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응집제 혼합을 이용한 미세조류의 응집 특성
Floccul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Through Combined Flocculants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5, 2011년, pp.443 - 452  

권도연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정창규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  이철균 (인하대학교 생명공학과) ,  이진원 (서강대학교 화공생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norganic flocculant with biodegradable polymer flocculant was usedfor microalgae harves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ptimize the concentration of inorganic flocculant, the concentration of biodegradable polymer flocculant and reaction volume for decreasing the amounts of floccul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량의 응집제로도 높은 응집 효율을 보이지만 환경에 독성을 갖는 무기 응집제와 친환경적이지만 가격이 비싼 생물학적 고분자응집제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단점을 보완하여 응집 효율을 높이고 각각의 응집제 양을 줄이며 친환경적인 응집 결과물을 얻기 위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였다.
  • 이전 연구에서 미세조류를 수확하는데 있어서 무기 응집제가 대체적으로 높았으나 미세조류 종별로 응집제 종류에 따른 응집효과가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13]. 따라서 해양 미세조류인 Chlorella ellipsoidea, Dunaliella bardawil과 Dunaliella tertiolecta를 응집하기 위하여 미세조류 종별로 무기 응집제와 생분해성 고분자 응집제 조합을 선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친환경적인 생분해성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한 응집효율 실험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해양 미세조류 종 (Species), 속 (Genus)에 따라 적합한 응집제가 있는데 Chlorella ellipsoidea의 경우 무기 응집제로 Ferric chloride와 생분해성 고분자 응집제 Chitosan을 사용하였으며, 응집이 일어나기 위해서 최적의 pH 조건을 가지는 Ferric chloride의 양이 0.1 g/L, Chitosan의 양이 7.5 g/L을 혼합하였을 때가 최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Dunaliella bardawil의 경우는 무기 응집제로서 Ferric sulfate와 생분해성 고분자 응집제 Chitosan을 혼합하였을 경우 높은 응집 효율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해수 pH에 적합한 8.5 부근의 범위를 보이면서 높은 응집 효율을 얻기 위해서는 Ferric sulfate의 첨가량을 0.12 g/L으로, Chitosan의 첨가량을 1.0 g/L으로 하는 것이 최적 조건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Dunaliella tertiolecta의 경우는 pH가 8.6부근 일 때의 응집 조건이 Sodium aluminate를 1.0 g/L, Chitosan을 0.75 g/L 혼합하여 첨가하는 것이 최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바이오 디젤은 어떤 육상식물을 바이오매스를 이용해 생산할 수 있을까? 그리고 바이오 에탄올과 바이오 디젤을 수송 연료로 상용화한 나라도 있다 [4-6]. 바이오 디젤은 Corn, Canola, Oil palm 혹은 Jatropha 와 같은 육상 식물을 바이오 매스로 이용하여 생산할 수 있다.
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응집이 원심분리, 여과, 부유에 비해 가지는 장점은? 반면에 응집제를 이용한 미세조류의 응집은 위 세가지 방법에 비하여 Species 특이성이 적으며 Scale-up 하기가 쉽다는 장점을 지닌다 [12]. 이전 연구결과에서 Aluminium 계열, Ferric계열의 무기 응집제 사용 시 해양 미세조류 높은 응집 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rennan, L. and P. Owende (2010) Biofuels from microalgae-A review of technologies for production, processing, and extractions of biofuels and co-products. Renew. Sustain. Energ. Rev. 14: 557-577. 

  2. Sharif Hossain, A. B. M. and A. Salleh (2008) Biodiesel Fuel Production from Algae as Renewable Energy. Am. J. Biochem. Biotech. 4: 250-254. 

  3. Szklo, A. and R. Schaeffer (2006) Alternative energy sources or integrated alternative energy systems? Oil as a modern lance of Peleus for the energy transition. Energ. 31: 2513-2522. 

  4. Junginger, M., T. $Bolkesj{\phi}$ , D. Bradley, P. Dolzan, A. Faaij, J. Heinimo, B. Hektor, $\phi$ . Leistad, E. Ling, M. Perry, E. Piacente, Frank, R. C., Y. Ryckmans, P. P. Schouwenberg, B. Solberg, E. $Tr{\phi}mborg$ , A. da S. Walter, and M. de Wit (2008) Developments in international bioenergy trade. Biomass Bioenerg. 32: 717-729. 

  5. Harun, R., M. Davidson, M. Doyle, R. Gopiraj, M. Danquah, and G. Forde (2011) Technoeconomic analysis of an integrated microalgae photobioreactor, biodiesel and biogas production facility. Biomass Bioenerg. 35: 741-747. 

  6. Li, Y., M. Horsman, N. Wu, C. Q. Lan, and Nathalie D. C. (2008) Biofuels from Microalgae. Biotechnol. Prog. 24: 815-820. 

  7. Chisti Y. (2007) Biodiesel from microalgae. Biotechnol. Adv. 25: 294-306. 

  8. Raja, R., S. Hemaiswarya, N. A. Kumar, S. Sridhar, and R. Rengasamy (2008) A perspective on the biotechnological potential of microalgae. Crit. Rev. Microbiol. 34: 77-88. 

  9. Lee, A. K., D. M. Lewis, and P. J. Ashman (2009) Microbial flocculation, a potentially low-cost harvesting technique for marine microalgae for the production of biodiesel. J. Appl. Phycol. 21: 559-567. 

  10. Dismukes, C. G., D. Carrieri, N. Bennette, G. M. Ananyev, and M. C. Posewitz (2008) Aquatic phototrophs: efficient alternatives to land-based crops for biofuels. Curr. Opin. Biotechnol. 19: 235-240. 

  11. Somasundaran, P. and T. Hubbard (2006) Encyclopedia of surface and colloid science. 2nd ed., pp. 2588-2591. CRC Press, Taylor & Francis Group, NY, USA. 

  12. Uduman, N., Y. Qi, M. K. Danquah, G. M. Forde, and A. Hoadley (2010) Dewatering of microalgal cultures: A major bottleneck to algae-based fuels. J. Renew. Sustain. Energ. 2, 012701. 

  13. Kwon, D. Y., C. K. Jung, K. B. Park, C. G. Lee, and J. W. Lee (2011) Flocculation characteristics of microalgae using chemical flocculant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6: 143-150. 

  14. Kurane, R. and H. Matsuyama (1994) Production of a bioflocculant by mixed culture. Biosci. Biotechnol. Biochem. 58: 1589-1594. 

  15. Patil, S. V., C. D. Patil, B. K. Salunke, R. B. salunkhe, G. A. Bathe, and D. M. Patil (2011) Studies on characterization of bioflocculant exopolysaccharide of Azotobacter indicus and its potential for wastewater treatment. Appl. Biochem. Biotechnol. 163: 463-472. 

  16. Salehizadeh, H. and S. A. Shojaosadati (2002)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bioflocculant produced by Bacillus firmus. Biotechnol. Lett. 24: 35-40. 

  17. Divakaran, R. and V. N. Sivasankara Pillai (2002) Flocculation of algae using chitosan. J. Appl. Phycol. 14: 479-422. 

  18. Vandamme, D., I. Foubert, B. Meesschaert, and K. Muylaert (2010) Floccualtion of microalgae using cationic starch. J. Appl. Phycol. 22: 525-530. 

  19. Oh, H. M., S. J. Lee, M. H. Park, H. S. Kim, H. C. Kim, J. H. Yoon, G. S. Kwon, and B. D. Yoon (2001) Harvesting of Chlorella vulgaris using a bioflocculant from Paenibacillus sp. AM49. Biotechnol. Lett. 23: 1229-1234. 

  20. Golueke, C. G. and W. J. Oswald (1965) Harvesting and processing sewage-grown planktonic algae. J. Water Pollut. Contr. 37: 471-498. 

  21. Lubian L. M. (1989) Concentrating cultured marine microalgae with chitosan. Aquacul. Engineer. 8: 257-265. 

  22. Morales, J., J. de la Noue, and G. Picard (1985) Harvesting marine microalgae species by chitosan flocculation. Aquacul. Engineer. 4: 257-270. 

  23. Gualtieri, P., L. Barsanti, and V. Passarelli (1988) Chitosan as flocculant for concentrating Euglena gracilis cultures. Ann. Inst. Pasteur. Microbiol. 139: 717-726. 

  24. Lertsutthiwong, P., S. Sutti, and S. Powtongsook (2009) Optimization of chitosan flocculation for phytoplankton removal in shrimp culture ponds. Aquacul. Engineer. 41: 188-193. 

  25. Grima, E. M., E. H. Belarbi, F. G. A. Fernandez, A. R. Medina, and Y. Chisti (2003) Recovery of microalgal biomass and metabolites: process options and economics. Biotechnol. Adv. 20: 491-51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