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척지 토양에서 퇴비처리가 벼의 생산 및 품질개선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Compost Application on Improvement of Rice Productivity and Quality in Reclaimed Soil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08 - 813  

문영훈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권영립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김대향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한성수 (원광대학교 식품.환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재배시 농가에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 토양검정에 의한 양분관리 방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처리간에 수확기 토양의 EC, 유효규산, 치환성 Ca은 감소하였고, pH, 유기물함량, 치환성 K와 Mg은 변화가 없었다. 수확기 토양미생물은 시비전에 비해 호기성균, Bacilus sp. 사상균은 증가하였고, 퇴비 50%를 사용한 처리에서 호기성세균이 다량분포하고 있었다. 표준시비구와 퇴비를 50%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잎의 N, P, K 함량은 비슷하였다. 벼 생육상황과 엽록소함량은 무비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수량은 검정시비량 50%+퇴비 50% 처리구가 가장 많았고, 무비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처리별로 비교해보면 검정시비량 50%+퇴비 50%구> 표준시비구>검정시비량70%+퇴비 30%구>검정시비구>무비구 순이었다.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17.2~17.8%로서 비슷하였고, 단백질 함량은 5.9%~6.8%로 화학비료 사용량이 적을수록 낮았고, 기계적인 식 미치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 쌀 생산을 위하여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을 검정시비량 50%에 퇴비 50%를 사용하는 것이 기준수확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미 향상효과가 있어 축분퇴비의 시비기술 측면에서 개선 또는 재검토 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the dependability of farmers on chemical fertilizers for rice cultivation. Soi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were monitored before experiment and at the time of harvesting. The results showed that EC, available $SiO_2$, and exchangeable $Ca^{2...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화도 간척지의 환경보전과 비료자원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하여 토양검정에 의한 과학적인 시비기술 체계를 확립하고 토양검정시비에 의한 화학비료와 유기물 시용량 조절과 미질향상을 위해 시험을 수행하였다.
  • 벼 재배시 농가에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 토양검정에 의한 양분관리 방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처리간에 수확기 토양의 EC, 유효규산, 치환성 Ca은 감소하였고, pH, 유기물함량, 치환성 K와 Mg은 변화가 없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토양은 양분 보유력이 낮고 산성인 무엇이 주요 모재로 구성되어 있는가? 한편 우리나라 토양은 양분 보유력이 낮고 산성인 화강암이 주요 모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와 고온 등 기후적인 특성 때문에 토양 중 유기물 함량을 증가시키기가 어렵다. 하지만 좁은 농경지에서 많은 인구를 부양하기 위해 고투입에 의한 다수확 위주의 농업이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
간척지 토양은 작물재배에 어려움이 많은 이유는? 간척지 토양은 특수토양으로써 간척초기에 염류농도와 지하수위가 높고, 토양물리화학성이 불량하여 작물재배에 어려움이 많다. 하지만 경작년수가 경과하면 관배수에 의한 치환성 K, Mg, Na 등이 감소되어 제염화가 이루어지며, 지하수위가 낮아지고, 수직배수가 점차 양호해져 토양 물리성이 개선된다 (Back et al.
벼 재배시 농가에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 토양검정에 의한 양분관리 방법을 수립하고자한연구 결과는? 벼 재배시 농가에서 화학비료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 토양검정에 의한 양분관리 방법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처리간에 수확기 토양의 EC, 유효규산, 치환성 Ca은 감소하였고, pH, 유기물함량, 치환성 K와 Mg은 변화가 없었다. 수확기 토양미생물은 시비전에 비해 호기성균, Bacilus sp. 사상균은 증가하였고, 퇴비 50%를 사용한 처리에서 호기성세균이 다량분포하고 있었다. 표준시비구와 퇴비를 50%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잎의 N, P, K 함량은 비슷하였다. 벼 생육상황과 엽록소함량은 무비구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수량은 검정시비량 50%+퇴비 50% 처리구가 가장 많았고, 무비구에서 가장 적었으며, 처리별로 비교해보면 검정시비량 50%+퇴비 50%구> 표준시비구>검정시비량70%+퇴비 30%구>검정시비구>무비구 순이었다. 쌀의 아밀로오스 함량은 17.2~17.8%로서 비슷하였고, 단백질 함량은 5.9%~6.8%로 화학비료 사용량이 적을수록 낮았고, 기계적인 식 미치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친환경 쌀 생산을 위하여 화학비료 표준시비량을 검정시비량 50%에 퇴비 50%를 사용하는 것이 기준수확량을 유지함과 동시에 식미 향상효과가 있어 축분퇴비의 시비기술 측면에서 개선 또는 재검토 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ck, C.O., H. Jung, and J.H. Jung. 1984. The report of the present condition on desalinizaton of unfinished polder land. Agricultural development company. 

  2. Jung, B.G., G.B. Jung, and J.H. Yoon. 2003. Survey on the change of chemical properties of agricultural fields in Korea. Scientific symposium.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RDA, Suwon. 

  3. Kim, C.B., D.H. Lee, and J. Choi. 2002. Effects of soil improvement on the dependence of rise nutiroent contents and grain quality. J. Korean Soc. Soil Sci. Fert. 35:296-305. 

  4. Kwak, H.K. 2001. Soil testing for fertilizer management of scientific. Soil & fertilizer, Korean Soc. Soil Sci. Fert. 6:19-23. 

  5. Lee, S.T., D.C. Seo, E.X. Kim, W.D. Song, W.G. Lee, J.S. Heo, and Y.H. Lee. 2010a. Effect of continual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on malting barley growth and soil environment in double cropping system of rice malting barley. Korean J. Soc. Soil Sci. Fert. 43:341-348. 

  6. Lee, S.T., D.C. Seo, J.S. Cho, R.A. Dahlgren, and Y.H. Lee. 2010b. Effect of annual and basal dressing with liquid pig manure on growth and quality of rice in double cropping system of rice-malting barley. Korean J. Soil Sci. Fert. 43:624-630. 

  7. NIAST (National Institute i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won, Korea. 

  8. Oh, W.K. 1978. Effects of organic materials on soil chemical properties. Korean. J. Soil Sci. Fert. 11:161-174. 

  9.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2. Guidelines for applying liquid livestock manur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0. RDA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6. The standard of fertilizer application crop species. NIAST.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Suwon, Korea. 

  11. Shin, J.S. and Y.H. Shin. 1975. The effect of long-term organic matter addition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J. Korean. Soc. Soil Sci. Fert. 8:19-23. 

  12. Song, Y.S., H.K. Kwak, B.K. Hyun, B.Y. Yeon, and P.J. Kim. 2001. Effects of composted pig manure on rice cultivation in paddy soils of different texture. Korean J. Soil Sci. Fert. 34:265-272. 

  13. Yamane, C.S. and H.H. Matzura. 1970. Change of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fter application rice straw. Res. Rept. Chugoku National Agricultureal Experiment Station. 5:69-76. 

  14. Yang, C.H., C.H. Yoo, B.S. Kim, W.K. Park, J.D. Kim, and K.Y. Jung. 2008a. Effect of application time and rate of mixed expeller cake on soil environment and rice quality. Korean. J. Soil Sci. Fert. 41:103-111. 

  15. Yang, C.H., C.H. Yoo, J.H. Jung, B.S. Kim, W.K. Park, J.H. Ryu, T.K. Kim, J.D. Kim, S.J. Kim, and S.H. Baek. 2008b.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in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1(2):94-102. 

  16. Yeon, B.Y., H.K. Kwak, Y.S. Song, H.J. Jun, H.J. Cho, and C.H. Kim. 2007. Changes in rice yield and soil organic matter content under continued application of rice straw compost for 50 years in paddy soil. Korean J. Soil Sci. Fert. 40:454-469. 

  17. Yoo, C.H., C.H. Yang, T.K. Kim, J.H. Ryu, J.H. Jung, S.W. Kang, J.D. Kim, and K.Y. Jung. 2007.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addy soil and actual farming conditions in Gyehwa reclaimed tid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0(2):109-113. 

  18. 홍종운. 1993. 유기자원의 활용현황과 전망-유기농업을 중심으로. 환경보전형 농업을 위한 토양관리 심포지엄, 한국토양비료학회. p. 3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