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논에서 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및 농업기후대가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on CH4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 원문보기

韓國土壤肥料學會誌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 fertilizer, v.44 no.5, 2011년, pp.887 - 894  

고지연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이재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우관식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송석보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강종래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서명철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곽도연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오병근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  남민희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지역에서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과 관련 깊은 자연적 요인인 논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보통답, 미숙답, 습답 및 사질답) 및 농업기후대별 (영남내륙지대, 영남내륙산간지대 평지 및 산지, 동해안중부지대) 로 $CH_4$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논토양 유기물 함량에 따른 $CH_4$ 배출량은 동일비료의 장기연용에 의하여 인접한 토양임에도 토양유기물 함량이 서로 다른 시험구에서 벼 표준재배법에 따라 동일하게 시비관리하면서 조사하였다. 논토양 $CH_4$ 배출량은 GWP 기준으로 3요소+퇴비 장기시용에 의하여 유기물 함량이 가장 높았던 처리구에서 $CH_4$ 배출량이 $3,597kg\;CO_2\;ha^{-1}\;yr^{-1}$ (1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퇴비 72.1%, 3요소 70.5%, 3요소+규산 49.9% 및 무비 41.1%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 유기물 함량의 순서와 일치하였으며,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과 토양 유기물 함량 사이에는 r = $0.963^{**}$의 고도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y = $4.3096x^{1.81314}$, 단 x는 토양 유기물함량, g $kg^{-1}$).논 유형별 $CH_4$ 배출량 (GWP) 은 토양 투수속도가 느리고, 유기물 함량이 높아 토양의 혐기상태가 강하게 유지되는 습답에서 $14,160kg\;CO_2\;ha^{-1}\;yr^{-1}$ (100%)로 가장 많았고, 미숙답은 64.0%, 보통답 46.8%, 사질답 23.8%의 순으로 나타났다. 농업기후대에 따른 논토양 $CH_4$ 배출량 (GWP)은 벼 재배기간 중 평균기온이 가장 높았던 영남내륙지대 (밀양)에서 $4,967kg\;CO_2\;ha^{-1}\;yr^{-1}$ (100%)로 가장 배출량이 많았 고, 동해안중부지대 (영덕) 94.6%, 영남내륙산간 평지 (상주 신봉) 91.7% 및 영남내륙산간 산지 (상주 화서) 78.9%의 순이었다. 기후대별 온도인자 중 7-9월 평균기온과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량 사이의 회귀식은 y = 389.7x-4,287(단 x는 농업기후대별 7-9월 평균기온, $R^2=0.906^*$)이었다. 이와 같은 자연적 입지조건이 논토양 $CH_4$ 배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논토양 입지조건을 고려한 온실가스 저감방법 구명 및 개발에 기초연구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abiotic factors of paddy fields on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from rice paddy fields by different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in Yeongnam a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입지조건과 같은 자연적 인자가 논토양에서의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년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수행하였으며, CH4 생성의 탄소원인 토양유기물, 토양의 산화환원정도와 관련 깊은 벼 논 유형 및 CH4 생성미생물의 활력에 영향을 미치는 기온과 관련 있는 농업기후대별로 논토양조건에서 CH4 배출량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을 시작한 이후로 어떤 연구들이 지속되었는가? 우리나라에서도 1994년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측정을 시작한 이후로 물관리, 유기물의 종류, 재배법, 품종, 질소질 비종 등이 미치는 영향 및 효과적인 저감방법에 관한 연구 (Kim et al., 2002; Ko et al.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H4에 대해 어떤 연구들이 수행되었는가? 논토양에서 온실가스 발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CH4는 Ciceron and Shettler (1981)에 의해 보고된 이후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인자와 그에 따른 배출량 및 저감방법 구명 등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Kimura, 1997; Minami, 1993; Yagi et al., 1990).
본 연구는 입지조건과 같은 자연적 인자가 논토양에서의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2004년, 2005년 및 2007년의 3년간 경남 밀양에 위치한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 시험포장과 인근 포장에서 수행한 이유는? , 1997, 2005; Shin, 1996)가 지속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논토양 온실가스 배출에 관한 연구는 재배관리에 의한 저감방법 개발 등의 인위적 요인에 주로 집중되어 있고, 배출이 일어나는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 물리적 특성 및 입지조건과 같은 자연적 요인에 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hoi, D.H., Y.S. Jung, B.C. Kim and M.S. Kim. 1985. Zoning of agroclimatic regions based on climatic characteristics during the rice planting period. Korean J. of Crop Sci. 30(3):229-235. 

  2. Cicerone, R.J. and J.D. Shettler. 1981. Sources of atmospheric methane: Measurements in rice paddies and discussion. J. Geophys. Res. 86:7203-7209. 

  3. Croziere, C.R., R.D. DeLaune, and W.H.Jr. Patrick. 1994. Methane production in Missippi Deltatic Plain wetland soil as a function soil redox species. Soil and global change. Lewis Publisher, Chelsea, MI. 

  4. Hahn, G.J. 1973.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exposed. Chemthech, October, 609-611. 

  5.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1996. Guidlines for national greenhouse inventories. 

  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 The Scientific Ba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 Kimura, M., Y. Miura, A. Watanabe, J. Murase, and S. Kuwatsuka. 1992. Methane production and its fate in paddy fields. I. Effects of rice straw application and percolation rate on the leaching of methane and other soil components into the subsoil. Soil Sci. Plant Nutr. 38:665-672. 

  8. Kimura, M. 1997. Sources of methane emitted from paddy fields. Nutr. Cycl. Agroecosyst. 49:153-161. 

  9. Kim, G.Y., S.I. Park, H.S. Beom, and Y.K. Shin. 2002. Emission Characteristics of Methane and Nitrous Oxide by Management of Water and Nutrient in a Rice Paddy Soil. Korean. J. Env. Agri. 21(2):136-143. 

  10. Ko, J.Y., H.W. Kang, U.G. Kang, H.M. Park, D.K. Lim, and K.B. Park. 1998. The effects of nitrogen fertilizers and cultural patterns on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y field. Korean. J. Env. Agri. 17(3):227-233. 

  11. Ko, J.Y. and H.W. Kang. 2000. The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 emission from rice field. Nutr. Cycl. Agroecosyst. 58:311-314. 

  12. Ko, J.Y., J.S. Lee, M.T. Kim, H.W. Kang, U.G. Kang, D.C. Lee, Y.G. Shin, K.Y. Kim, and K.B. Lee. 2002. Effects of Cultural Practices on Methane Emission in Tillage and No - tillage Practice from Rice Paddy Fields. Korean J. Soil Sci. Fert. 35(4):216-222. 

  13. Ko, J.Y., J.S. Lee, K.Y. Jung, C.Y. Dae, D.W. Lee, E.S. Yun, C.S. Kim, and S.T. Park. 2007. Effects of Soil Percolation Rate by Different Drainage Treatments on ${CH_{4}}$ and ${N_{2}O}$ Emissions from Paddy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40(3):214-220. 

  14. Lee, K.B., D.B. Lee, J.G. Kim, and Y.W. Kim. 1997. Effect of Rice Cultural Patterns on Methane Emission from a Korean Paddy Soil.Korean J. Soil Sci. Fert. 30(1):35-40. 

  15. Lee, K.B., J.G. Kim, C.W. Park, Y.K. Shin, D.B. Lee, and J.D. Kim. 2005. Effect of Irrigation Water Depth on Greenhouse Gas Emission in Paddy Field Korean J. Soil Sci. Fert. 38(3):150-156. 

  16. Lim, C.H., S.Y. Kim, J. Gutierrez, and P.J. Kim. 2010. Impact of soil salinity on CH4 production in coastal reclaimed land. Spring symposium proceeding of Korean J. Soil Sci. Fert.:330-331. 

  17. Minami, K. 1993. Methane from rice production. Res. Rep. Div. Environ. Planning. 9:243-258. 

  18. Mitra, A. P., Prabhat K. G., and C. Sharma. 2002. Refinement in methodologies for methane budget estimation from rice paddies. Nutrient Cyc. in Agro. 64:14-155. 

  19. Murase, J., M. Kimura and S. Kuwatsuka. 1993. Methane production and its fate in paddy fields. III. Effects of percolation on methane flux distribution to the atmosphere and the subsoil. Soil Sci. Plant Nutr. 39:63-70. 

  20. Neue, H.U. 1993. Methane emission from rice fields. Biosciences. 43:466-474. 

  21. Schutz H., W. Seiler, and R. Conrad. 1990. Influence of soil temperature on methane emission from rice paddy fields. Biogeochemistry. 11:77-95. 

  22. Shin, Y.K., B.L. Lee, and J.S. Suh. 1995. Influence of soil and air temperature on the diel change of methane emission in a Korean paddy soil incorporated with rice straw. Korean J. Soil Sci. Fert. 28(3):266-269. 

  23. Shin, Y.K. 1996. Mitigation options for methane emission from rice fields in Korea. Ambio. 25(4):289-291. 

  24. Wassmann, R., H.U. Neue, C. Bueni, R.S. Lantin, M.C.R. Alberto, L.V. Buendia, K. Bronson, H. Papen and H. Rennenberg. 1998. Methane production capacities of different rice soils derived from inherent and exogenous substrates. Plant and soil. 203:227-237. 

  25. Watanabe, A., H. Yamada and M. Kimura. 2001. Effect of shifting growth stage and regulating temperature on seasonal variation of CH4 emission from rice. Global Biogeochem. cycles. 15:729-739. 

  26. Watanabe, A., H. Yamada and M. Kimura. 2005. Analisis of temperature effects on seasonal and interannual variation in ${CH_{4}}$ emission from rice-planted plots. Agric. Ecosyst. Environ. 105:439-443. 

  27. Xie, Z., G. Liu, Q. Bei, H.Y. Tang, J.S. Liu, H.F. Sun, Y.P. Xu, J.G. Zhu, and G. Cadisch. 2010. ${CO_{2}}$ mitigation potential in farmland of China by altering current organic matter amendment pattern. Earth Science. 53(9):1351-1357. 

  28. Yagi, K., K. Minami, and Y. Ogawa. 1990. Effects of water percolation on methane emission from some Japanese paddy fields. Soil Sci. Plant Nutr. 36:599-610. 

  29. 농촌진흥청. 1992. 한국토양총설, 농업기술연구소 토양조사자료 13. p.725. 

  30. 농촌진흥청. 2010. 기후변화대응 연구 중장기 계획. p.2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