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nti-biofouling 광생물반응기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 연구
Culture of Microalgae using Anti-biofouling Photobioreator 원문보기

KSBB Journal, v.26 no.6, 2011년, pp.561 - 564  

나인욱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서민호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안수한 (서울시립대학교 통계학과) ,  황경엽 (한국과학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the development of high performance photobioreactor, which can be used to develop the biological $CO_2$ fixation technology as well as the renewable biofuels, the microalgae Botryococcus braunii. When B. Braunii was cultured in Anti-biofouling photobioreat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높은 광효율 및 생산성을 갖은 광반응기를 개발하기 위하여 미세조류의 반응기 벽면부착 (Biofouling) 현상을 방지하고 미세조류의 원활한 혼합을 위해 Antibiofouling 광생물반응기를 설계 제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세조류를 이용한 CO2 고정화 공정이 실제 적용이 불가능한 이유는 무엇인가? 바이오매스 종류에 따라 CO2 고정화속도는 차이가 있으며 미세조류가 가장 높은 CO2 고정화 속도를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1]. 그러나, 이러한 미세조류를 이용한 CO2 고정화 공정을 100 MW 화력 발전소에 적용한 경우에 필요한 부지 면적은 약 100 km2으로 우리 나라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CO2를 고정화하는 장치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면적은 약 13,000 km2으로 우리 나라 전체 면적의 약 1/ 30으로 실제 적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우리나라와 사정이 비슷한 일본, 이탈리아 등에서는 단위 면적당 CO2 고정화 속도가 월등히 높은 관형, 광섬유 반응기 등의 개발에 대한 연구를 수행중이다.
생물학적 CO2 고정화기술의 장점은 무엇인가? 현재 전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으로 지적받고 있는 CO2를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자연계의 탄소순환 메카니즘을 이용하는 것으로써 가장 환경친화적인 방법으로 평가되는 생물학적 CO2 고정화기술의 경우 낮은 초기투자비, 상온 상압 조업에 따른 저렴한 운전비 등의 경제성 면에서 큰 장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미세조류와 관련된 폭넓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1]. 모든 바이오매스는 태양광을 에너지원으로 CO2를 광합성하여 생체의 활성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유기물을 얻는다.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CO2를 고정화하는 공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관형 반응기는 이미 상용화된 기술인 노지형 반응기에 비해 CO2 고정화 속도가 2배 높았으며 광섬유 반응기는 관형 반응기에 비해 2배 높은 CO2 고정화 속도를 나타낸다고 보고되어 있다 [2]. 광섬유 반응기의 경우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산업체 배출 CO2 고정화와 같은 대형 공정에는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관형 반응기를 사용하여 CO2를 고정화하는 공정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

  1. KRIBB Report (1998) Development of hydrocarbon production technology using microalgae. 

  2. Ogbonna, J. C., H. Yada, and H. Tanaka (1995) Light supply coefficient: A new engineering parameter for photobioreactor design. J. Fermt. Bioeng. 80: 369-376. 

  3. Ogbonna J. C. and H. Tanaka (1997) Industrial-size photobioreactors. CHEMTECH. July: 43-49. 

  4. McCabe (1992) Unit Operation of Chemical Engineering 4th, 121-12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