DNA G+C content. Syst. Appl. Microbiol. 22: 186-196. 

  23. Eschenhagen, M., M. Schuppler, and I. Roske (2003)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wo activated sludge systems for the advanced treatment of domestic effluents. Water Res. 37: 3224-3232. 

  24. Adav, S. S., D. J. Lee, and J. Y. Lai (2009) Biological nitrificationdenitrification with alternating oxic and anoxic operations using aerobic granules. Appl. Microbiol. Biotechnol. 84: 1181-1189. 

  25. Lee, J., N. T. Phung, I. S. Chang, B. H. Kim, and H. C. Sung (2003) Use of acetate for enrichment of electrochemically active microorganisms and their 16S rDNA analyses. FEMS Microbiol. Lett. 223: 185-191. 

  26. Kim, B. H., H. S. Park, H. J. Kim, G. T. Kim, I. S. Chang, J. Lee, and N. T. Phung (2004) Enrichment of microbial community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a fuel-cell-type electrochemical cell. Appl. Microbiol. Biotechnol. 63: 672-681. 

  27. Aelterman, P., K. Rabaey, T. H. Pham, N. Boon, and W. Verstraete (2006) Continuous electricity generation at high voltages and currents using stacked microbial fuel cells. Environ. Sci. Technol. 40: 3388-33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