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6, 2011년, pp.1226 - 1231
함광준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박근영 (강원도보건환경연구원) , 김민수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송재모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 이상수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 옥용식 (강원대학교 바이오자원환경학과)
The biogenic emission of the atmospher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from the forests is dominated by monoterpen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the concentration of monoterpenes distributed in various types of forest near the Gangwon Nature Environment Research Park, Hongcheon, Gang...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테르펜이라는 정유 성분의 효과는? | 삼림욕이란 나무에서 발산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테르펜 (terpene) 계열의 자연 물질이 다량 존재하는 대기 상태에 인간이 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삼림욕은 테르펜이라는 정유 성분은 오염된 대기를 80% 이상 정화하고 살충 등의 환경적 기능과 더불어 심폐기능향상, 체내의 음이온 증가로 인한 노폐물 배출, 살균 작용, 항생작용, 혈압강하, 이뇨작용, 거담, 강장, 통변작용 등 인간의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Kim, 2006). | |
대표적인 산림 치유 효능물질인 모노테르펜의 특징은? | , 2011). 특히 모노테르펜 (monoterpene)은 대표적인 산림치유 물질로 침엽수림에서 많이 생산되며, 온도, 일사량, 습도 등의 계절에 따른 자연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Owen et al., 1997). | |
삼림욕이란? | 최근 웰빙 (well-being), 로하스 (Lifestyle of Health And Sustainability)로 대변되는 21세기 새로운 생활방식의 확산과 더불어 국민을 위한 생활 재충전과 건강증진의 장으로서 산림공간의 활용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산림을 이용하는 산림치유 (forest therapy) 개념의 삼림욕(green shower)이 대두되고 있다. 삼림욕이란 나무에서 발산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인 테르펜 (terpene) 계열의 자연 물질이 다량 존재하는 대기 상태에 인간이 접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삼림욕은 테르펜이라는 정유 성분은 오염된 대기를 80% 이상 정화하고 살충 등의 환경적 기능과 더불어 심폐기능향상, 체내의 음이온 증가로 인한 노폐물 배출, 살균 작용, 항생작용, 혈압강하, 이뇨작용, 거담, 강장, 통변작용 등 인간의 건강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Kim, 2006). |
Harrison, D., M.C. Hunter, A.C. Lewis, P.W. Seakins, T.W. Nunes, and C.A. Pio. 2001. Isoprene and monoterpene emission from the coniferous species Abies Borisii-regis-implications for regional air chemistry in Greece. Atmos. Enviro. 35:4687-4698.
Ji, D.Y., S.Y. Kim, and J.S. Han. 2002. A study on the comparison to source profile of the major terpenes from pine tree and Korean pine tree. J. Korean Soc. Atmos. Environ. 18:515-525.
Kesselmeier, J., U. Kuhn, A. Wolf, M.O. Andreae, P. Ciccioli, E. Brancaleoni, M. Frattoni, A. Guenther, J. Greenberg, P. De Castro vasconcellos, Telles de Oliva, T. Tavares, and P. Artaxo. 2000. Atmospher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t a remote tropical forest site in central Amazonia. Atmos. Environ. 34:4063-4072.
Kesselmeier J. and M. Staudt. 1999.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 an overview on emission, physiology and ecology. J. Atmos. Chem. 33:23-88.
Kim, J.C., J.H. Hong, C.H. Gang, Y.S. Woo, K.J. Kim, and J.H. Lim. 2004. Comparison of monoterpene emission rates from conifer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0:175-183.
Kim, Y.Y. 2006. Phytoncide from Forest and Health. J. Teachers College Jeju National University 35:281-303 (in Korean).
Owen, S., C. Boissard. R.A. Street, S.C. Duckham, and C.C. Hewitt. 1997. The BEMA-project: screening of 18 Mediterranean plant species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 emission. Atmos. Environ. 31:101-117.
Park, K.Y. and T.W. Kim. 2011. Investigation of air quality to increase forest resources value in Gangwon Province. Rep. Inst. Health Environ. 22:115-123 (in Korean).
Riba, M.L., J.P. Tathy, N. Tsiropoulos, B. Monsarrat, and L. Torres. 1987. Diurnal variation in the concentration ${\alpha}$ -pinene, ${\beta}$ -pinene in the Landes forest (France). Atmos. Environ. 21:191-193.
Park, H.J., J.C. Kim, B.D. Park, and K.N. Park. 200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onoterpene emissions from different wood species. J. Korean Soc. Atmos. Environ. 22:145-151.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