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경운 벼 유기농업이 토양 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Organic Farming System on the Soil Microbial Ecology in No-till Paddy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14 - 818  

이영한 (경상남도농업기술원)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  곽연식 (경상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의 벼 생육 단계별 토양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확기 토양의 호기성 세균 개체수와 곰팡이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이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담수 이전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도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호기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리고 곰팡이 개체수는 담수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 토양 미생물 생태를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asonal changes were evaluated in the soil microbial populations by selected media in an organic farming system (OFS) with no-till management compared to those in a conventional farming system (CFS) with tillage and synthetic amendments in a flooded paddy from 2009 to 2010. The populations of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논에서 무경운 유기농업과 관행농업의 토양 미생물 다양성에 대한 계절적 변화를 연구하여 생태적 원리에 부합하는 유기농업의 장점을 밝혀내고 나아가 유기농업 발전에 기여코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생물에 의한 토양 건전성 유지는 어떤 요소와 관련이 있는가? 토양 미생물의 분포는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환경에 적응한 미생물이 우점하게 된다 (Lee and Ha, 2011; Lee and Lee, 2011; Lee and Yun, 2011; Lee and Zhang, 2011). 미생물에 의한 토양 건전성 유지는 환경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미생물의 수, 미생물체량, 효소활성 등의 특성이 토양 비옥도와 관련되어 있다 (Suh, 1998). 따라서 토양의 건강 회복 (Health Recovery), 즉 친환경농업을 통해 먹을거리의 건강, 생태계의 건강, 지역사회의 건강, 농민 삶의 건강이 모두 회복되기 위해서는 토양 비옥도 관리와 더불어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토양의 건강 회복을 위해서는 어떤 점들을 함께 검토해야 하는가? 미생물에 의한 토양 건전성 유지는 환경 보전을 위해 매우 중요하며 미생물의 수, 미생물체량, 효소활성 등의 특성이 토양 비옥도와 관련되어 있다 (Suh, 1998). 따라서 토양의 건강 회복 (Health Recovery), 즉 친환경농업을 통해 먹을거리의 건강, 생태계의 건강, 지역사회의 건강, 농민 삶의 건강이 모두 회복되기 위해서는 토양 비옥도 관리와 더불어 토양 미생물의 다양성을 함께 검토해야 한다. 무경운 벼 유기농업에서는 유기물 피복이 필수적인 조건이며 (Erenstein, 2002; Lal, 1991; Lee, 2010) 토양 물리성과 미생물 생체량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Busscher et al.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의 벼 생육 단계별 토양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요약할 수 있는가?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의 벼 생육 단계별 토양 미생물 개체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수확기 토양의 호기성 세균 개체수와 곰팡이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이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으며 담수 이전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도 경운 관행농업 보다 유의적으로 많았다. 호기성 세균, 그람음성 세균 그리고 곰팡이 개체수는 담수 이후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그람음성 세균 개체수는 무경운 유기농업과 경운 관행농업 토양 미생물 생태를 가장 잘 구분할 수 있는 특성을 보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eare, M.H., P.F. Hendrix, and D.C. Coleman. 1994. Waterstable aggregates and organic matter fractions in conventionaland no-tillage soils. Soil Sci. Soc. Am. J. 58:777-786. 

  2. Busscher, W.J., P.J. Bauer, C.R. Camp, and R.E. Sojka. 1997. Correction of cone index for soil water content differences in a coastal plain soil. Soil Till. Res. 43:205-217. 

  3. Dindal, D.L. 1990. Soil sampling and method of analysis. Soil Biology Guide. Wiley Interscience. 

  4. Drenovsky, R.E., D. Vo, K.J. Graham, and K.M. Scow. 2004. Soil water content and organic carbon availability are major determinants of soil microbial community composition. Microb. Ecol. 48:424-430. 

  5. Erenstein, O. 2002. Crop residue mulching in tropical and semi-tropical countries: an evaluation of residue availability and other technological implications. Soil Till. Res. 67:115-133. 

  6. Hamman, S.T., I.C. Burke, and M.E. Strombeerger. 2007. Relationships betwee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and soil environmental conditions in a recently burned system. Soil Biol. Biochem. 39:1703-1711. 

  7. James, N. 1958. Soil extract in soil microbiology. Can. J. Microbiol. 4:363-370. 

  8. Lai, R. 1991. Tillage and agricultural sustainability. Soil Till. Res. 20:133-146. 

  9. Lee, Y.H. 2010. Evaluation of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for organic farming. Korean J. Soil Sci. Fert. 43:200-208. 

  10. Lee, Y.H., B.K. Ahn, and J.H. Lee. 2010. Impa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and green manuring on selected soil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bial biomass carbon in no-till paddy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3(1):105-112. 

  11. Lee, Y.H. and H.D. Yun. 2011.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of agricultural soils subjected to organic farming system in Korean paddy fields with no-till management.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4(3):434-441. 

  12. Lee, Y.H. and S.K. Ha. 2011. Impacts of chemical properties on microbial populaton from uplan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242-247. 

  13. Lee, Y.H. and S.T. Lee. 2011. Comparison of microbial community of orchard soils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3):492-497. 

  14. Lee, Y.H. and Y.K. Sonn. 2011. Evaluation of aquatic animals on the water in a rice field with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Korean J. Soil Sci. Fert. 44(3):371-374. 

  15. Lee, Y.H. and Y.S. Zhang. 2011. Response of microbe to chemical properties from orchard soil in Gyeongnam Province. Korean J. Soil Sci. Fert. 44(2):236-241. 

  16. Lee, Y.S., J.H. Kang, K.J. Choi, S.T. Lee, E.S. Kim, W.D. Song, and Y.H. Lee. 2011. Response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to different cultivation systems in controlled horticultural land. Korean J. Soil Sci. Fert. 44:118-126. 

  17. Mamilov, A.S. and O.M. Dilly. 2002. Soil microbial eco-physiology as affected by short-term variation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Soil Biol. Biochem. 34:1283-1290. 

  18. Martin, J.P. 1950. Use of acid, rose Bengal and streptomycin in the plate method for estimating soil fungi. Soil Sci. 69:215-232. 

  19. Mechri, B., H. Chehab, F. Attia, F.B. Mariem, M. Braham, and M. Hammami. 2010. Olive mill wastewater effects on the microbial communities as studied in the field of olive trees by analysis of fatty acid signatures. Eur. J. Soil Bio. 146:312-318. 

  20. NIAST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2000. Analytical methods of soil and plant. NIAST, Suwon, Korea. 

  21. Rillig, M.C., P.W. Ramsey, S. Morris, and E.A. Paul. 2003. Glomalin, an arbuscular-mycorrhizal fungal soil protein, responds to land-use change. Plant Soil 253:293-299. 

  22. SAS Institute. 2006. SAS Version 9.1.3. SAS Inst., Cary, NC. 

  23. Son, D. and Y.H. Lee. 2011. Effects of no-tillage rice cover crop cropping systems on rice root growth. Korean J. Soil Sci. Fert. 44(3):375-379. 

  24. Suh, J.S. and J.S. Shin. 1997. Soil microbial diversity of paddy field in Korea. Korean J. Soil Sci. Fert. 30:200-207. 

  25. Wang, M.C., Y.H. Liu, Q. Wang, M. Gong, X.M. Hua, Y.J. Pang, S. Hu, and Y.H. Yang. 2008. Impact of methamidophos on the biochemical, catabolic,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soil microbial communities. Soil Biol. Biochem. 40:778-788. 

  26. Wright, A.L., F.M. Hons, and J.E. Matocha Jr. 2005. Tillage impacts on microbial biomass and nitrogen dynamics of corn and cotton rotations. Appl. Soil Ecol. 29:85-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