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추 및 오이 시설재배 토양의 미생물 다양성 분석
Microbial Diversity and Community Analysis in Lettuce or Cucumber Cultivated Greenhouse Soil in Korea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169 - 1175  

김병용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원항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박인철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이상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김완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  송재경 (국립농업과학원 농업미생물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설재배지의 토양미생물 분포 특성을 밝히고 토양의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전국 주요 시설재배 8개 주산단지에서 각각 5포장을 선정하여 토양화학성, 미생물분포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토양화학성은 가용성인산, 칼륨, 칼슘의 함량이 적정범위보다 크게 상회하여 상당량의 염류 집적을 확인하였다. 토양미생물의 배양적 방법을 통해 조사한 시설재배지의 주요 우점 박테리아는 Bacillus 속, Microbacterium 속, Arthrobacter 속, Lysobacter 속 등이었으며, 형광성 Pseudomonas 속의 밀도는 상추와 오이 재배지에서 각각 $0.018-7.3{\times}10^4\;cfu\;g^{-1}$, $0.0013-9.6{\times}10^4\;cfu\;g^{-1}$으로 시료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비배양학적 방법을 통한 토양미생물 분포 조사를 위해 수행한 인지질지방산 (PLFA)의 주성분 분석 결과, 작물 및 지역별 군집구조의 큰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토양화학성 및 미생물군집구조 측면에서 시설재배지 조사지역의 토양은 대체로 건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il chemical properties,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s and biochemical properties of lettuce or cucumber-cultivated greenhouse soil samples were analyzed to assess soil health and characterize microbial distribution in 8 locations in Korea. Although most of chemical properties were withi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시설재배지 토양의 미생물의 분포 특성을 밝히고 건전성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표적인 시설재배 작물인 상추와 오이의 대규모 재배지역에서 토양시료를 채취하여 토양화학성을 포함한 토양의 생화학적 특성, 미생물 분포, 배양 및 비배양법에 의한 군집구조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설채소재배의 면적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민소득의 증가로 고품질 신선채소류의 소비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설채소재배의 면적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식생활에 대한 많은 관심으 로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요구와 소비도 급격히 높 아지고 있다.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요구와 소비가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국민소득의 증가로 고품질 신선채소류의 소비가 지속적 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설채소재배의 면적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의 식생활에 대한 많은 관심으 로 안전한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요구와 소비도 급격히 높 아지고 있다. 이것은 작물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농식품 의 안전성을 동시에 추구하기 위한 농업적 기반 연구가 필 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Kwak et al.
시설채소재배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3). 시설재배는 외부의 자연환경과 차단된 상태에서 토지이용율을 높이기 위해 연중 집약적으로 작물을 재배하기 때문에 노지재배에 비하여 물질순환이 제한적이며, 연작장애가 발생하는 부작 용이 있다 (Cho et al.,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Aciego Pietri, J.C. and P.C. Brookes. 2008. Relationships between soil pH and microbial properties in a UK arable soil. Soil Biol. Biochem. 40:1856-1861. 

  2. Baath, E. 1996. Adaptation of soil bacterial communities to prevailing pH in different soils. FEMS Microbiol. Ecol. 19:227-237. 

  3. Bligh, E.G. and W.J. Dyer.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911-917. 

  4. Bossio, D.A., K.M. Scow, N. Gunapala, and K.J. Graham. 1998. Determinant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effects of agricultural management, season, and soil type on phospholipid fatty acid profiles. Microb. Ecol. 36:1-12. 

  5. Brant, J.B., E.W. Sulzman, and D.D. Myrold. 2006. Microbial community utilization of added carbon substrates in response to long-term carbon input manipulation. Soil Biol. Biochem. 38:2219-2232. 

  6. Casida Jr, L.E. 1977. Microbial metabolic activity in soil as measured by dehydrogenase determinations. Appl. Environ. Microbiol. 34:630-636. 

  7. Cho, K.R., C.S. Kang, T.J. Won, and K.Y. Park. 2006. Effects of compressed expansion rice hull application and drip irrigation on the alleviation of salt accumulation in the plastic film house soil. Korean J. Soil Sci. Fert. 39: 372-379. 

  8. Fauci, M.F. and R.P. Dick. 1994. Soil microbial dynamics: short-and long-term effects of inorganic and organic nitrogen. Soil Sci. Soc. Am. J. 58:801-806. 

  9. Fernandez-Calvino, D., J. Rousk, P.C. Brookes, and E. Baath. 2011. Bacterial pH-optima for growth track soil pH, but are higher than expected at low pH. Soil Biol. Biochem. 43:1569-1575. 

  10. Fernandez­Calvino, D. and E. Baath. 2006. Growth response of the bacterial community to pH in soils differing in pH. FEMS Microbiol. Ecol. 73:149-156. 

  11. Garbeva, P., J.A. Van Veen, and J.D. Van Elsas. 2003. Predominant Bacillus spp. in agricultural soil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detected via PCR-DGGE. Microb. Ecol. 45:302-316. 

  12. Hirsch, P.R., T.H. Mauchline, and I.M. Clark. 2010. Cultureindependent molecular techniques for soil microbial ecology. Soil Biol. Biochem. 42:878-887. 

  13. Kwak, H.K., K.S. Seong, N.J. Lee, S.B. Lee, M.S. Han, and K.A. Roh. 2003. Changes in chemical properties and fauna of plastic film house soil by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 and composted pig manure. Korean J. Soil Sci. Fert. 36:304-310. 

  14. Lauber, C.L., M. Hamady, R. Knight, and N. Fierer. 2009. Pyrosequencing-based assessment of soil pH as a predictor of soil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t the continental scale. Appl. Environ. Microbiol. 75:5111. 

  15. Lee, Y.H. and S.K. Ha.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i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3:572-577. 

  16. McGill, W.B., K.R. Cannon, J.A. Robertson, and F.D. Cook. 1986. Dynamics of soil microbial biomass and water-soluble organic C in Breton L after 50 years of cropping to two rotations. Can. J. Soil Sci. 66:1-19. 

  17. McSpadden Gardener, B.B. 2004. Ecology of Bacillus and Paenibacillus spp. in agricultural systems. Phytopathology 94:1252-1258. 

  18. Nacke, H., A. Thurmer, A. Wollherr, C. Will, L. Hodac, N. Herold, et al. 2011. Pyrosequencing-based assessment of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along different management types in German forest and grassland soils. PLoS ONE 6:e17000. 

  19. NIAST. 2000. Method of analysis of soil and plan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20. Rousk, J., E. Baath, P.C. Brookes, C.L. Lauber, C. Lozupone, J.G. Caporaso, et al. 2010. Soil bacterial and fungal communities across a pH gradient in an arable soil. ISME J 4:1340-1351. 

  21. Song, J., H.Y. Weon, S.H. Yoon, D.S. Park, S.J. Go, and J.W. Suh. 2001. Phylogenetic diversity of thermophilic actinomycetes and Thermoactinomyces spp. isolated from mushroom composts in Korea based on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EMS Microbiol. Lett. 202:97-102. 

  22. Suh, J.S., B.G. Jung, and J.S. Kwon. 1998. Soil microbial diversity of the plastic film house fields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1:197-203. 

  23. Zelles, L., Q.Y. Bai, R. Rackwitz, D. Chadwick, and F. Beese. 1995. Determination of phospholipid-and lipopolysaccharidederived fatty acids as an estimate of microbial biomass and community structures in soils. Biol. Fertil. Soils 19:115-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